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네르
추천 0
조회 1
날짜 13:30
|
몽골리안갱뱅크림파이
추천 0
조회 3
날짜 13:30
|
신고받고온와타메이트
추천 3
조회 54
날짜 13:30
|
에레쉬키갈
추천 1
조회 46
날짜 13:30
|
갈비_
추천 1
조회 44
날짜 13:30
|
어둠의민초단
추천 3
조회 153
날짜 13:29
|
루리웹-8948271719
추천 0
조회 55
날짜 13:29
|
바닷바람
추천 2
조회 179
날짜 13:29
|
루리웹-4304559398
추천 0
조회 50
날짜 13:29
|
파이올렛
추천 1
조회 48
날짜 13:29
|
루리웹-7131422467
추천 1
조회 80
날짜 13:29
|
게임안함
추천 1
조회 84
날짜 13:29
|
㉿인증
추천 1
조회 62
날짜 13:29
|
사람77
추천 0
조회 32
날짜 13:29
|
감동브레이커
추천 3
조회 101
날짜 13:29
|
죄수번호-2853471759
추천 0
조회 89
날짜 13:29
|
우와와왕 토요네
추천 1
조회 132
날짜 13:28
|
스카디_
추천 0
조회 91
날짜 13:28
|
왜 안되지?
추천 0
조회 53
날짜 13:28
|
금마리
추천 2
조회 93
날짜 13:28
|
루근l웹-1234567890
추천 1
조회 276
날짜 13:28
|
호바밧박사
추천 1
조회 141
날짜 13:28
|
무뇨뉴
추천 0
조회 92
날짜 13:28
|
Mystica
추천 0
조회 27
날짜 13:28
|
리샤 마오
추천 0
조회 51
날짜 13:28
|
금빛곰돌이
추천 3
조회 176
날짜 13:28
|
GoYangE
추천 0
조회 33
날짜 13:28
|
디시
추천 0
조회 82
날짜 13:28
|
본문
BEST
닌텐도DS칩들도 사망한거보고 나도 늙었구나 생각함
늘 저장장치의 수명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걱정해야하는 시대가 왔군
이거 다른데서 반박끝난건데 10년은 보관상태 최악으로 뒀을 경우의 가정이라고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blu_ray&wr_id=2589227&sca=&sfl=wr_subject&stx=%EC%88%98%EB%AA%85&sop=and&scrap_mode=
1000년 가는 광디스크로 백업본을 만들어야
내 ps2 타이틀 들이 위험해...
와 몰랐는데 ㄷㄷㄷ 반영구가 아니었다니
닌텐도DS칩들도 사망한거보고 나도 늙었구나 생각함
그거 DS가 아니라 3DS칩 아니었음?
ㅇㅇ 3ds, 다만 죽은 칩들이 특정년도에 치중된거보면 공정상 문제였나바
21세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소실 아 나의 딸만 대장경들이여
난 스위치 칩이 패키지 안에만 보관했는데 사망했더라구
헐... 나도 확인해봐야겠네.
CD 수명이 진짜 길었구나
걍 ssd나 usb 써야 할듯. 가격도 싸고.
ssd는 장기간 보관하는데 안좋을걸요 데이터가 삭제될수있음 장기간 보관이면 주기적으로 HDD에 전력보급해서 보관하는게 더 길거임
ssd랑 usb가 수명이 더 짧지 않나?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 인가가 전혀 안 되면 2년 정도부터 데이터 변형이 일어남.보관 온도가 높을수록 더 짧아지고 그래서 1년 정도면 전원 넣어주고 셀 리프레시 해줘야 안전함. 즉. 데이터 보관 용으로는 좋지 않은 게 사실임.
내 ps2 타이틀 들이 위험해...
https://youtu.be/OlzVZdRpd08 dvd롬 싼 거 사다가 iso 파일 만들어봐 나도 시도해서 성공함
재밌는건 옛날에 중고구매했는데 플스에서 디스크를 못 읽어서 실행 안됐던 프메 1을 갖고있는데 iso 로 뜨니까 실행 되드라
이미지 떠놔야지
그건 DVD문제가 아니라 플스렌즈가 맛이 간거 같은데
아냐 그땐 플스2 현역으로 굴릴때였는데 딴 건 다 이상없이 잘 됬었거든
유독 프메 1만 읽다가 멈춰서 포기하고 있었음
와 몰랐는데 ㄷㄷㄷ 반영구가 아니었다니
ㅇㅇ 아날로그가 더 오래 살아남음
진정한 반영구는 돌에다 금속가루 착색시킨 암벽화들이라더라
미 의회도서관이었나 마이크로 필름에 새겨서(물리) 보관하는 자료들 있다던데
진공포장하면 좀더 오래갈려나?
그래서 별도로 M-DISC같은 수명에 특화된 DVD호환 매체도 나오고 했는데...(레이져로 돌을 깍아서 물리적으로 기럭) 그것도 현재 파산했다고 알고 있고.
