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케런저
추천 0
조회 1
날짜 20:00
|
얼리노답터
추천 0
조회 15
날짜 19:59
|
천재축구감독가투소
추천 0
조회 15
날짜 19:59
|
루리웹-9436955503
추천 1
조회 36
날짜 19:59
|
루리웹-1930751157
추천 2
조회 96
날짜 19:59
|
칼퇴의 요정
추천 1
조회 69
날짜 19:59
|
똥개 연탄이
추천 0
조회 20
날짜 19:59
|
루리웹-3151914405
추천 0
조회 15
날짜 19:59
|
Kariel823
추천 0
조회 55
날짜 19:59
|
Maggeett
추천 0
조회 40
날짜 19:58
|
kimmc
추천 1
조회 79
날짜 19:58
|
팬텀페인
추천 0
조회 50
날짜 19:58
|
심장이 Bounce
추천 3
조회 124
날짜 19:58
|
벤데타
추천 2
조회 133
날짜 19:58
|
GN-0000+GNR-010
추천 1
조회 115
날짜 19:58
|
탕찌개개개
추천 1
조회 49
날짜 19:58
|
어스바운스
추천 5
조회 147
날짜 19:58
|
☆닿지않는별이라해도☆
추천 1
조회 112
날짜 19:58
|
왜사나
추천 0
조회 53
날짜 19:58
|
호롱불똥쟁이관리자03
추천 0
조회 50
날짜 19:58
|
주슐사
추천 0
조회 93
날짜 19:57
|
루리웹-222722216
추천 3
조회 117
날짜 19:57
|
lassult
추천 3
조회 219
날짜 19:57
|
남동생은 날개가있었다
추천 0
조회 73
날짜 19:57
|
네리소나
추천 6
조회 230
날짜 19:57
|
갓트루참얼티밋여신블랑
추천 0
조회 95
날짜 19:57
|
닼소합니다
추천 2
조회 109
날짜 19:57
|
벤데타
추천 0
조회 157
날짜 19:57
|
본문
BEST
20년 가까이 국내의 게임문화를 이끌던 게임이니 이런게 생기는것도 당연하지
아닠ㅋㅋㅋㅋㅋ
아닠ㅋㅋㅋㅋㅋ
20년 가까이 국내의 게임문화를 이끌던 게임이니 이런게 생기는것도 당연하지
최근 떠오르는 스타용어는 울리 던가
근데 팥이 어떻게 생긴거더라 홍진호는 자기 발음 안좋아서 생긴거고 이윤열은 결승전 인터뷰에서 벼는 익을 수록 고개를 숙인다했다가 3:0으로 털려서 벼됐던걸로 기억하는데
곰티비 결승에서 김택용에게 3:0으로 발릴 때 찍힌 얼굴이 하필이면 조명 때문에 팥 같은 붉은 느낌으로 나와서.
콩이 왜 한번뿐이죠? 콩이 왜 한번뿐이죠?
주작이 용어 많이 만들었네
허영무는 진짜 욕먹은 놈들이 겜알못이고 본인이 겜잘알이라는걸 인증했지
가끔 21세기 출신 꼬꼬마들이랑 디코에서 겜하는데 엄대엄 드립을 엄준식 뭐시기의 파생으로 알고 있는 애들이 꽤 있더라
엄준식이 뭐임
한타도 스타용어 아닌가...?
한타는 팀파이트얘긴줄 알았더니 그마저도 스타였나 놀랍다
한방 타이밍 줄여서 한타.
앞마당은 애매한가
스플래시 대미지도 있을 듯. 스타는 진짜 국민게임을 넘어선 무언가였음. 대충 아무동네에서나 직장인 대회를 게릴라로 열어도 대강 수준있는 경기 나올걸..
국민적으로 쓰였던 삼체도 잊지말라굿
GG는 좀더 역사가 김. 기본적을 당시 외국게임들은 한글을 지원 안했었음. 하드웨어 환경때문에 적은 비트수를 차지하는 알파벳기반으로 만들어져서, 한글패치를 한다고해도, 배틀넷에서는 한글을 전송할 방법이 없었음. 그리고 당시엔 지금처럼 영어를 잘하는사람이 적었고, 때문에 승패에 상관없이 게임내용이 만족스러우면 좋은 게임을 즐겼다는 의사를 표하고 싶을때, 위 이유로 안되는 영어실력으로 쉬운 단어의 조합인 good game를 치게됨. 이게 시간이 지나자, 게임을 끝날때 작별인사처럼 쓰게되고, GG 줄여서 쓰게되다, 나중엔 게임을 끝났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면서, 게임에서 나갈때 쓰게됨.그러니 먼저 나가는사람이 GG치게 되고.. GG는 패배를 인정하는 단어로까지 변형됨. 중간엔 GG가 게임 더럽게 한다는 비아냥의 의미로도 쓰였음. 즉 시작은, 순수하게 good game 였음. 좋은 게임했다
'업그레이드' 라는 말도 스타 전엔 잘 안 쓰였음
버로우 ~삼 - 최수범(현 최우범 브리온 감독) 선수 밈에서 나온 ~하삼 말투 본좌 로얄로드 망했어요 에이스 결정전 엄청 더 많을텐데 당장 생각이 안 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