죄수번호41582
추천 0
조회 1
날짜 08:04
|
루리웹-0033216493
추천 0
조회 17
날짜 08:04
|
우중
추천 0
조회 13
날짜 08:04
|
루나이트
추천 0
조회 76
날짜 08:03
|
근첩만읽을수있는닉네임
추천 0
조회 106
날짜 08:03
|
슬리핑캣
추천 0
조회 119
날짜 08:03
|
트루_갓_셰프
추천 1
조회 57
날짜 08:02
|
오로 구론희
추천 1
조회 44
날짜 08:02
|
smile
추천 0
조회 94
날짜 08:02
|
투명드래곤
추천 0
조회 71
날짜 08:02
|
커클랜드
추천 0
조회 49
날짜 08:02
|
건터레스팅
추천 1
조회 88
날짜 08:02
|
루리웹-1968637897
추천 0
조회 38
날짜 08:02
|
Hoshimiya
추천 0
조회 76
날짜 08:02
|
루리웹-6123160980
추천 1
조회 45
날짜 08:02
|
Angkeu
추천 0
조회 90
날짜 08:01
|
쿤쿠바바
추천 0
조회 104
날짜 08:01
|
극각이
추천 1
조회 64
날짜 08:01
|
우중
추천 1
조회 151
날짜 08:01
|
갓트루참얼티밋여신블랑
추천 1
조회 129
날짜 08:00
|
트루_갓_셰프
추천 0
조회 236
날짜 08:00
|
스이스OI
추천 3
조회 180
날짜 07:59
|
smile
추천 1
조회 123
날짜 07:59
|
루리웹-5141237927
추천 0
조회 213
날짜 07:59
|
새로시작하는마음
추천 1
조회 144
날짜 07:59
|
린다림
추천 2
조회 246
날짜 07:58
|
킹받는 마릴
추천 2
조회 111
날짜 07:58
|
Hoshimiya
추천 6
조회 230
날짜 07:57
|
본문
BEST
사업의 일론 머스크 문학의 조앤 롤링 게임의 닐 드럭만
정확하네.
작품만 보자, 작품만
그래서 지금 외국에서 해리포터 게임 하면 트렌스 포비아라고 유명 게임 포털에서 해리포터 게임 언급 굼지하고 팬덤끼리 싸우고 넌리도 아니잖슴 ㅋㅋㅋ
스타링크도 만만한 사업은 아니지
아가리를 다물고 있어야 하는 셀럽
저 표현이 작품으로 말이 나오는게 아니라 조앤 졸링이라는 사람에서 기인된 문제라;
정확하네.
작품만 보자, 작품만
롤링은 작품에 끼어드니까 문제아닌가요?
사업의 일론 머스크 문학의 조앤 롤링 게임의 닐 드럭만
일론 머스크씨가 직접 인증ㄷㄷ
루리웹의 황달
아니 닐 드럭만은 게임도 이상하게 만들잖아;;
근데 다 모으고보니 롤링이나 드럭만이 억울할거 같은데 암만 둘이 sns에서 트인낭해도 돈가지고 장난치다 걸리고회사 화장실 휴지 다 없애는 머스크보다야
라오어2 조졌으니까 닐 드럭만은 빼자
정치의 트럼프(밴)
이미지 확오네....
라오어2가 아무리 죧박았어도 언챠티드와 라오어1을 무시할순 없긴함
C발 닐 약물남자 색히
머스크가 자본 대고 롤링이 시나리오 쓰고 닐 드럭만이 게임 만들면 완벽하네
오오...아포칼립스...
