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더 많이 줘도 주인의식은 안생김.
주인이 되어야 주인의식이 생김.
그러면 '주식을 나눠줘서 주인으로 만들어주면 하느냐?'라고 하는데 내가 진짜 공동 주인이 되는지에 따라서 달라짐.
공동 주인이면 원래 주인하고 맞다이 깔 수 있어야함.
받는게 개평 수준이면 걍 뽀나스 받은 직원이지 주인이 아님.
뭐. 결국 위치에 따른 책임감에 대해서 어필 할 수 밖에 없음.
해당 위치에 맞는 보상을 주는가 여부는 별개이고
그냥 그 위치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책임감을 붙잡는 수 밖에 없는데.
'보상 주는만큼 하겠다'는 것은 '보상에 대한 책임감만 확실히 하겠다'라는 것이고.
모두 다 그런 삶을 사는 것은 아니라서 이걸 강조하기 어렵지.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회사가 빡세면 회사욕하지만
회사가 널널하면 직원들이 어떻게든 월급루팡짓 하려고함
야근하라는것도 아님 부당한일 하라는것도 아님
그냥 근무시간에 제대로 일 하는것조차
그냥 어떻게든 꿀빨려고 회피하는 새끼들이 존나 많음
솔까 주인의식 열정 이딴거 가질필요는 없지만
최소한의 일에대한 책임은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현재 몸 담고 있는 분야에서 내가 언젠가 사업을 일으킬 거라면 주인 의식을 가져보는 건 좋은 동기부여와 경험이 됩니다.
계약된 업체와의 일처리라던가 직원으로서 일할 때는 보이지 않던 운영적인 부분이 눈에 들어오거든요.
물론 당연한 얘기지만 사장이 시켜서가 아니라 내 스스로 해야만 의미가 있죠.
열정 : 현재 자신의 상황 대비 더 많은 아웃풋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노력 : 아무것도 체크 안하고 현재 상황 대비 더 많은 아웃풋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책임감 : 현재의 위치에 대한 요구사항을 완수하려고 하는 것
주인의식 : 주인이라는 위치에서 나오는 무한 책임의식을 갖는것
뭔가 더 뽑아내려고 하면 열정, 노력을 강조해야 하고
기본이라도 잘하자라는 말을 하고 싶으면 책임감을 강조해야 하고
무한하게 뽑아내려면 주인의식을 강조해야 하고.
타당한게 책임감인데 주인의식은 너무 나갔지.
나도 동의함... 사람의 성향 차이라 뭐라고 할 수 없음
아무리 일을 잘해도 직원 성향인 사람은 계속 직원 성향임
그래서 과거 실적이 화려해도 결국 회사를 찾는 형태로 일을 이어 나감
반면 주인 의식 가진 사람은 계속해서 주인 의식을 가지고 있고 직원으로 복종시키는게 어려움
왜냐하면 이런 사람은 회사, 사람에게 충성하는게 아니라 자신의 일에 충성하는 거거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자 케이스에 주인의식 가지라고 갈궈 봤자 잘 안 먹히고,
마찬가지로 후자 케이스에 시키는데로 하라고 갈궈 봤자 잘 안 먹힘
어느게 나쁘다 좋다가 아니라 그거에 그냥 맞춰서 필요한 사람 뽑고 같이 일할 사람 고르고 뭐 그런거일 뿐
사장이랑 같은 수입을 받는다면 주인의식 생김
대충 식당 주인이 직원들에게 주인 의식을 심어줄 방법 없을까 물어보자 그런 거 없어요 하는 백종원 짤
ㄹㅇ 저 소리 하는 사장은 노답임
저 말 하는 의도조차 화남. 대충 돈안주고 니가 알아서 열심히 일하면 안될까 이거라서
아무런 권한도 없는 주인이있다?
회사의 주인이니깐 이익분배도 되는건가요?
아무런 권한도 없는 주인이있다?
ㄹㅇ 저 소리 하는 사장은 노답임
회사의 주인이니깐 이익분배도 되는건가요?
사장이랑 같은 수입을 받는다면 주인의식 생김
대충 식당 주인이 직원들에게 주인 의식을 심어줄 방법 없을까 물어보자 그런 거 없어요 하는 백종원 짤
번돈을 n빵치면 1g 생길지도?
진짜 노동자들이 경영권 가지는 노동자 자주관리 기업으로 전환하면 주인의식 생김
주식을 한 50프로 쯤 떼어주면... 상기려나?
엔비디아가 실제로 주식 배분 해주니까 다들 주말에도 나와서 일한다더라.
스톡 옵션이 괜히 효과 좋은게 아님~
우리나라에서 그건 탈세로 간주되서 없어졌어요..
