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촉수
추천 1
조회 10
날짜 01:18
|
루리웹-8344111497
추천 1
조회 81
날짜 01:18
|
조제
추천 0
조회 33
날짜 01:18
|
lilli!!IIi!!lI
추천 2
조회 49
날짜 01:18
|
메에에여고생쟝下
추천 0
조회 21
날짜 01:18
|
뿌씨레기
추천 3
조회 69
날짜 01:17
|
Nodata💦
추천 5
조회 121
날짜 01:17
|
하샤아웨이
추천 1
조회 57
날짜 01:17
|
루리웹-5240102285
추천 30
조회 1555
날짜 01:17
|
발터_화이트
추천 6
조회 171
날짜 01:17
|
작은해
추천 1
조회 59
날짜 01:16
|
프사출처나도모름
추천 0
조회 108
날짜 01:16
|
후추곰
추천 0
조회 50
날짜 01:16
|
고봉밥
추천 1
조회 48
날짜 01:16
|
훈타야
추천 1
조회 93
날짜 01:16
|
어린사슴아이디어
추천 2
조회 162
날짜 01:16
|
루리웹-9453912516
추천 0
조회 118
날짜 01:16
|
원산폭격기
추천 5
조회 167
날짜 01:16
|
새벽반유게이
추천 0
조회 50
날짜 01:16
|
매실소주
추천 0
조회 37
날짜 01:16
|
말랑단
추천 0
조회 56
날짜 01:16
|
료이키텐카이
추천 0
조회 52
날짜 01:16
|
UniqueAttacker
추천 1
조회 122
날짜 01:16
|
타코야끼색연필
추천 1
조회 41
날짜 01:15
|
학생회장 한나
추천 15
조회 938
날짜 01:15
|
펭귄볼
추천 1
조회 84
날짜 01:15
|
킨케두=지금
추천 1
조회 72
날짜 01:15
|
강등먹여드림
추천 0
조회 55
날짜 01:15
|
본문
BEST
소식들은지는 꽤 되었는데 잘 되고 있는지 어떤지.
사실 미국은 셰일 터진 이후로 석유에 관심이 식었다
고열고압으로 다시 돌리는거라 기술 자체는 좀 되긴 했음 그 돈이면 그냥 사오고 마니까 그렇지
미국 : 기이이이이이이이르으으으으음~? 한국 : 동맹이라고 미친노마...
???: 누가 기름 소리를 내었어
미국 : 기름이 나온다고?? (전쟁을 준비하며)
드디어 미국이 동맹에서 벗어나는건가?
???: 누가 기름 소리를 내었어
미국 : 기름이 나온다고?? (전쟁을 준비하며)
북한: 아니 나 말고 남쪽이라고 ....
남한: 누구? 저요?
김정은 몸에 기름기가 많아서 감지하곤 착각한듯
베네수엘라.. 갸우뚱..... 아르헨티나 ... 갸우뚱????
드디어 미국이 동맹에서 벗어나는건가?
소식들은지는 꽤 되었는데 잘 되고 있는지 어떤지.
나름 잘 되고있는거 같아요. 제가 모든 중소기업을 포함한 모든 곳을 가보진 못했지만 교수님과 연이 닿아있는 사장님의 회사를 가봤었는데 잘 뽑아내고 계시더라고요
그렇다면 다행이오
국내 유화사들은 이미 어떤식으로든 움직이는중. 현오뱅은 RGO방식은 아니지만 열분해유 base에 화학물질 생산하고 있음.
채산성 나오지 않아서 그냥 예전 나온거 상태 장비 유지만 아니였어 ???
예전 나온거 상태 장비 유지가 어떤 장비를 말씀하시는건가요? 일단 본문의 내용은 제가 직접 본 것과 똑같아서 거기서 들은걸 토대로 나름 잘 되고 있다고 글 쓴겁니다. 물론 폐플라스틱 운송비가 얼마나 드는지는 안물어봤지만 아주 잘 되신다고 하시던데요? 다만 일이 3D라고..
비늴로하는데 고품질 비늴들을 수거하는게 문제임 저거 공장은 곧 다지어질거임
기술 개발은 된 상태인데 이제 실용화를 해야하는데 법적으로 불법이라 못하고 있다고 들은게 마지막 소식이였음
그런데 요즘 한국은 여기저기 진짜 필요한 곳 예산은 죄다 줄이고있어서 좀 불안하다..
