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ix✰s
추천 0
조회 1
날짜 18:39
|
아데아
추천 0
조회 1
날짜 18:39
|
No:
추천 0
조회 2
날짜 18:39
|
루리웹-97362527
추천 0
조회 7
날짜 18:39
|
오오조라스바루
추천 0
조회 8
날짜 18:38
|
귀여운고스트
추천 0
조회 10
날짜 18:38
|
인생을 날로먹자
추천 0
조회 4
날짜 18:38
|
로아갓겜망겜한끗차
추천 0
조회 10
날짜 18:38
|
루리웹-5763879843
추천 0
조회 34
날짜 18:38
|
데어라이트
추천 1
조회 70
날짜 18:38
|
ManOfSteel
추천 1
조회 28
날짜 18:38
|
주땡1
추천 0
조회 10
날짜 18:38
|
metal1
추천 0
조회 31
날짜 18:38
|
백흑
추천 0
조회 12
날짜 18:38
|
수풀코끼리
추천 0
조회 32
날짜 18:38
|
ashiwood
추천 1
조회 28
날짜 18:38
|
◆고기방패◆
추천 1
조회 55
날짜 18:38
|
팬텀페인
추천 0
조회 63
날짜 18:38
|
당글둥글당근
추천 1
조회 40
날짜 18:38
|
반박시내여친
추천 1
조회 92
날짜 18:38
|
셊곖쵮곲읪횞삾캆캆옶
추천 2
조회 94
날짜 18:38
|
루리웹-2891486543
추천 0
조회 89
날짜 18:37
|
회초리무한대
추천 0
조회 103
날짜 18:37
|
深く暗い 幻想
추천 2
조회 109
날짜 18:37
|
개꿀잼
추천 5
조회 118
날짜 18:37
|
무력곰
추천 2
조회 194
날짜 18:37
|
플랑도르_스칼렛
추천 1
조회 122
날짜 18:37
|
하루잘리
추천 3
조회 210
날짜 18:37
|
본문
BEST
만화 실사화 인정 안하는 이유 : 만화 설정 신경쓰느라 감독 권한 제한 걸림 근데 놀란도 다크나이트 만들었잖아 : 워너에서 놀란보고 만화 원래 설정 신경쓰지 말라며 무한의 감독 권한을 줘서 그 예시는 적절하지 않음
이어 마틴 스코세이지는 스트리밍 시대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제작된 콘텐츠는 진짜 영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이 영화를 만드는 것과 거의 비슷하다”라면서 완전히 새로 만들어진 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목을 보고 저런 제목이 나온 것 같은데 이건 매스 프로덕션으로 만들어지는 영화 시장의 구조 자체에 대한 비판이지 특정하게 “만화 실사화 영화” 에 대한 비판이라곤 생각이 안 들어서
영어 원문을 읽어봐야 하겠다만 일단 본문만 읽어 봤을 때는 제목은 되게 확대해석 같네 https://tvreport.co.kr/world/article/760003/?amp=1
몇날 며칠 달릴 만한 얘기도 아닌데 계속 올라오네
https://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3306236? 어제 똑같은 키배 있었으니까 그냥 참고들하셈
다크나이트는 영화 아닌가 그럼
할리우드에서 몇 안되늨 전권가지는 감독이니까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4127217419
할리우드에서 몇 안되늨 전권가지는 감독이니까
루리웹-4127217419
헐리웃에서 편집까지 전권 쥐고 휘두를 수 있다고 공인된 감독이 스티븐스필버그, 제임스카메론, 크리스토퍼 놀란 딱 세사람 밖에 없음 나머지 거장들조차 제작사의 입김에 휘둘리는게 그 바닥
다크나이트는 영화 아닌가 그럼
택시드라이버에서 따와 만들어진 조커도 만화 실사화나 다름없는데
https://www.google.com/amp/s/news.sbs.co.kr/amp/news.amp%3fnews_id=N1005589287 전에 봤던 기사인데 조커는 자기 영화 따라했다고 볼필요 없다고 하는 느낌임
조커는 근데 택시 드라이버랑 코미디의 왕에 조커 섞어서 리메이크한 느낌이긴해
만화 실사화 인정 안하는 이유 : 만화 설정 신경쓰느라 감독 권한 제한 걸림 근데 놀란도 다크나이트 만들었잖아 : 워너에서 놀란보고 만화 원래 설정 신경쓰지 말라며 무한의 감독 권한을 줘서 그 예시는 적절하지 않음
실제로 배트맨 비긴즈랑 비교해도 알수 있지
놀란이 무한의 주인 감독한다고 잘못읽어서 순간 설렜다...
올드보이는 어떤예임?