그것도 몇억년까진 못버틴다던데;; 그래서 공룡들이 남긴 암벽화가 없잖아
처음 시디가 나왔을때는 고급 염료를 사용해서 반 영구적이었는데 단가 때문에 저렴한 염료가 계속 나오면서 수명이 짧아졌습니다. 시디에 사용하는 염료가 금속 물질인데 공기중에 산화(부식) 되면서 나중에 인식을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옛날 공시디는 진짜 골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부식에 매우 강한편 입니다. 이후에 벌크로 나왔던 저렴한 공시디들은 저렴한 염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부식에 취약해서 몇년 지나면 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요. 그래서 중요한 자료는 고급 공시디를 사용해서 저배속으로 구우면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고배속으로 구우면 속도 때문에 표면에 얇게 새겨지면서 더 짧아집니다.) 저도 옛날에 구워둔 시디들 대부분이 다이오유덴이나 필립스라서 작년 가을에 테스트 해봤는데 잘 읽어지더라고요. 참고로 공장에서 프레스로 찍어서 나온 시디들도 동일합니다. 게임책 번들로 제공된 부록 시디들은 저가 염료를 사용해서 작년 가을에 테스트 했을때 잘 못읽더라고요. 반대로 정품 게임 시디들은 아직도 잘 읽어지고요.
1000년 가는 광디스크로 백업본을 만들어야
광디스크 수명 존나 짧네 진짜 ㅋㅋㅋ 이런거보면 게임도 걍 DL로 전환하는게 맞긴 맞음
DL도 서비스하는 쪽에서 그만두면 기존에 설치해두는게 아닌 이상 더는 못하게 되니 마냥 대체된다고 하긴 뭐함. 특히 3DS나 Wii 쪽 스토어 문닫는거 보면...
그쪽은 구 네트워크 서비스라서 문닫은거라 스위치쪽은 괜찮을거라 생각합니다.
갑자기 팍줄어드네 ㄷㄷ
천공카드가 답이다...!
늘 저장장치의 수명에 의한 데이터 손실을 걱정해야하는 시대가 왔군
빨리 돌에 새겨!
세기의드립을치고싶다
먼 미래의 후손들:" 전 세계를 뒤져도 1화만 남아있다...북두의 권을 전부 모으면 세계를 지배할수있는 힘이 주어진다고한다."
이래서 기록용으로는 아날로그를 선호하는 곳이 많아. 물론 클라우드라는 대안이 생기긴 했지만.
혹시 닌텐도 칩도 그럼?
이미 10년도 채 안된 3DS 팩 일부는 구동 불능이 되버림 40년 된 패미컴 팩도 멀쩡히 돌아가는데...
헐
다시 패미콤이나 모아야하나.....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 수명종료는 이미 유명한 얘기임
소장하기엔 생각보다도 진짜 짧네;
그....소장용이라고 사는거 보다 영상 파일잌ㅋㅋ 살아남는 엔딩인가 ...아...
저장매체 중 가장 유통기한 긴 게 석판이지 ㅋㅋㅋㅋ
근본 아날로긐ㅋㅋㅋㅋ
점토판 구워도 제법 괜찮다구요
메소포타미아인 : ㄹㅇㅋㅋ
그럼 블루레이 산 사람들 오래오래 보고 싶으면 뭐 BD버전 불따라도 해야되는 거임...?
산 다음 립떠야지 직접...
게임 타이틀들 어쩌냐... 리마스터라도 해준 것들이면 다행인데 없는애들은...
아니... 5~10년짜리 수명 기록메체였다는건 상상도 못했네.. 너무 짧은거 아닌가?
아직도 현시대 최강의 저장매체는 돌에 세겨넣기..
근데 블루레이나 DVD나 목적 자체가 소장용인거 맞음 요즘은 블루레이나 DVD사도 시청은 스트리밍으로 보는게 추세라서
나도 ps2게임시디들 정품 사 놓고 정작 플레이는 iso떠서 에뮬로 함
카우보이 비밥 보면 VHS같은 자기테입이 광매체보다 더 수명 긴 것 같던데
VHS도 오래놔두니까 이상해져서 다 버렸어.....
이거 다른데서 반박끝난건데 10년은 보관상태 최악으로 뒀을 경우의 가정이라고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blu_ray&wr_id=2589227&sca=&sfl=wr_subject&stx=%EC%88%98%EB%AA%85&sop=and&scrap_mode=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blu_ray&wr_id=2588894 거기다 그때 유게에 글 쓴 사람이 없던 dvd프라임 여론 만들어서 거기 현지인들 이런 여론 없었는데 당황스럽다 이런 글들 나왔지 ㅋㅋㅋ
주기적으로 올라옴 그리고 게임 디스크 같은 건 최고급 프레싱으로 생산해서 수명 걱정하는 게 진짜 호들갑
진짜 개억까임.
