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시 나무. 북미가 원산이다
아카시아가 아닌데 비슷하게 생겨서 한국에선 아카시아로 퉁쳐서 불렀다
콩의 친척인 나무로 뿌리혹 박테리아를 달고 있어 질소 고정이 패시브로 토양을 비옥하게 하며 꿀이 좋아서 지금도 한국 꿀 생산량의 70%를 담당한다
아카시 나무는 유독 괴담이 많은데 뿌리가 넓게 퍼지는 특성때문에 무덤의 관을 뚫고 시신을 둘둘 감싸고 있더라는 스타일이 많다. 실제로 어른들이 그런 이유로 이 나무를 싫어했다
덩굴 뿌리를 넓게 퍼뜨려 줄기를 잘라내도 살아나는 미친 생명력과 번식력으로 원산지 북미에서는 배어도 베어도 없어지지 않는 유해수종 취급을 받아서 한국에서 심을때 우려가 많았지만..
전쟁끝나고 민둥산밖에 없는데 선택지가 이거밖에 없다고 후손들이 알아서 하겠지 마인드로 그냥 밀어 붙였다
그런데...
대부분의 외래종처럼 첫끗발 좋던 아카시 나무도 한반도의 ↗같은 기후를 이기지 못한다
일단 아카시가 팍팍 자라서 토양과 산림을 비옥하게 만들자 토박이 식물들이 돌아와 아카시의 뿌리를 겐세이하고 혹서와 혹한이 번갈아 돌아오는 기후덕에 아카시는 기대 수명 100년의 절반도 못채우고 알아서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과거 일제히 심었던 아카시가 2000년 이후 갑자기 일제히 죽어가자 원인을 찾아보니 ↗같은 기후때문에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제수명을 살지 못했던게 원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원산지에선 반 불사신으로 악마같던 놈이 한반도에선 빨리 자라서 산을 우거지게 만들고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고 꿀까지 주고 적당한 시간이 되자 알아서 자폭하는 천사같은 나무가 되었다
PS. 그런 이유로 산림청은 은근슬쩍 다시 심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저거 보니까 부레옥잠 생각나네 외국에선 처치곤란이라는데 우리나라는 겨울이 다 뒤져버려서...
부레옥잠도 외국에선 미친듯한 번신력으로 골칫거리지만 한반도에선 여름에 수질정화 해주고 겨울에 동장군의 냉동빔으로 토사구팽 당하고 있는 실정 ㅋㅋㅋ
틀린거 X 다른거 O
벌초 다닐 때 소나무가 주변에 적다 싶으면 무덤에 자주 뿌리 내리고 자라고 있지
원래 백년 살던 놈이 50년밖에 못살게 되었단 소리지 잘 죽는다는 얘기가 아님
5월 되면 꽃이 하얗게 피는게 장관이지 향도 좋고
"아카시"꿀 이랑 "아카시아"꿀 이랑 서로 틀린거라고 하던대
벨즈나무
애케이시아-
아카씨아
저거 꽃□□ 그랬는데 왜없어졌나 했드만...
맞어 꽃은 따서 먹고 튀겨 먹고 잎은 토끼주고 그랬어 유용한 나무엿슴. 심지어 소똥냄새나는 동네에 꽃향기까지 진하게 뿌려주는 나무엿는데...
벌초 다닐 때 소나무가 주변에 적다 싶으면 무덤에 자주 뿌리 내리고 자라고 있지
올 봄에도 근사미 바르러 가야 함 ㅋㅋㅋ
"아카시"꿀 이랑 "아카시아"꿀 이랑 서로 틀린거라고 하던대
오미자만세
틀린거 X 다른거 O
아카시 : 네 꿀은 틀렸다... 아카시아 : 아니...!! 네놈의 꿀이야말로 틀린 꿀이다!! 그렇게 시작되는 꿀 배틀 옳은 꿀의 행방은 과연 누구에게 돌아갈 것인가
이거 은근 헷갈리는 사람 많더라 그냥 우려처렴 막 쓰는 것 같음
우려 -> 무려
프응님 보고 배웠음 ㅋㅋㅋㅋ
궁금해서 그러는데 무려를 어떻게 잘못 쓰나요?
무려는 수에 관해서 쓰는 표현이지 횡령한 금액은 무려 1000억원에 달했다 = O 이것은 무려 중국산이 아닌 국산 비단을 사용해서 만들었다 = X
엉? 우리나라에 들어온 아카시아가 원래 아카시인데 아카시아로 잘못알려진거라고 들었는데
음 다행히 나는 틀리게 쓰지 않는군... 땡큐
https://namu.wiki/w/%EB%AC%B4%EB%A0%A4#s-3
자쿠와는 틀리다.. 자쿠와는... (근데 일반인이 보면 똑같이 생겼음)
저거 보니까 부레옥잠 생각나네 외국에선 처치곤란이라는데 우리나라는 겨울이 다 뒤져버려서...
부레옥잠도 외국에선 미친듯한 번신력으로 골칫거리지만 한반도에선 여름에 수질정화 해주고 겨울에 동장군의 냉동빔으로 토사구팽 당하고 있는 실정 ㅋㅋㅋ
부레옥잠 그거 사료로도 사용한다 카더라만
개구리밥&부레옥잠은 빙하기도 일으킨 ㅁㅊ놈들임
사료가 아니라 비료. 얼어 뒤진거든 뭐든 일단 질소가 풍부해서 비료로 제격이라나 뭐라나......
