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펼치기
컴가테
추천 0
조회 4
날짜 07:47
|
카르디피
추천 0
조회 1
날짜 07:47
|
폰낚시꾼
추천 0
조회 1
날짜 07:47
|
홀리주작
추천 0
조회 13
날짜 07:47
|
카나데쟝
추천 1
조회 36
날짜 07:47
|
BAYERN MÜNCHEN
추천 0
조회 35
날짜 07:47
|
모다피후르츠
추천 0
조회 29
날짜 07:46
|
루리웹-2942490182
추천 0
조회 62
날짜 07:46
|
데드풀!
추천 1
조회 33
날짜 07:46
|
홀리주작
추천 0
조회 41
날짜 07:46
|
5039277015
추천 1
조회 71
날짜 07:46
|
좋아함니다
추천 0
조회 46
날짜 07:46
|
다림
추천 1
조회 88
날짜 07:45
|
BAYERN MÜNCHEN
추천 0
조회 70
날짜 07:45
|
죽창!
추천 0
조회 53
날짜 07:45
|
그것이 인생
추천 1
조회 67
날짜 07:45
|
초고속즉시강등머신
추천 3
조회 1
날짜 07:44
|
동물성애
추천 0
조회 1
날짜 07:44
|
재의마녀
추천 1
조회 1
날짜 07:44
|
Cortana
추천 0
조회 5
날짜 07:44
|
人生無想
추천 0
조회 15
날짜 07:44
|
BAYERN MÜNCHEN
추천 3
조회 29
날짜 07:44
|
리프레
추천 0
조회 52
날짜 07:43
|
Koko Hekmatyar
추천 5
조회 49
날짜 07:43
|
Maggeett
추천 2
조회 29
날짜 07:43
|
氷菓
추천 2
조회 47
날짜 07:43
|
모다피후르츠
추천 0
조회 49
날짜 07:43
|
하즈키료2
추천 0
조회 65
날짜 07:43
|
놀랍게도 어따 써먹냐라고 생각했던 e나 삼각함수 따위는 공대를 오게 되면 그 누구보다 많이 보게 될 수 있다 학교에서만 쓰는거 아니냐 하는데 현업에서도 쓴다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아버지 저희 가문은 제가 마지막이 될것입니다
저걸 쓸수 있는 곳에서 일하게 되면 통장이 편해짐.
근데 공대생 아니면 수학 쓸일 없더라ㅋㅋ 문과 친구보면 중학생 수학 심화 문제도 까먹음 ㅋㅋㅋ
놀랍게도 어따 써먹냐라고 생각했던 e나 삼각함수 따위는 공대를 오게 되면 그 누구보다 많이 보게 될 수 있다 학교에서만 쓰는거 아니냐 하는데 현업에서도 쓴다
e는 진짜 오만데 다 쓰이더라
킹치만 Partial Differentials Equation 이나 라플라스 변환같은건 기억도 안나는걸
오..대학원을 들어오..으읍
그걸 공대 근처에도 안 갈 애들한테도 가르치는게 문제
공대 안 가는 사람이 가는 사람보다 많잖아 ㅋㅋㅋㅋㅋㅋㅋ
문과도 상경계열 갈 사람들은 미분, 적분, 확률 알아하니까.... 아니면 상경계열을 문과가 아니라 이과로 뜯어서 보내면 해결되네
삼각함수랑 e를 미적분과 연계시켜 배울 정도면 이과란건데 그럼 반대로 상당수가 공대를 감... 굳이 공대가 아니어도 이과에서 진학할 수 있는 과 중에 저걸 안쓰는 과를 꼽는게 더 빠를거고
놀랍게도 수학을 그렇게 파서 기어이 의대를 가면 남은 평생을 안본다
혹시앎? 공대 안 갈 생각이었는데 억지로 시켜서 해보니까 의외로 재능이 있어서 공대갈지. 나도 대학 2학년때까지는 내가 컴맹인줄 알았는데 지금 직업이 프로그래머인거보면...
공대는 그런데 그 이외는...