진공포장해놔도 기간의 변동이 없을까요?
한 5년 전까진 내가 가지고 있던 3차 알파 살아있었는데 지금은 어떨깤ㅋㅋㅋㅋㅋㅋㅋ?
영원한것은 없다지만 영상매체 보관용치곤 좀 짧은것같기도 하네
시벌 케이스에 넣어두는 의미가 없는거여??
ㄴㄴ 케이스에 안 넣고 햇빛에 막 비추면서 고온 다습한 곳에 널부러졌을때의 수명이 10~20년이란 소리임 잘 보관하면 50년 이상
아하 ㅋㅋㅋㅋ 아 내 블루레이들도 머지 않아 죽을거란 생각이 들어서 존내 빡칠 뻔 ㅋㅋㅋ ㄱㅅㄱㅅ
일본에서 ps1이나 그 시절 cd들 날라가는것도 종종 올라오는거랑 같이 보관한 10년은 더 오래된 cd들도 멀쩡한거 많은거 보면 생산과정이랑 이런저런 요소의 Cbc 같음
공장에서 프레스 찍어낼때 싸구려 염료를 사용해서 그럴껍니다. 옛날 게임책 부록으로 지급된 번들 시디들을 작년에 테스트 했을때 안 읽어지는 것이 많더라고요. 반대로 비슷한 시기에 나온 정품 게임 시디들은 전부 잘 읽어지고요. 단가 때문에 싸구려 재료로 프레싱해서 시디마다 수명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 불량증착 블루레이 문제 등으로 재생 안되는 것들이 한번 훑고 지나갔지 살때는 가격이 중요하기 때문에 결국 저렴한 소재로 만든 기록층이 많다보니 10년도 안가는것도 더러 나올듯
30년 넘은 CDR 아직도 읽히드라 물론 그땐 싸구려CD따위 없었고 코닥 골드/필립스 골드 같은 만원넘는 CD만 있던 시절이라 품질이 좋았음 ㅋㅋㅋ
그때는 진짜 골드를 사용해서 그렇습니다. 나중에 나온 공시디들은 싸구려 염료를 사용해서 부식에 취약해서 수명이 짧고요. (골드는 부식에 강함)
싸구려들은 쉽게 가버리기는 하는데 10년은 과장일걸.
그래서 사진이나 중요한 파일은 주기적으로 관리 해야 한다더라.
다 처분하길 잘했네 ㄷㄷ
자기 테이프도 길어야 30년이네
근데 자연적으로 빛이나 이런거로 인해서 망가지는거 말고.. 뭐 수명과는 관계없는거지만 블루레이의 경우에는 일부 애니와 영화 bd디스크에서 발생했던게 디스크가 갈변되면서 안읽히는 현상이 있죠.. 대만 지진났을 당시에 만들어진 디스크로 제작된게 그렇다는 썰도 있는데 그건 모르겠지만.. 일부 제조사에서 특정시기에 나온게 그런거같기도 하고 제가 가진 것중에는 공각기동대 sac 세트하고 뮤지컬영화 RENT가 갈변생겨서 안읽히네요 렌트는 산지 오래되서 제조사에서 리콜여부가 있었는지도 모르겠고 공각기동대는 판매한지 얼마안되서 생겨서 리콜해준다 뭐 그러면서 카페도 생기고 그래서 신청했는데 전 결국 연락못받았고 저도 까먹고 있어서 교환도 못받았네요
스타워즈 클래식 트릴로지 DVD셋을 구매해놓고 볼 시간이 없어서 방치하다가 약 일년 후에 돌려봤는데, 제국의 역습이 재생이 안되더라. 초기불량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신뢰가 없어져서 이후로 광매체는 거르기 시작했음.
역시 전통의 종이가 짱이구나
애니 보존한다고 4기가짜리 dvd에 애니 넣던게 엇그게같은데 개쓸데없는 노동이었네ㅋㅋㅋ
2000년에 나온 플스2 게임 아직도 작동되는데?
관리를 잘못하거나 생산 시 제대로 만들지 않아서 몇십년 지난 후 파손되는 물건들이 나오는 거지.
데이타 최고시다
내가 DVD수집하는데 쓰는 환경 따라 툴림 자주 재생해서 ㅂㅈ 않았으면 괜잖음 1997년 나온 DVD도 아직 잘됨
역시 영구보존 매체는 모양을 갂아서 저장하는 레코드판 뿐이군. 소리만 저장되지만
아니. 아날로그 매체는 재생만 해도 지속적으로 매체가 파손돼 테이프는 결국 늘어지고 lp는 바늘이 판을 긁어서 음질이 저하돼
90년대 게임 사운드트랙 시디 오랜만에 다시 무손실로 리핑하려 보니까 뒤졌드라고...
dvd 산 사람들은 본편보다 부가영상이 더 중요하지 않나?? 본편은 구하기 쉬운데 부가영상은 따로 누가 올리지 않는 이상 날아가면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