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돈으로 본 인어공주 후기.
아는 사람이 표값 내줄 테니 같이 가자 해서 보고 옴.
그나마 최대한 객관적이게 적어보려는
주관적 후기)
옹호, 장점)
‘뮤지컬’ 영화로 보면 뮤지컬 좋아하는 사람은 의외로 볼 만 할 수도.
할리 베일리 노래 잘한다.
외모도 논란에 비해 거슬리지 않음. 표정 연기가 괜찮아서 그런가.
이게 극장이 아니라 무대 작품이었으면 논란이 없었을 거 같음.
화면 구성 괜찮음. 좀만 더 밝으면 좋았겠는데.
애초에 요즘 할리우드 경향이 조명광 최대한 안 쓰는 거기도 하고, 아님 뮬란~피노키오 등 최근 부진한 실사화 작품들의 색감이 촌스럽다는 비평을 의식한 건지,
최대한 자연광을 의식해서 찍은 화면임.
…그런데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
뮤지컬 ‘영화’로 보면, 특히 인어공주 애니메이션 팬이 보면,
“이걸 굳이 봐야 할 이유가 있나?” 싶은 완성도.
이하 이 영화의 문제점들)
(원 애니메이션과의 캐릭터 동일성 문제라던가, 진저 지우기 등의 문제는 다들 아니까 패스함.
영화 완성도 얘기만 함)
배경이 카리브 해고, 유일하게 백인인 왕자는 입양아 설정.
그런데 이 영화 배경이 카리브 해여야 할 이유가 있을까?
이 배경에 아프리카계 캐릭터가 나오는 당위성 만들기 그 이상의 쓰임새가 있나? 아님.
무엇보다 카리브 해 설정은 배경에 아프리카계가 나오는 당위성은 될 수 있어도, 이 영화의 캐릭터 이미지가 아프리카계로 바뀔 당위성은 될 수 없음.
차라리 얼굴에 철판 깔고 여기는 인종 구분이 없는 세계입니다, 하고 나가는 게 낫지 않을까.
굳이 이렇게 만든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이 영화 음악 감독에 린 마누엘 미란다(요새 가장 잘나가는 뮤지컬 제작자)가 참여했음.
푸에트리코 이민자 2세대라 미국 내 아프리카계, 이민자, 카리브 지역 등의 소재를 애용하는 제작자. 안 그래도 뮤지컬 팬 중에선 이 사람만 보고 카리브해가 배경이란 거 예상한 사람들 많았음.
디즈니의 모아나, 엔칸토 등의 작곡가가 이 사람.
그런데 그 카리브해 설정이 너무 뜬금없이 들어가서,
린 마누엘 미란다 카드를 방패로 쓰면 아프리카계 배우들로 밀고 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디즈니 수뇌부의 꼼수가 의심됨.
연기톤이 다들 애매함.
롭 마샬이든, 제작자든 다들 연기 가이드 방향을 못 정하고 갈팡질팡한 티가 남.
배우들 연기가 다들 어색한 순간들이 있는데,
디즈니 애니메이션(+브로드웨이 스타일) 특유의 동작과 감정 묘사가 큰 무대 연기,
디즈니가 요새 실사화 작품에서 고집하고 있는 리얼리즘 연기
이 둘 사이에서 갈팡질팡한 기색이 역력함.
우르슬라 단독씬이 호평 받던데 아무래도 디즈니 빌런은 과잉된 감장 연기를 해도 무방한 역이다보니 이것만 연기톤을 잘 잡을 수 있던 것 같다.
아까 화면 연출 자체는 괜찮았다 했음.
왜냐하면 원작 인어공주의 연출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니까.
뮤지컬 무대로서의 연출은 거의 원작 그대로라고 보면 됨.
롭 마샬이 대단한게 아니라 원작 애니메이션이 대단한 것.
그런데 아무래도 위에서 말했듯 무대 세트보다는 자연광을 의식한 어두워진 조명, 거기에 선명한 색감을 자제해서(보통 영화면 차분하다 해줬겠지만 뮤지컬, 그것도 아동 작품에선 과연?)
결국 화면의 효과가 애매해졌음.
이건 원작을 그대로 가고 싶던 걸까, 재해석을 하고 싶었던 걸까
브로드웨이식 무대 연출을 하고 싶던 걸까, 오프 브로드웨이식 리얼리즘-뮤지컬을 하고 싶던 걸까.
제발 노선을 정해라.