내가 주인이 아닌데 뭔 주인의식이야 시발 새끼들아ㅋㅋㅋㅋㅋ
저 말 하는 의도조차 화남. 대충 돈안주고 니가 알아서 열심히 일하면 안될까 이거라서
회사 지분을 줘라
이 다음에 무슨말을 했을지가 궁금하네요 ㅇㅇ
https://www.youtube.com/watch?v=zpqSfcypWTk&list=PLoABXt5mipg5dHfmiwu9YbJUaPEIRThVU&index=1 아. 여기 링크중에 하나인데 아까 공유한 링크는 다른 링크였네요. 찾아야함...
아. 감사합니다 ㅎ 한번 시간 날 때 찾아봐야겟네요~
속으로 이렇게 생각할듯=
주인의식을 가져라 = 별 쓰잘데기 없는 데에도 배려하고 센스를 발휘하라
그럼 대주주 자리는 내놓고 ㅈㄹ하던가.
회사의 주인은 주주다. 왜 주인의식을 가지라면서 왜 주인에게 배당은 안 하냐?
저번에 주인의식 가지고 동덕 사건에 가게 이름걸고 성명날린 서브웨이 알바사건 이후론 그냥 웃음만 나옴 ㅋㅋ
인센을 존나 챙겨주면 되지 않을까
진짜 주인이면서도 주인의식이 없는 경우가 태반임. 일단 진짜 주인이 주인의식을 갖는 게 좋지 않을까?
최저시급주고 주인의식 가지라고 하면 잘먹히겠다.
주인이엇으면 사장부터 잘랐지 ㅅ1발아
렬정이니 로오오력이니 주인의식이니 같은 개소리 지껄이려면 적어도 자기 외동딸 처녀막 정도는 찢게 해줘야 할 자격이 있다는 걸 모르는 빡ㅂㅅ통대가리들이 현 시대엔 너무 많아.
주인만큼 받으면 주인의식 알아서 생김. 옆에서 직접 봤는데 주인보다 더 열심히함
직원을 주인으로 만들어주면 됨
돈 퍼부어주면 주7일 근무도 함
돈을 더 많이 줘도 주인의식은 안생김. 주인이 되어야 주인의식이 생김. 그러면 '주식을 나눠줘서 주인으로 만들어주면 하느냐?'라고 하는데 내가 진짜 공동 주인이 되는지에 따라서 달라짐. 공동 주인이면 원래 주인하고 맞다이 깔 수 있어야함. 받는게 개평 수준이면 걍 뽀나스 받은 직원이지 주인이 아님. 뭐. 결국 위치에 따른 책임감에 대해서 어필 할 수 밖에 없음. 해당 위치에 맞는 보상을 주는가 여부는 별개이고 그냥 그 위치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책임감을 붙잡는 수 밖에 없는데. '보상 주는만큼 하겠다'는 것은 '보상에 대한 책임감만 확실히 하겠다'라는 것이고. 모두 다 그런 삶을 사는 것은 아니라서 이걸 강조하기 어렵지.
왜 카카오 보면 주식 나눠줘서 주인의식(이자노예) 만들어 굴리잖아 ㅋㅋㅋㅋㅋㅋㅋ
그건 쇠고랑을 나눠줬는데 스스로 찬거고.....
보너스 하고 회사 지분(주식) 하고는 좀 다른 개념인게 지분은 회사가 더 버는 파이 만큼 내 수익이 보장된다는 거임. 보너스는 업주가 회사 수익을 감안하긴 하지만 회사수익에 따라 확실한 보장이나 손실이 아님.
주인의식을 줄려면 스톡옵션과 임직원 할인가로 주는 ESPP를 줘 그럼 개처럼 일할거야 미국처럼 근데 여긴 국장이 ㅂㅅ이잖아 ㅎㅎ 안되겟네
저렇게 말하는 미놈들은 실제로 직원이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일하면 "네가 뭔가? 네가 사장이야? 왜 네맘데로 행동해?" 이럼 ㅋㅋㅋㅋ 걍 답없는 ㅂㅅ 들임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회사가 빡세면 회사욕하지만 회사가 널널하면 직원들이 어떻게든 월급루팡짓 하려고함 야근하라는것도 아님 부당한일 하라는것도 아님 그냥 근무시간에 제대로 일 하는것조차 그냥 어떻게든 꿀빨려고 회피하는 새끼들이 존나 많음 솔까 주인의식 열정 이딴거 가질필요는 없지만 최소한의 일에대한 책임은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그건 회사 업무 분장이 문제가 있어서 제대로 안돌아가는것. 개인의 문제라기 보단 회사가 문제임.
내가 여길 2년동안 다녔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사람새.끼 문젠데..
그걸 회사에서 못하게 시스템정비해야된다고
인간이 백날 그거 걸러봐야 조직의 20퍼센트는 그런사람이 됨 20쳐내도 20생김 이걸 시스템적으로 최대한 막는게 회사일이고
그 사람 새기를 회사가 방치한다는 이야기 임.