저거 문제가 재활용쓰레기들 더미에서 저기에 처리 가능한 플라스틱만 골라 분류하는게 더 어려울 걸. 우리 재활용쓰레기들 제대로 활용 못하는 이유가 이것저것 섞여있어서라고 하니.
미국 : 기이이이이이이이르으으으으음~? 한국 : 동맹이라고 미친노마...
민주주의 배달
모든 나라는 민주주의의 혜택을 누리지만 어떤 나라는 더욱 민주주의를 받아야 한다. -도날드 부시 트럼프-
미국식 민주주의
시발 기름이래자나 더 좋은 명분이 어디있어?
지네땅에 유전 많은데 굳이
그러면 조지 레이건 트럼프가 맞지 않을까
위의 뉴스 처음 나왔을 때 레딧에서 나온 개그지. 답글이 "ㅁㅁ아 쟤들 우리 동맹이야!"였던가.
사실 미국은 셰일 터진 이후로 석유에 관심이 식었다
미국: 아 우리나라 땅밑에 사우디가 몇개 밖혀 있는지는 앎?ㅋㅋㅋㅋㅋ
머지???내가아는 세일이랑 세일이랑 다른거야???
셰일. 셰일가스 나도 잘은 모르는데 뭐 좋은건가봐
그건 아녀. 바이든이 왜 자존심 굽히면서까지 사우디에 증산 요청했었는데
메롱3
유가가 60불 넘어가면 채산성 있고그 밑이면 적자라고
Sail이나 sale이 아닌 shale을 말하는 거요
이렇게 만드는 개념 자체는 있지 않았나?
사실 우리나라는 산유국이였어
고열고압으로 다시 돌리는거라 기술 자체는 좀 되긴 했음 그 돈이면 그냥 사오고 마니까 그렇지
근데 요즘 유가가 많이 올랐던데 이쯤이면 다시금 상용화로 인한 가격 하락까지 보고 가야하는거 아닐까??
저도 저 뉴스 몇년전에 본듯... 그때는 비닐+플라스틱류 열처리 공법이랑 전자레인지 공법 두개 설명해주던데...
이거 어떤 유게이가 설명해줬었는데 처리가 가능한거지 아직까지는 쓰레기 수거하는 단가도 안나와서 좀 더 기달려봐야 한다던디
이미 lg랑 sk에서 플랜트 건설 한창인데
단가가 나오려면 석유가격이 플라스틱값보다 내려가야함 고열을 내려면 석탄 석유를 태워야하는데 석탄석유가 헐값이면 플라스틱도 헐값이됨
결국 단가보다는 자원 재생에 의미가 있는거구만
RGO 플랜트 SK에서 짓는건 다른거임 reduced graphene oxide라고 산화 그래핀 공장임
단가문제가 아님..우선 EU에서 장기플랜으로 몇년까지 친환경 원료 사용 강제화하기로 했거든.. 분야마다 다른데 무슨 제품군은 친환경 원료 30% 이상, 무슨 제품군은 50%이상 이런식으로 규정만들고 안되면 세금, 벌금 같은 페널티 엄청 먹이는걸로.. 전기차 이슈도 비슷한이유.. 그때가서 바로 전환이 어려우니 지금부터 준비하는 중.. 참고로 열분해 원료사용 플라스틱은 가격이 2배인데도 공급이 워낙 부족해서 없어서 못팔고 있음..