디즈니는 대체 왜 이렇게 정치, 인권 문제를 끄집어 내며 방어했나.
이 영화에서 인종 어쩌고는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스스로에게 진실되기,라는 원작의 주제를 거의 고스란히 따라가고 있고, 알라딘 실사화나 뮬란의 실사화처럼 PC적인 소주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정치적인 메세지는 작품이 아니라 제작에 들어가 있음.
만약 카리브해나 아프리카계 설정이 뭔가 주제의식과 연관되어 있다면 과감한 재해석이라 봐주겠지만, 이건 그냥 현대 PC운동 파도 한 번 타보겠다는 얄팍한 마케팅이다.
물론 인종 구분 없이 캐스팅을 고를 수 있는 것이 인종차별 격파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런 의견 있을 수도 있겠는데
분명히 원작 있는 실사화에서 기존 이미지를 무시한 캐스팅은 논란 있을 거 알았을걸? 디즈니 수뇌진이나 미케팅 팀이 바보들도 아니고.
그럼 영화 완성도를 위해서 작품 내적으로도 걸맞은 주제와 시각을 마련 했어야지.
제작 과정이 도덕적이었단 게 완성도를 만들어 주는 건 아니잖아.
결국은…….
논란을 빼고, 뮤지컬 팬이 ‘뮤지컬’에 더 집중했을 때도 그냥저냥 볼 만한 작품 수준.
그런데 이 영화에 깔린 수많은 논란이나 싸움을 생각하면?
이 영화 뒤에 깔린 수많은 인종, 여성권, 외모 어쩌고 논란들이 너무 많이 깔려서
이 영화를 보거나, 뭐라 하는 거 자체가 걍 정치적 입장을 발표하는 것 마냥 되어버렸음.
그 모든 논란과 문제를 감수하고 그냥저냥인 영화를 보러가자고?
생각만 해도 골 아파진다.
걍 극장에 걸린 다른 영화를 보고 말지.
그리고 이 영화는 결국 방향을 못 잡은 게 가장 큰데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이렇게 갈팡질팡 했으면 실력 이전에 걍 게으른거 아닌지??
‘숲 속으로’ 때도 생각한 건데 롭 마셜은 제발 뮤지컬 하지 말아라.
+
좀 상관 없는 얘기일 수도 있지만,
디즈니 자꾸 리버럴, PC 이런 이미지 내세우는데.
중국 위구르 탄압 옹호하면서 뮬란 찍고,
독과점 유지, 독립극장 뭉개기 하면서 사회적 계급 차별 반대하는 영화 찍고,
담배, 모피 스크린에 넣지 않기 내부 정책 내세우면서 크루엘라 찍는 건,
모순 아니냐?
할리우드에서 가장 악의 축인, 캐피탈리즘 빌런 놈들이 자꾸 도덕적인 척 하지 말아라.
+
퀸 클레오파트라와 비교.
둘 다 노골적인 PC유행 파도타기 마케팅이지만
주제면에선 그나마 인어공주가 노골적인 아프로센트리즘은 없어서 조금 낫다.
진짜 조금이지만.
애초에 주제면에서 ‘그’ 퀸 클레오랑 경쟁하는 게 비정상인 거 알지?
그건 아닐거 같은데. 뮬란 실사는 뮬란 원작에 대한 도발이자 모욕임.
그건..아냐...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해가 안되는데 입양아 백인 왕자는 도대체 무슨 약 빨고 만든 설정이냨ㅋㅋㅋㅋㅋ?
인어공주는 논란을 빼놓고 보면 망작 정도인데 클레오파트라는 논란을 빼놓고 보면 다큐멘터리란 이름의 먹칠 정도라ㅋㅋㅋ
죽어도 백인 왕자는 포기하지 못하겠다는 거겠지
내 생각에 그건 아님. 뮬란은 카메라 워크 자체가 너무 촌스러워서. 콘티 감독을 짤라야 할 수준이던데.
디즈니 원작 이미지 빼고놓으면 이 영화만의 장점이 하나도 없단 이야기네......그나마 장점은 원작이 있으니까 나온거고 그나마도 잘 담아낸것도 아니고. 정보 ㅊㅊ
인어공주보니 뮬란이 왠지 더 선녀같음..
씨익..☆
그건..아냐...
씨익..☆
그건 아닐거 같은데. 뮬란 실사는 뮬란 원작에 대한 도발이자 모욕임.
