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을 {1,2,3...n}에서 {1,2,3...n}으로 가는 일대일 대응 함수들의 집합이라 하자.
여기서 합성을 *라 하자.
n이 3 이상인 경우 S(n)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해 a*b=b*a (b∈S(n))이면
b는 항등함수로 유일함을 증명하라.
답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마리영
추천 0
조회 3
날짜 11:22
|
BCK_LSK
추천 0
조회 178
날짜 11:08
|
뱃살마왕
추천 0
조회 9
날짜 10:58
|
닉네임이없어요
추천 0
조회 212
날짜 10:57
|
루리웹-9560787088
추천 0
조회 26
날짜 10:53
|
루리웹-0647127072
추천 0
조회 71
날짜 10:52
|
테스튜도
추천 0
조회 83
날짜 10:50
|
루리웹대장
추천 0
조회 77
날짜 10:43
|
작은왕자
추천 0
조회 106
날짜 10:41
|
테스튜도
추천 0
조회 126
날짜 10:41
|
루리웹-6464716945
추천 0
조회 74
날짜 10:40
|
하늘천사
추천 0
조회 63
날짜 10:33
|
루리웹-4169381540
추천 0
조회 81
날짜 10:27
|
바이스아이젠
추천 0
조회 71
날짜 10:19
|
기륜℃
추천 0
조회 288
날짜 10:11
|
신준의
추천 0
조회 44
날짜 10:05
|
마음의편지함
추천 0
조회 151
날짜 09:57
|
루리웹-3928664853
추천 0
조회 213
날짜 09:51
|
싀싀싀
추천 0
조회 473
날짜 09:49
|
Karambit
추천 0
조회 60
날짜 09:48
|
nils클럽
추천 0
조회 99
날짜 09:47
|
루리웹-3017643722
추천 0
조회 194
날짜 09:46
|
루리웹-4432131268
추천 0
조회 170
날짜 09:43
|
매론빵
추천 0
조회 159
날짜 09:32
|
루리웹-0952613063
추천 0
조회 412
날짜 09:21
|
아사히맥주
추천 0
조회 406
날짜 09:20
|
JoonKimDMD
추천 0
조회 424
날짜 09:20
|
커여운푸케푸케
추천 0
조회 228
날짜 09:19
|
증명 문제에서 답이라고 함은 그 과정을 다 설명해야 하는거라..
한글인데 이해가 안간다요... ㅠㅠ
증명 문제에서 답이라고 함은 그 과정을 다 설명해야 하는거라..
네이버 지식인 쪽에 묻는게 낫지 않을까요?
이거 집합론에서 배운거 같은데
b가 항등함수일 필요가 없지 않나?
항등함수가 아닌 b가 존재한다고 하자.... 라고 놓고 모순임을 찾아야 하려나
아니네 b가 a의 역함수일때는 항등함수가 아니어도 되는구나 그러면 임의의 a에 전부다 적용되는 b가 항등할수밖에 없다고 보여야 하려나
ㄴㄴ 같은 함수의 임의의 원소임
그냥 a*b=b*a이려면 서로 역함수 아니면 둘중 하나가 항등함수이다. 라고 해놓고 임의의 a에 대해서 전부다 되려면 항등함수일수밖에 없다 하고 끝내야 하려나
ㅇㅇ오랜만에 이런거 봐서 무에서 다시 문제 파악하는 중임
항등함수가뭐였지
해석학 듣는 수학과 유게이임? ㄷㄷ
만약 항등함수가 아니면 l≠m이면서 l->m, m->l을 만족시키는 숫자쌍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m->k(l≠m≠k)라면 a*b랑 b*a랑 다르고 전부 똑같으면 항등이니깐요 그래놓고 k에 대해 a=k, b=l로 두면 k->l일 경우 일대일 대응이 아니고 k->l이 아니면 a*b=b*a이 아닙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함수가 아니고 ”교환법칙“이라 생각되네요. S(n)은 대칭군을 이루는데, 이 문제는 “n이 3이상 자연수일때 대칭군 S(n)의 중심(center)이 자명(trivial)한가“를 묻는 문제로 생각됩니다.. 저는 군론에 대해서 확실히 아는것도 아니라서 정확히 증명을 해드리긴 어려울 것 같아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군론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것 같기도 해서 주변에 대수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 분이 계시면 물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a1, a2 를 S(n) 의 원소인 함수, a1(x) != a2(x) for all x in 1 ~ n with x != y where a1(n) = a2(n) = y 로 설정 2. a1 * b (n) = b * a1 (n) -> a1(b(n)) = b(y) 3. Itsw a2(b(n)) = b(y) 4. 모순이 아니려면 b(n) = n & b(y) = y 5. y 는 1. 에서 a1, a2 를 어떻게 설정하냐에 따라 1 ~ n 모든 값을 아우르는게 가능하므로 for every y in 1~n, b(y) = y * 1. 에서 설정한 대로의 함수를 S(n) 에서 찾을 수 있음에 대한 증명은 스스로 생각해보세요 ** 꽤 단순한 형태에 생각하기 쉬우라고 정의역 치역 전부 자연수에 몰아넣은 문제이니, 수업이라면 조교나 교수를, 독학이라면 공부하는 책의 해답서와 예제들을 참조해 풀이에 필요한 사고방식을 익혀두세요
아 맨 처음 1. 에서 x != n 쓰다가 잘못 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