주인의식은 당연히 없는건데 책임감은 적어도 있어야하는거 아니냐... 본인 혼자하는 일도 아니고 타팀한테 자료 넘겨야하는데 도대체 왜 안하고 그냥 퇴근시간되면 쌩하고 가는거야
주인도 못 가지는 경우가 수두룩한데 주인도 아닌 사람에게 주인의식을 가지라니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주인의식ㅋㅋㅋ 세뇌도 돌고돌아 복고풍이네
현재 몸 담고 있는 분야에서 내가 언젠가 사업을 일으킬 거라면 주인 의식을 가져보는 건 좋은 동기부여와 경험이 됩니다. 계약된 업체와의 일처리라던가 직원으로서 일할 때는 보이지 않던 운영적인 부분이 눈에 들어오거든요. 물론 당연한 얘기지만 사장이 시켜서가 아니라 내 스스로 해야만 의미가 있죠.
주인놈들이 주인의식이 없는데 뭔 주인 의식임ㅋㅋ
직원한데 일 맡기고 나오는 성과에 단 10분의 1, 100분의 1만 인정해줘도 자기 돈 더 벌려고 미친듯이 일할텐데 그거 아까워하는 기업이 천지임
주인이 아닌데 어떻게 주인의식을 갖죠? 심지어 사장조차 주인의식이 없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도 비일비재 한데 ㅋㅋㅋ
주인의식 가지는 사람이 간혹있는데 그 경우에 높은 확률로 나가서 독립함 왜냐면 자기도 사장될려면 존나 열심히 배워놔야 독립하거든 ㅋㅋ
근데 주인의식 가지고 존나 열심히 해서 나간다고 하면 배신자 취급함 ㅋㅋㅋ
전설에 내가 일가르쳐줬으니 돈을 받야한다ㅋㅋㅋㅋ 대체 몇번 들은건지
주인이라는 말에 아주그냥 긁혀가지고 그냥 좀 잘해라 라고 알아처들으면 될껄 ㅋㅋㅋ
그딴 충고안들을려면 열심히하면됨 잘하는사람한테 저딴소리안함 충분히잘하고 있어서 고맙다고하지 꼭 일못하는새키들이 한소리듣고 개발작한다니까 ㅋㅋㅋ
아무리 잘해봐야 사장놈들의 욕심엔 끝이 없을뿐 ㅋ
우리는 군청이 상급 기관인데 공무원 이란 놈들이 단기 알바직 한테 주인의식 저 ㅈㄹ 그 와중에 장기 계약하면 절박함이 없어서 단기만 뽑아야한다고 헛소리를ㅋㅋㅋㅋㅋㅋ 지는 9급 따리 주제에
열정 : 현재 자신의 상황 대비 더 많은 아웃풋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노력 : 아무것도 체크 안하고 현재 상황 대비 더 많은 아웃풋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책임감 : 현재의 위치에 대한 요구사항을 완수하려고 하는 것 주인의식 : 주인이라는 위치에서 나오는 무한 책임의식을 갖는것 뭔가 더 뽑아내려고 하면 열정, 노력을 강조해야 하고 기본이라도 잘하자라는 말을 하고 싶으면 책임감을 강조해야 하고 무한하게 뽑아내려면 주인의식을 강조해야 하고. 타당한게 책임감인데 주인의식은 너무 나갔지.
나중에 주인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주인의식 가지고 일함. 내가 그랫고 주변에 창업한 사람들 다 똑같이 회사생활할땐 진짜 몸받쳐 일했음. 일 잘해도 주인의식 없이 일하는 사람들은 아직도 계속 직장생활 함. 잘잘못을 따지자는건 아니고 어떻게 살것인가 선택한는것이라 생각함
맞음. 결국 내 미래는 내가 만드는거임 늘상 불만만 가득하고 사회탓 회사탓 정부탓 탓탓탓만 하면서 스스로 발전 못하면 항상 그자리지. 주인의식까지는 좀 그렇다쳐도 주어진업무 책임다하다보면 앞으로나아갈기회는 분명있음.
나도 동의함... 사람의 성향 차이라 뭐라고 할 수 없음 아무리 일을 잘해도 직원 성향인 사람은 계속 직원 성향임 그래서 과거 실적이 화려해도 결국 회사를 찾는 형태로 일을 이어 나감 반면 주인 의식 가진 사람은 계속해서 주인 의식을 가지고 있고 직원으로 복종시키는게 어려움 왜냐하면 이런 사람은 회사, 사람에게 충성하는게 아니라 자신의 일에 충성하는 거거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자 케이스에 주인의식 가지라고 갈궈 봤자 잘 안 먹히고, 마찬가지로 후자 케이스에 시키는데로 하라고 갈궈 봤자 잘 안 먹힘 어느게 나쁘다 좋다가 아니라 그거에 그냥 맞춰서 필요한 사람 뽑고 같이 일할 사람 고르고 뭐 그런거일 뿐
압도적인 월급만이 주인 의식을 갖게 한다.
주인의식이 저 용도로 한참 더 먼저 쓰인 말인데?
그러면 주인 대접은 해주냐?
돈을 사장만큼 주면 주인의식 새익ㅁ
주인처럼 대해주고 돈 주면 주인의식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