오...지옥에서 악마들이 츄라이 해보라고 영혼들에게 나누어 줄거같다
셋다 암적인 존재 킹 급들이군...죄다 화성으로 꺼져 줬음 좋겠네
롤링이 자본 대고 닐 드럭만이 시나리오 쓰고 머스크가 게임 만들면 완벽하네
아가리를 다물고 있어야 하는 셀럽
그래서 지금 외국에서 해리포터 게임 하면 트렌스 포비아라고 유명 게임 포털에서 해리포터 게임 언급 굼지하고 팬덤끼리 싸우고 넌리도 아니잖슴 ㅋㅋㅋ
해리포터는 유작이라고 생각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해리포터 원고 안받아준 다른 출판사들이 안목이 없던게 아니라 작가 꼬라지 보고 안 받아줬다는게 출판계의 정론
ㅋㅋㅋㅋㅋ
제발 차만 만들어/제발 책만 써
닥자터자피자
왜케 작품이랑 작가가 분리되버렸는지 모르겠음 작가가 노망이 든거야..? 아니면 대필을 맡긴거야..?
각잡고 고통스럽게 후속작 쓰긴 싫고, 팬들이랑 설정놀음하는데 트위터라 개폭주해버리는 그런상황
아니 '해리포터'가 그렇게 만만한 취급을 받을 작품이 아닌데...
미스터피
스타링크도 만만한 사업은 아니지
미스터피
저 표현이 작품으로 말이 나오는게 아니라 조앤 졸링이라는 사람에서 기인된 문제라;
해리포터는 불후의 명작이지만 작가가 좀.......
페이팔, 전기차, 스타링크, 스페이스엑스 등등 다 만만한 취급 받을거 아님
실제로 일론머스크의 사업적 행보도 만만한 취급을 받을건 아님
해리포터도 일론 머스크의 사업적 행보도 둘 다 만만하게 대접받을 게 아니지. 스타링크는 당장 성능을 제치고라도 그 이름값만으로 지금 국내 통신사들조차 겁먹고 언플부터 할 수준이니.
행실의 문제지 업적의 문제가 아님
이미 표절 시비도 있었고, 여러가지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던 것만 봐도 결코 지나치거나 모자란 표현은 아니지.
트롤링 제인
고생해서 해리포터로 대박내고 완결까지 깔끔하게 냈지만...
아가리만 안놀리면 좋을텐데ㅋㅋㅋㅋㅋㅋㅋ
... 순수한 여성만이 진정한 페미니스트다! 잡종인 하이브리드 페미는 저열하고 열등하며 페미니즘을 회손한다.... 사상이 저런데 볼드모트랑 뭐가 다른겨?
볼드모드는 혼혈이라 컴플랙스라 발작한거지만 롤링은 아니라는거 즉 롤링이 볼드모드 보다 순수혈통임
롤링을 너무 무시하는 거 아닌가? 적어도 해리포터 본편은 깔끔하고 빠르게 완결 잘 냈음. 머스크는 테슬라가...
뛰어난 업적이 있는가? Yes SNS로 헛소리를 하는가? Yes 고객들이 싫어하는가? Yes
정작 자기가 슬리데린 다닐 캐릭임 ㅋ
근데 최종결전때도 슬리데린 다음으로 죽먹자 제일 많이 배출한건 그리핀도르였음 ㅋㅋㅋㅋㅋㅋ
아무리 그래도 해리포터가 차지하는 판타지소설계에서의 위상이 고작 테슬라랑 비견될 수준은 아니다...
진짜로 궁금해서 묻는건데 그 위상이 어느정도고 영향은 어떤게 있음? 많이 팔린건 알겠지만 해리포터 같은 작품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지고 그런게 또 인기를 얻고 그런건 못 본것 같은데
IT기업이랑 비교하면 난 톨킨이 애플 해리포터가 마소는 된다고 보는데
페이팔이나 스타링크나 이런저런거 생각하면 일론 머스크만한 인물도 없지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먼 소리야 역할을 비교한다고 해서 동치 되는게 아닌데
그러니까 그런 부분. 톨킨 영향을 받은 판타지는 셀 수도 없지만 해리포터 영향이 어떤 부분이 있는지 궁금함. 영미권 판타지는 잘 몰라서 요즘 나오는 소설들이 해리포터 영향을 받았는지 어떤지 모르겠어.