일단은 원자력발전소 근처에 짓고서 핵융합 될때까지 존버하면 괜찮을듯? 단가만 낮아지면 플라스틱은 여기저기 쌓여있으니
난 ARC 말하는건데
열분해나 화학적 해중합으로 만든 단량체는 고순도를 얻기 어려워서 품질 보증이 안됨 중합해도 물성도 제대로 안나오고 비쌈 우리나라에선 SK가 해중합쪽에 돈 떄려박고 있는데 그나마 잘 되는편인듯 덤으로 그냥 물리적 리사이클도 리사이클로 적용되서 이쪽이 더 싸게 먹힘
그건 단량체를 뽑아내는거지 본문에 나온 오일을 뽑아내는거랑 전혀 다른 기술임
모노머도 결국 열분해유로 나오고 회사간 기술의 세부 기술은 달라도 어차피 같은 목표임
현직임? 현직이 그러면 완전 잘못아는건데? 지금 열분해 당량체는 이미 현오뱅서 개발해서 뿌리고 다니는데? 물성이 안나오긴 뭐가 안나옴? 이미 인증다 끝나고 자동차쪽 소재는 납품하는구만.. 해중합이면 PET인데 내가 있는분야는 아니라 부정확한데 컨퍼런스 가보니까 코카골라 같은곳은 이미 상당부분 전환했다고 발표하던데? 그리고 물리적 리사이클도 별로 안 싸. 물리적 리싸이클은 폐자제 영향을 크게 받는데 소위 a급 폐플라스틱은 버진 원료보다 비싸게 팔리고 있고 공급이 딸림. 자동차업계는 클로즈시스템으로 운영안 짜고 있음
하 SK에서 하는건 PET만 골라서 단량체인 EG,DMT, BHET 같은 단량체를 뽑아내는 거라고요 이렇게 뽑아낸건 다시 PET로 중합할떄 쓰는거고 저건 연료로 쓰이는거라고요
현직임 열분해 단량체로 뽑아낸거 재중합 했을때 버진이랑 비교하면 물성 안나옴 고중합도 얻기도 힘들고 물리적 리사이클이 싸다고 한건 화학적 리사이클에 비해서 싸다고 한거임
ㅋㅋ 어느 회사 다님? 열분해 당량체면 가장 기본이 PE, PP인데 화학적 리사이클로 버진보다 물성안나온다고 소개한다고? PP면 롯데 한토 PMC 대한유화에 정유사 일테고 PE면 LG 롯데 한케 한토에 정유사 등등인데 ? ㅋㅋ 이들 회사다니면서 버진이랑 비교해서 물성안나온다고 한다고? ㅋㅋ 지금 케미칼 리사이클 소개말고 상업판매 시작한곳 몇안되는데 내가 그중 하나인데? 님 희사 실력이 없는건 아니고?
저기요. 납사 크랙킹하는데 불순물이 있다면 그게 뭘꺼 같아요? 설사 불순물이 섞여 있다한들 그게 PP PE중합에 끼어들어갈꺼 같나요? 프로필렌, 에틸렌 순도가 나쁘면 정제안한 원료가 아닌이상 중합시 활성에 문제 생기는 정도지 물성에 영향은 거의 안줘요. 가서 납품 받은 원료 순도보고 라이센스사에 원료 순도 기본범위 어느정도인지 보고 공부다시하고 오세요.
ㅋㅋㅋㅋ 업체 아니고 연구원인뎁쇼 살다살다 리사이클이 버진보다 물성이 잘나온단 소릴 다듣네 PP, PE는 모노머가 한종류니까 별거 없지 PET 넘어가봐라 순도 문제로 버진처럼 물성 나오나
ㅋㅋ 내가 그 업체 연구원인데요? 혹시 대학원생인가요? Krict같이 기업들이랑 현업하는 연구소만 되도 그런소리 못할텐데.. 그리고 업체 아니면 pilot도 없는곳일 가능성이 높은데 비커로 샤부작거리는거랑 공장이랑 스케일이 달라요. PET는 해중합인데 열분해가 왜나옴? 열분해 모노머면 거의 90%이상 PE PP에 쓰이니 당연 PE PP를 예시로 들어야지.
어디 대학원생인거 같은데 실제 기업과 연구소는 완전달라요. 저도 대학원서 나름 공부좀 했다지만 취직하고 느낀건데 대학원과 현업은 차이가 커요. 저기나온 재활용 연구소 연구는 이미 70-80년데 거의다 끝난거고 그걸 응용하는건데 이건 대학원/일반 연구소에서는 못하는겁니다. 특히 상용화된 고분자들은 특이한경우아니면 랩보다 공장단위 순도가 더 높아요.
으어 흥미진진한데 승부난건가?
교수 노예인 대학원생 패배임
저기서 쓰는 연료도 뽑아낸 기름으로 쓴다고 본것 같은데..
지금 우리상황 : 초 집중
발리고 잠수?