이게 진짜 아이러니한점이지 원작 설정을 완전히 따르지 않아도 된다는 권한이 주어지니까 다크나이트같은 명작이 나오고 원작처럼 ㅆㅂㅅ 매드사이언티스트로 아이언맨이 나왔으면 MCU 1쿨은 나오지도 못했을듯
극초반 소재를 가져와서 그냥 다른 작품을 만들어버림 원작자가 영화보고 본인 작품보다 훨씬 좋다고 극찬했을정도
만화 스토리 그대로 따라가는 이야기하는 거 같음 원작 만화 세계관만 비슷하고 이야기는 자기 창작한 건 예외인 듯
영어 원문을 읽어봐야 하겠다만 일단 본문만 읽어 봤을 때는 제목은 되게 확대해석 같네 https://tvreport.co.kr/world/article/760003/?amp=1
호바밧박사
이어 마틴 스코세이지는 스트리밍 시대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제작된 콘텐츠는 진짜 영화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인공지능이 영화를 만드는 것과 거의 비슷하다”라면서 완전히 새로 만들어진 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목을 보고 저런 제목이 나온 것 같은데 이건 매스 프로덕션으로 만들어지는 영화 시장의 구조 자체에 대한 비판이지 특정하게 “만화 실사화 영화” 에 대한 비판이라곤 생각이 안 들어서
저거 원문 봤는데 superhero movie는 movie고 cinema는 죽어가고있다 이런거드라 솔찌 난 이미 대형 프랜차이즈 영화가 다 먹는진 오래되지 않았나 싶어서 별로 동의는 못하겠더라구
뭐 대충 다크나이트처럼 만화 기반으로 새로 창작한 영화가 아니라 그냥 실사화한걸 영화아님인듯.
또 그 새끼 출몰할듯
파란물병과 ㅈㅈㅅㅈㅈ?
당연하지 영화(시네마)는 아님 영화(무비)는 맞아도 놀란도 시네마를 만들지맠 배트맨은 무비지 뭐 한 50년 뒤면 다크나이트만 시네마 취급 받겠지
다크나이트는 이미 시네마 취급 아닌가...
몇날 며칠 달릴 만한 얘기도 아닌데 계속 올라오네
부공실사
https://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3306236? 어제 똑같은 키배 있었으니까 그냥 참고들하셈
이 발언이 어떻게 평가될지 현재의 신작영화들이 클래식으로 분류 될 50년 100년 후의 영화인들과 대중들의 반응이 궁금하다.
시네마/필름/무비를 따로 보는데 번역할때는 걍 다 "영화"로 해서 생기는 혼동임
그럼 칸 영화제에 심사위원상 받은 것도요?
이건 심사위원 전원 만화의 존재자체도 몰랏을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것도 원작에 아이디어만 땄지 사실 다시만든 급이라...
사실 그 아이디어가 중요한 거긴 함. 결국 스콜세지가 주장하는 것도 그 아이디어의 창의성 문제니깐 ㅋㅋㅋㅋ
올드보이가 원작의 아이디어를 참고해서 재창조 수준으로 각색한 작품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결국 원작의 아이디어가 있어서 만들어진 훌륭한 작품이라는 것도 부정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함. 그 아이디어가 기발하고 좋은 것임을 인정했기에 영화도 결국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하고 리메이크를 만든셈이니깐.
원작은 악역이 평상시 행동을 연기하는거라고 내면을 주인공한테 들켰다고 가둔내용이라 걍 똥망작임 시나리오 처음 나왔을때는 원작존재도 몰랐음
원작 직접 보았습니다. 역시 볼필요없었습니다
닼나나 올드보이는 솔까 모티브잖앜ㅋㅋㅋㅋㅋㅋ
기사 읽어봤는데 기레기가 제목 어그로 끈거.
마틴스콜세이지 : 설국열차 올드보이는 영화도 아니야
맞는소리기도 아니기도하다고봄 원작에얽매여서 만회책장면을 어떻게 화려하게보여줄까만생각하는 영화에대해 이야기하는 거겠지 만화의 컨셉만 가지고 스토리를 새로만드는영화는 다르다고생각함
마틴 : 제가 이런 소리를 했다구요? 갑자기 끌려와서 쳐맞은 놀란 : 제가요?
마틴옹은 '좋은 영화란 다른 매체로는 대신할 수 없는 영화로서의 창작물이어야 한다'라는 관점을 계속 고수하시는 듯. 모든 창작물에 있어서 원론적인 주장(만화는 만화답게, 게임은 게임답게)이라서 납득은 가네.
인간으로 만든 셀화
자꾸 마틴이 기레기 당했다 이런일이 처음도 아니고 이쯤되면 그냥 아 그건 예외고 아 그건 이래서 괜찮고를 나중에 붙여야만 정당화되는 마틴 본인의 주장에 허점이 있는 게 아닌지...
최소한 인터뷰 전문이라도 읽어보면 이딴 소릴 못할텐데 https://www.gq.com/story/martin-scorsese-profile
기레기가 싸지른 똥에 속는것도 한두번이지
거장이라 원론주의자 성향이 쎄
https://www.gq.com/story/martin-scorsese-profile 이게 원래 인터뷰 전문이니 참고할 사람들은 참고하시고 정확히는 마블이나 디씨의 시스템화된 영화들은 특정세대나 집단에게만 소구될뿐 다른 다양한 집단들을 포용하지 못해서 영화의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의미의 인터뷰 https://www.latimes.com/entertainment-arts/story/2023-09-25/martin-scorsese-wants-moviegoers-to-fight-comic-book-movie-culture-save-cinema 코믹북 운운하면서 인용한 기사는 LA타임즈의 이기사 마틴스코세지는 만화 실사화는 영화가 아니란 인터뷰를 안함 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