씨익..☆
내 생각에 그건 아님. 뮬란은 카메라 워크 자체가 너무 촌스러워서. 콘티 감독을 짤라야 할 수준이던데.
설사 보다가 ㄸ 본다고 나아지는건 아냐
얘 분명 둘 다 안봤다
나름 주변에서 유교빌런 씹선비 소릴 듣는 사람으로선 그 의견에 긍정하기 힘들군
용은 현실감이없어서 뺌 (피닉스ㅡ존나크다. 기ㅡ존나존나 쎄다.)
인어공주는 논란을 빼놓고 보면 망작 정도인데 클레오파트라는 논란을 빼놓고 보면 다큐멘터리란 이름의 먹칠 정도라ㅋㅋㅋ
퀸 클레오는 한국 수입 전에 유게에 1빠따로 감상평 쓰려고 프록시 키고 봤는데, 시간 아까워 미칠 뻔 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해가 안되는데 입양아 백인 왕자는 도대체 무슨 약 빨고 만든 설정이냨ㅋㅋㅋㅋㅋ?
뭐 임마?
죽어도 백인 왕자는 포기하지 못하겠다는 거겠지
이건 할리우드의 역겨운 현실이 있어서 그럼 할리우드의 고위층이나 원로들은 기본적으로 보수성향이고 인종차별 성향도 짙음 그래서 주연에 백인이 없으면 왜 백인이 없어 이러며 투자가 안들어옴 주도적인 백인만 있는건 상괏없지만 주도적인 유색인종만 있는건 용납을 못함 그래서 주연에는 반드시 백인을 껴야함 물론 그렇다해서 흑어공주 쉴드가 되는건 아님
왕자를 입양하는경우도 있나 인종이 다르니깐 방계나 그런거도 아닐거아녀
디즈니 원작 이미지 빼고놓으면 이 영화만의 장점이 하나도 없단 이야기네......그나마 장점은 원작이 있으니까 나온거고 그나마도 잘 담아낸것도 아니고. 정보 ㅊㅊ
노랜 좋음. 영화 얘기만 히니까 노래 얘기는 많이 안했는데, 리믹스라고 해야 할지, 커버라고 해야할지 노래는 잘 했더라. 배경 악기 구성 새로 짜서 한 거 괜찮음. 음악감독 린 마누엘 미란다 쓴 게 그나마 이 영화의 징점 중 하나. 보러가는 것보단 나중에 사운드트랙만 듣는 거 추천.
문제는 영화를 보러간거지 노래를 들으러간거 아니니깐 그럴꺼면 콘서트나 뮤지컬 보러가지
진짜 얼굴 볼때마다 역겹게 느껴지는 건 이번이 처음임.
의외로 외모는 거슬리지 않음. 표정 연기가 괜찮아서 그런가. 걍 원작 이미지를 싹 무시해서 그렇지.
알라딘과 크루엘라 빼곤 실사화 멀쩡한게 없음. 라이언킹 그 불쾌한 골짜기를 인어공주에서 또 만나게 됨
차라리 아프리카 서해안을 배경으로 하고 왕자를 포루투갈 원장함대 제독직의으로 했으면 그나마 좀 말이 되겠다.
잘나온 애니메이션있는데 내아들 둘에게는 굳이 저거 보여주고 싶진않음
롭 마샬은 시카고때의 포즈는 어디가고 나오는것마다 음..
ㅇㅈ. 시카고 때의 그 쿨하고 강렬한 연출을 한 감독이라누걸 못 믿겠음 ㅋㅋㅋ
디즈니 실사영화 감독들이 명감독이거나 이름있는 감독들인거 보면 제작 과정중에 문제가 있는게 맞는거 같아.
'이 영화에서 정치적인 메세지는 작품이 아니라 제작에 들어가 있음.' 어딘가 느껴졌던 이중성과 괴리가 여기있었구만.
결과물이 아니라 의도를 평가받길 원한다는 그짤이 생각나는군
연기 방향성의 문제라.. 이건 이번 영화만이 아니라 디즈니 실사가 계속 고민해야할 부분인데 아직도 방황중인가..
결론은 그냥 못만듬. 죶같은 노이즈 마케팅 때문에 더 꼴보기 싫은 망작
못 만들진 않았고, 그럭저럭 봐줄만한 수준인데 의도적인 정치적 마케팅 때문에 그 그럭저럭 마저 늪 바닥에 쳐박았다,가 맞을 듯.
영화 캣츠랑 비교해서 어떰?