반대로 해리포터 같은 작품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지지 못해서 해리포터가 단순 뽀록이 아니란 거임. 반지의 제왕마냥 장르의 근본이면서 신격화할 작품은 전혀 아니지만, 현대에 해리포터만한 작품도 드물음
판타지소설 중 해리포터가 넘버원으로 많이 팔린건 맞는데 후대 판타지에 무슨 영향을 줬다거나 그런 위상은 아닌거 같은데
위상 따질거면 해리포터는 모르겠네 판타지에서 그런 언급나올건 다른게나오잖아...
테슬라도 이정도로 내려칠건 아닌데 그 도요타를 후발주자로 만든것부터 개쩌는거임
후대의 아류작 유무로 위상을 비교할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반대로 말하면 보편적이지 않은 유니크함을 구축한거임. 난 2천년대 판타지 시장에서의 학원물이나 아카데미물들은 해리포터의 영향을 대부분 받았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그닥.. .애플은 톨킨에게 비비기엔 너무 낮고, 해리포터는 마소에 비비기에 너무 낮음. 톨킨은 사실상 현존하는 대부분의 현대 판타지의 원조이자 아버지라고 불러도 되는데, 애플이 현존하는 IT나 하다못해 모바일의 원조라고 할 수 있나? 반대로 마소는 현존하는 PC 생태계를 구축하고 아직도 유지보수 하며 개인용/기업용 컴퓨터를 실시간으로 점유하고 굴리고 있는데, 해리포터가 과연 그렇게 하고 있는가? 생각해보면 전혀 그렇지 않음.
그럼 톨킨은 IBM이라하자!
정확히 말하면 윈도우가 해리포터랑 제일 가깝다고 생각해서 마소라고 이야기했음 작가 개인을 기업이랑 비교하면 롤링이 마소급은 못되긴하지. 그리고 애플은 진짜 원조인 것과 관계없이 시장의 보편화 측면에서 항상 퍼스트였기 때문에 톨킨과 비교한거고 톨킨과 정확히 등치되는 기업은 찾기 어렵지
어... 한국 웹소설 쪽 학원물이나 아카데미물 말하는거면 일본 미연시 쪽 영향력이 훨씬 큰거 같은데... 애초에 이쪽 직접적인 조상은 일본 학원배틀물이고.
윈도우든 마소든 해리포터에 비교하기엔 훨씬 더 큰 저변과 인프라를 깔았고, 훨씬 오래, 그리고 지금도 그 인프라와 생태계가 업계를 점유하고 있다고 봄. 해리포터는... 따지자면 블랙베리 같은 거지. 한때 인기있고 유명했고, 그래서 여기저기 영향도 좀 줬지만 이젠 한물 간
일본쪽 영향력 받은건 사립 샤프란으로 대표되는 아카데미물들이 판소시장에 등장하던 시기쯤부터였던거 같고 그전에 일본스타일과는 다른 분위기의 학원물들이 있었음 제목까진 일일이 기억 못하겠는데 그런것들 말하는거. 물론 주류가 된 적은 없긴하지
어린왕자 같은 작품은 없지만 어린왕자가 소설계에서 위상이 낮던가?
그리고 난 동의하지 않지만 그런 식으로 잘 매칭 안되는 것들도 이래서 애플은 톨킨에 매치된다 는 식으로 끼워맞추려면 본문에서 얘기하는 롤링-머스크 부터가 애플-톨킨보다 훨씬 잘 끼워맞춰지지 않음?
사실 저댓글 쓸때 테슬라/스타링크 정도만 생각하고 썼는데 페이팔을 생각하면 맞는비유라고 생각함 걍 다른댓글 대답하다보니 길어짐
아니 현재 시점 말하는건데... 현재 웹소설의 학원물, 아카데미물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캐빨물임. 그런 의미에서 미연시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거고. 일단 해리포터가 캐빨물은 아니잖아. 어떤 의미에서 영향을 받았다는건지 난 전혀 이해가 안감.