킹치만 상경도 이공계에 넣어버리면 인문대가 쪽도 못쓰는걸
그러면 꼬와도 수학배워야 ㅋㅋㅋ
공대 안가면 쓸일 없음
그러니 공돌이 공순이이고 싶지만 수학을 덜하고 싶다면 컴공을 오면 된다
거기는 새로운 수학을 하지.
그런일은 없었어요
아버지 저희 가문은 제가 마지막이 될것입니다
그래 그럴 수 있지 아들아 세상이 이전과는 다르구나
그렇게 아이는 순수수학을 전공하게 되고
저걸 쓸수 있는 곳에서 일하게 되면 통장이 편해짐.
근데 공대생 아니면 수학 쓸일 없더라ㅋㅋ 문과 친구보면 중학생 수학 심화 문제도 까먹음 ㅋㅋㅋ
컴공도 수학 까먹음. 대학교에서 컴공은 통계랑 이상수학 제외하면 수학 안함.
그래도 다시 써야할때는 기억의 문을 열고 다시 꺼내와야함. 물론 구글이 그 열쇠지.
이산수학이겠지
컴공도 세부 분야마다 달라서.. 신호처리나 패턴인식 이런 덴 수학 공부 많이 해야 하고..
그러다가 큰일남 통계랑 이산수학만 할거처럼 보이지만 수치해석이랑 시뮬레이션 분야가 발달하면서 다른수학도 검색해서 찾을 정도는 해야한
경제학과 : 안녕? 난 문과고 넌 수학을 해야 돼 통계학과 : 안녕? 너 경제학과랑 아는 사이라며? 심리학과 : 안녕? 통계학과랑은 이미 인사 했지?
생공도 수학까먹음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중학교꺼가 ㅈㄴ어려운데
그래픽스, 시큐리티, 알고리즘 등 수학 빡세게 해야하는 이론 분야도 있긴 함.
저건 이등변 삼각형의 성질만 알면 어려운 문제가 아님 중학교 수준에서 중급정도임
경제학 미분모르믄 암것도 못한당...글고 경제학과는 문과중에서 취업하기 그나마 메이저인곳이지
학교에서나 안 썼지 막상 졸업하고 나니 교양듣듯이 들었던 수학 너무 쓸데가 많아서 오히려 놀라고있음 ㅋㅋㅋ
헐 풀이좀알려줘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에러가 있는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헉 93.33이라니 어쩐지 울프럼알파에 써봐도 잘안뜨더라고요 선지에 답도없네 ㄷㄷ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좌표 대입하고 계산기 두들겨도 x가 이상하게 나오는걸 보면 문제 에러가 맞는 것 같습니다. 아마 y - x를 구해라는게 원래 의도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동방... 채널...?
많이 알수록 연봉이 올라가지
공업수학 : ㅎㅇ~?
수학 못하는애들이 뭐 돈계산만 잘하면 장땡이라는데 그 돈 계산조차 꽤 어렵다는걸 알아야함.
수1에서 가장 어렵다는 복리이자계산
수학은 도움이 안되지만 수학적 사고는 도움이 된다
삼각함수는 공대가 아니라도 건축이나 공장 엔지니어 일할려면 필수이긴함 공학계산기 필수
예전에 미적분을 배우지 못했던 문과들은 대학 가서 피똥을 쌌다
이공대 가면 고등학교 수학은 기본중에 기본이고 평생 끼고 살아야 함. 문과는....
수학 알아서 나쁠건 없는듯.. 요새는 정보를 쌓는게 중요한 시대라서 정보를 수로 환산해서 표현하는 경우도 많고... 나는 왤케 어릴 때부터 국어 주관식만 잘 했을까..? 수학은 정말 눈물나게 어려웠음.
수학은 인간의 논리력을 키우는 최고의 도구임. 평생 안 쓰더라도 논리력을 올려줬단 그거 하나만으로도 수학은 이미 자기 역할을 다한거
수학으로 간접적으로 논리력을 키우는것보단 그냥 논리에 관한 학문을 직접 배우는게 나음 한국에선 딱히 그런거에 관련된 교과목은 없지.