이게 진짜면 이미 이쪽 주식 다 터졋음
플라스틱이 석유에서 나오는 거니 반대도 되나 보네
돈되는 기술은 아니라
전기를 ㅈ 되게 쳐먹는다
플라스틱도 연료 정제하고 남은 거라서 싼 거라서
미래에 돈을 써서라도 플라스틱을 처리해야할 때쯤 되야 쓰겠네
게임몽상가
그걸 '돈을 써서라도 처리할때'라고해요
삭제된 댓글입니다.
게임몽상가
열분해유로 나온걸 다시 열분해에 재활용하는데
아니 그럼 그냥 소각시키는거랑 뭐가달라.,..
정확히는 원래 목표로 하는 물질 외 부생가스
문제는 투자 대비 가격인데 이익은 나오고 규모도 커지면 효율도 나온다고 봤었는데 광산 채산성 처럼 합리적인 효율이 나올지가 문제
단가가 문제지 뭐 이런건
비용때문에 상용화가 될지 안될지 확실하진않지만, 적어도 이걸로 "우리가 분리수거를 잘해야하는 이유" 정도는 된다고생각함.
저거 이미 많이 연구하고 있는 분야기도 하고 오일 생성 뒤에 뒷가공해야해서 현재 좀 어정쩡함. 오일 가격이 비싼 요즘은 채산성이 조금 나오는데 40달러 정도가면 저게 손해기도 하고. 플라스틱도 종류 좀 탐. 비닐같은거는 괜찮은데 열경화성 물질은 잘 안되고. 이래저래 좀 그럼
환원기술?!
쓰레기 처리비용 생각하면 좋은거지 뭐
울산에서 하고 있는걸로 암
이것도 찌꺼기들은 매립형 쓰레기로 되서 어딘가에 매립될걸? 그나마 이렇게라도 해야 그 쓰레기들을 조금이라도 줄이긴하겠지만 앞으로도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는 쉽지않음
단가가 얼마지?
추출비용 > 구입비용이라 효율성은 없다들었는데 기술의 발전에 의의를 둬야될듯
저거 돌리는 에너지를 무엇으로 만드냐에 따라 친환경인지가 갈리는거지. 전기차 배터리랑 전기 만든다고 환경 박살내는거랑 비슷함
완전 친환경은 아니라도 좀 더 친환경이면 할만 하다고 봄. 전기차도 그렇고
ㅇㅇ 어차피 전기차나 배터리가 아니라도 다른걸로 환경 조질거라서 연구 자체로도 훌륭하다고 생각함
과학 발전 더 빨리 됐으면 좋겠다
플라스틱의 역습 .jpg /// 기름으로 추출 ㄷㄷ
하루 100억톤..? 2019년 1년동안 세계 생산량이 5억톤이 안되는데
순수 석유로 만드는 것도 아니고 수십년동안 해류따라 떠돌다가 모이는 거라서 양이 어마어마함. 전세계 수십년치임
ㅋㅋㅋㅋㅋㅋㅋㅋ 전세계 하루 석유 소비량이 1억배럴정돈데 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좀 아쉬운건 저렇게 만든 석유라도 석유는 석유라 환경오염에 똑같이 기여하지 않나? 진짜 이젠 대륙이 될 조짐을 보이는 플라스틱들을 분해해서 환경오염이 일어나지 않는 쪽으로 재생산해내는게 더 좋았을텐데.
좀더 발전해서 효율이 좋아지면 좋겠네
처리비용 - (뽑은 기름가격 + 기존방식의 쓰래기 처리비용) 이 0 에 근접만 해도 충분히 쓸만한 기술이라서, 이미 플랜트 건설 하고 있을거임. 저걸로 절감되는 쓰래기 처리비용, 환경비용, 통제된 재활용 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방출량 절감을 생각하면 안쓸수가 없지.
이런거 이미 나온지 오래더라
채산성이 있어야 계속하는데 그냥 관리효율 자체가 개뼈다구면 저건 그냥 연구개발로 하다가 끝남.
분리수거라던가 항상 중요하다고 하는데 정작 엄청 큰 나라들에서 안 하는데
진짜라면 좋겠다.
새우깡에 미세플라스틱 있다고 하던데
미세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건 좋은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