아무리 그래도 영화호소인이랑....
이건 거의 영화계의 재앙 수준이라 비교하기 힘들지 않나
캣츠도 극장에서 봤는데 그건 재앙 수준이고, 이건 뮤지컬 팬이면 논란 무시하고 볼 수는 있는 정도.
주봉기준으로 코시국 당시 저점을 향해 가는 중이라.. 디즈니가 이번에 잘못 만든건 확실한 것 같어.
돈되는 것만 선택하는 선택적 올바름 ㅋ
왜 카리브해냐 하면...칼립소의 고향이라 그런 거 아님?
배경이 카리브 해고, 유일하게 백인인 왕자는 입양아 설정. 그런데 이 영화 배경이 카리브 해여야 할 이유가 있을까? 이 배경이 흑인이 나오는 당위성 붙이기 그 이상의 쓰임새가 있나. <----인어공주랑 아프리카랑 무슨상관이지 모르겠다. ㅋㅋㅋㅋ 설마 어인도 인종개념이 있는건가? ㅋㅋㅋㅋ
한 4개 정도는 있겧지...뭐....
인어공주, 아리엘이랑 자매들 다 인종 다름. 디즈니 특유의 다인종 캐스팅 그거.
한결같이 영화 조명이 어둡다는 평이 많네 ㄷㄷ
백인을 넣기 위해서 입양아 설정의 왕자를 넣는것도 뇌절임 ㅋㅋㅋ
카리브해로 넣어야 캐리비안 해적 - 칼립소 더 비기닝 - 프리퀼이 되니깐?
그냥 영화 외적인 노이즈 빼고 보면 지금까지 이어져온 디즈니실사화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껴안고있는 영화란거구만.
이게 딱 맞는 요약일 듯. 걍 부진한 실사화 장단점 고스란히 가져가는데, 지나친 정치적 마케팅 때문에 뇌를 비우고 보지 못하겠음.
적당히 식어있는 어린이 정식을 먹으러 가야되는데 가는 길이 가시밭길...
어차피 실적이 모든걸 설명함
영화 하나 보는데 참 힘들게 보시네요. 무슨 철학영화도 아니고... 그냥 보지 마시지 그러셨어요.
원래 영화 비평하고 분석하는 거 좋아함. 이건 선발대 반응 좋아하는 사람들 많아서 유게에 올린 거고, 평소엔 보는 모든 영화들 이렇게 물뜯 하면서 논다.
프로불편러 같은거네요. 취향 존중합니다. 뎃글은 달지 말아주세요.
캬 프로불편러 ㅋㅋㅋ
댓글상태가 이따구니 비추비율 납득가네
배경이 카리브해인 건 좀 진짜 이상한 게, '흑어공주' 를 위해서 카리브해로 했냐? -> 그런 목적이면 인어공주 자매들의 인종이 다양하고, 트리톤왕이 대놓고 백인인건 뭐임? '왕자쪽의 왕비가 흑인이라 카리브 해로 했나? -> 왕비가 주역인물도 아닌데, 왕자를 흑인 왕국에 굳이 입양된 설정까지 넣어가며 백인으로 할거면 걍 원안대로 북유럽 백인왕국의 왕자로 하는 게..?
확실하진 않지만 등장하는 생물군때문에 그런거 아닌가싶기도...
다시말해 흑인 배우에 작품을 맞추려고 어거지로 카리브해로 바꾸는 등 수정이 들어간 느낌인가
간단하게 정리하면 그냥 아무생각없이 보면 볼만하긴 한데, 영화에 엮인 수많은 논란들을 깨끗하게 잊을만큼 빠져드는 영화냐 하면 f 섞인 말을 하게 된다는 거군요. 인어공주에서 가장 애정곡인 우르슐라 노래도 좋았을거란 리뷰에 아주 조금 안심이 되네요
디즈니 실사시리즈는 안그래도 장점이 별로 없는데 단점만 싸악 계승했고 흑인논란이 커리어하이란 얘기가 되는건데, 디즈니는 제 살 파먹기밖에 안하고 있단거군
노래 좋아, 노래는.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니고 그냥 볼 만한 뮤지컬 영화인데, 디즈니가 이게 무슨 인류 모든 차별 문제를 해결할 리버럴 계몽 영화 마냥 떠들어대서……. 네 말대로 제 살 뜯어먹기지.
지금 상황에서 노래조차 안좋을거면 그건 노래 뺀 캣츠보다 아랫단계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