수학자체만으로 논리력을 키우는건 한계가 있음. 수학에서 자주 쓰는 가정들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논리를 전개할 방향이 제한되 버리거든. 오히려 특정 방향의 논리 방식에 고착되 버려서 생각보다 광범위한 상황에 대한 논리력은 팍 죽어 버림. 심심해서 수학 잘하는 사람이 답답해 보이는게 아님.
근데 정작 논리력을 키우는 수학은 학교에서 안 가르침.. 공식 외워서 패턴화 된 문제 답 구하는거나 가르치지
수학을 공부하는 게 아니라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걸 공부해야함
ㅇㅇ
이미지를 보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수학공부 필요없는 로마로 오십시오. 수학자? 로마군이 다 처리했으니 안심하시구요
... 과연 로마의 후예 ...
나중에 취직할 때 연봉이나 대출같은 경제적인 문제를 두고 이해 자체를 못해서 삽질하는 사람들 보면 대부분 중등수학 단계부터 담 쌓고 지냄
엔지니어는 필수 과목이지
필요한 사람에게는 필요함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도구라고 생각하는데. 수학 그 자체는 안쓰는 사람도 많겠지만 그걸 공부하면서 기른 문제해결능력은 평생 감
물론 아이낳을일 없을 유게이랑은 상관이 없는 이유입니다
주식하면 표준편차는 졸라 유용함
수학이 젤 쉬움
확실히 요새 교양과학쪽 책 읽는데, 수학적사고가 중요하단 생각을 많이 하게 됨. 난 예체능 수포자라서 더더욱 어릴떄 공부 덜한거 후회되더라...그래서 더 찾아보는거 같기도 하고..
뭘 국영수 어디다 쓰냐고 왜배우냐 이러는사람들이 제일 바보같더라.. 고등까진 그냥 교양수준의 국민공통 매우 기초적인 것들이니 알아두면 다른분야에서도 사고력이나 식견에 도움될거아니야 굳이 글에서 저런이유말고도 무의식적으로도 수학공부하면서 훈련했던 두뇌능력자체가 도움엄청되는데
도구로써 유용하기도 한대 걍 유튜브에서 공식 증명하는거 보는 재미도 있음 각 수학이 어떤 원리로 공학에 쓰인다거나 등등
ㄹㅇ 기계진동이랑 정상상태 1차원 열전달 같은거 2차 미분방정식 나오니까 라플라스 변환한 전기회로 모델 비슷하지 않냐고, 그것들 회로로 그리는 것보고 탄성지름
무작정 공식만 보고 달달 외우는게 아니라 이게 대체 뭘 뜻하는건지, 어디다가 써먹을 수 있는건지 아는게 더 중요함.
실제로도 수학이 모든 학문중 제일 많이 쓰이고 제일 많이 도움된다.
현대에 수학을 잘 모른다는 건, 판타지 세계에서 마법을 잘 모른다는 것과 비슷함. 몰라도 살 순 있지만 판타지세계에서 판타지스럽지 못하게 살아야 한다는 뜻.
이거다
판타지 세계에서 마법사는 몇 없음. 수식 같은게 아니라 사실 염력에 가깝게 타고난 이들이 좀 더 잘 컨트롤하기 위해 정형화된 것들이 마법임. 극히 희귀한 존재임. 판타지 세계관의 인간 대다수는 마법을 이해못함. 정통 D앤D나 톨킨 판타지 기준으로...
되물림....
게임업계갈때도 중요하지
사무직할때도 필요하고
아에 게임 수학이라는 분야가 따로 있던데
과외할 때 잘 씀 글고 머리 돌아가는게 달라짐
공대2년째인데 수학 ㅈ도 모르겠음 시바..ㅠㅠ
사실 공학수학 시간에 이해 못하고 나중에 전공에서 배울떄 이해되는게 함정이죠
우리학교는 공학수학이 필수가 아니라 교양이던데...ㄷㄷ
공대다. 건설업이다. 사칙연산 넘어가는건 정말 가끔 삼각삼수정도고 이마저도 다 까먹어서 걍 캐드로 그려서 산출한다.
수학이 중요한이유 딜계산 및 게임내 생산효율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