현재시점? 현재시점에서는 없는 수준 맞지 후대에 아류작들이 있냐 없냐로 위상 따지는 것 자체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아니 위상이라고 하면 그런걸로 따지는게 맞지 않나?;; 그럼 흥행 여부로만 따짐? 그렇게 따지면 머스크는 개인으로선 세계 최고 부자인 사람이라 오히려 머스크에 비교하는게 실례가 되는데?;;
아 뭐 소설 바깥까지 확장하면 최근 웬즈데이 같은 경우가 있겠네 아담스 패밀리 자체는 해리포터보다 더 이전이지만 웬즈데이 드라마만 놓고 보면 해리포터 색채가 좀 있으니
아류작으로 위상따질거면 그러면 한국에서는 전독시나 나혼렙이 해리포터보다 위라는 소리가 되는데 그렇게 생각함?
아니 그러니까 해리 포터가 가진 위상이랑 끼친 영향에 대해서 묻어보고 있는거잖아... 오히려 전독시나 나혼렙이 한국 웹소설에 끼친 영향은 너무 확실해서 적어도 한국 판타지 시장에 한해선 해리포터보다 과연 위상이 낮다고 할 수나 있는건지 어떤지도 알 수가 없음. 바로 그 부분이 궁금한거라고.
그러면 서로 기준 다르니까 그냥 넘어가면 됨. 애초에 서로 가지고 있는 주관성이 다른데 왜 자꾸 재확인하려고 함. 난 명확하게 해리포터가 전독시 나혼렙보다 훨씬 위상 높다고 생각함. 굳이 내 기준을 말하라고 하면 인지도와 문화적 파급력임. 후대 소설의 아류작은 얼마 없을지 몰라도 해리포터라는 그 자체가 문화적 브랜드로 전 세계에 자리잡았으니까. 물론 내 기준이니까 부정해도 딱히 상관은 없지만 올림픽 개막식에 당당하게 특정 소설의 캐릭터가 등장하고 그걸 다 알아보는 경우가 몇이나 될지를 생각해보면 편함
계속 답변해줘서 고맙고 시간 뺏어서 미안하긴 한데 결국 구체적인 영향 예시도 없이 개인적인 주관이라고 하고 끝낼거면 애초에 테슬라랑 비교는 왜 한거야... 솔직히 어그로에 당한거 같아서 기분은 안 좋지만 아무튼 그렇다니 그렇게 알겠음
내로남불한건 아니고 난 테슬라도 이후의 영향력 그런걸로 위상 판단 안했음 그냥 테슬라 그 자체의 희소성과 시장성만으로 비교한거. 다른 댓에도 썼지만 스타링크나 페이팔까지 포함하면 내가 잘못 생각하고 원댓글 썼음
최소한 롤링은 완결 냈고 신작 안내긴 하지, 머스크는 계속 신작 내고 있음
두ㅛ제
머스크 = ㅄ이란 논리군. 완벽한 논리다
해리포터도 저주받은 아이라고 후속작있음.
연극 끌어오면 뭐 신동사도 원안은 롤링이긴 한데
지금보면 해리포터 완결은 무난하게 잘낸게 신기해보임.
이름 가리고 출판한 소설은 개망해서 이름 달고 출시하니 ㅈㄴ 유명해짐 걍 이젠 이름값만 하는중
업적을 세운사람은 트위터 못하게 하는 법이 필요해
배우조차 식겁할 정도
제발 입 여는걸 그만둬!
그래도 장편물 완결 내준것만 해도 탑 작가지
뭔소리아 작가님 해리포터 완결짖고 요절하셨는데
그놈의 트위터가 없었으면 좀 더 존경받았을거라는 공통점도
해리포터 사야겠다
웃기는건 스즈미야 하루히는 언급이 작가가 작년에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