우렁이 같은 경우는 이상기후로 겨울을 넘기는 애들이 나와서 오히려 벼를 갉아먹어서 우렁이 농법에 적신호가 들어왔다더라 부레옥잠도 이상기후에 혹시나도 모름....
이거 많이 왜곡된 사실임 에초에 부래옥잠 종류도 많은데 그중에 우리나라에 대량번식하는 종류는 시들어 죽는 종류로 시들어죽기 직전에 씨엇을 물가에 배설하고 뒤짐 문제는 이시체가 부유해도 광합성을 막아서 문제가 됨 또 이런종류가 아니더라도 뿌리로 번식하는 종류는 뿌리만 살아남아 여름에 폭발적으로 대량번식하는 종류도 있음
이번 겨울보니까 적응력을 더 높여야 겠더라. 부산이 영하 13도였어...
본문의 아카시 나무도 지구 온난화 땜에 우렁이 농법 꼴 나는거 아녀? ㄷㄷㄷ
아까시나무 원산지도 겨울 한국만큼 춥고 오히려 더 긴곳임.
이 땅은 식물이던 동물이던 남김없이 담금질해버려서...
나를 죽이지 못하는 건 나를 강하게 만들 뿐이다. 담금질 당하거나, 담궈지거나
NTR 스헙네
5월 되면 꽃이 하얗게 피는게 장관이지 향도 좋고
어렸을땐 동네에서 진하게 향 났었는데 요즘은 잘 안보여서 아쉽
이게 그 K모판이지. 양분과 꿀만 주고 짧게 살다 뒤짐.
부레옥잠 같은녀석...
아, 그래서 ㅆㅂ 수목감별 할때 아카시아 나무라고 썼는데 오답처리 된건가?!
아카시아는 꽃이노라니까
진짜 아낌없이 주고 아낌없이 가는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꿀좀 생겨라 제발 ㅠㅠ
5월 되면 아카시 꽃 향기가 참 좋았는데
동구밖 과수원길 아카시아 꽃이 활짝폈네...
동구밖~ 과.수.원.샷!
잘죽는다고...? 산소에 약을 몇번을 쳐도 매년 증식해대는데...
유과
원래 백년 살던 놈이 50년밖에 못살게 되었단 소리지 잘 죽는다는 얘기가 아님
아 그런거구나? ㅋㅋㅋㅋ
그럼 꿀은 어디서 따요??
지옥같은 땅
진짜 어릴땐 산을 거의 뒤덮는 수준이였는데...
심지어 나무가 무겁고 높게 자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뿌리에 힘이 없어서 한 10~15년 지나면 쓰러지기 시작한다더라. 그래서 기울었다 싶으면 베어낸다고
무슨 나무이름이 사까시나무
나도 어렸을때 아카시 나무 많이 봤는데 ㅋㅋㅋ 어느 순간 싹 사라진게 저 이유 였구나
아카시랑 아카시아가 다른거구나
부레옥잠도 원산지에서는 연못썪히는 놈이라지만... 한국에서는 한해살고 추위에 다 죽어버려서 정화식물 최급 받지 ㅋㅋㅋㅋ
진짜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생물들은 정말 대단한거 같해
괜히 고려&조선산 약초가 좋았던 이유가 이거 인듯 ㅈㄹ맞은 환경에서 살아남았으니
개화시기 되면 냄새는 정말 좋아
아카시아~
아카시아가 아니야???
원래 우리나라에 없던 나무인데 들여오면서 이름을 가시가 많다고 아까시라 지었다는 썰이 있음. 사실 저게 아카시아로 알려진 원흉(?)은 1위가 동구밖 과수원길 그 노래하고 2위가 롯데 아카시아껌하고 얘네 둘일 것 같다.
근데 아카시나 부레옥잠이나 겨울에 죽어서 외국에 비해서 피해가 적은거지 없는건 아니잖음?
한반도는 정말 ㅋㅋ
https://youtube.com/shorts/Akm89JquMac?feature=share 아카시아 쇼츠 잇음
전쟁통으로 산 작살났을때 아카시아가 숲으로 만들어 줫다던대
한반도 사는 애들은 사실 딴데가면 다들 끝판왕 하고있는거 아닐까?
향 넘 좋아 ^^
이상하네. 얘들이 번식은 안함? 심은 후에 해당 세대가 죽고 끝이란 말임? (갸웃)
저거 뿌리로 늘어나지 않던가 예전에 그렇게 본거같은데
저런 식이면 북미에서도 100년 살고 끝이란거 아닌감? 그런게 악마의 뭐시기라고? (여전히 의문)
번식빠른데 해외에서 수명이 100년이면 우리나라에선 절반도 안된데 전체 수명 자체가 짧아짐 그래서 번식력이랑 짧은 수명이 밸런스가 맞은듯
쉽게 설명하면 민둥산에 일제히 심었던 애들은 수명이 다되서 거의 죽었고 지금 있는건 새로 심었거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후손격인 애들 후손격인애들은 토종식물과 경쟁해야 해서 처음처럼 무지막지하게 자라질 못함
ㅇㅇ 여전히 후손들이 살고는 있는데 경쟁을 해야 해서 예전같진 않다는거였구만. 덕분에 다양성이 확보된거네. 근데 마치 다주고 사라졌다는 듯이 얘기한건 좀 과장인거군
생큐
원래보다 수명이 짧아진게 경쟁을 더 용이하게 만들어준거 대규모로 있던 고인물이 알아서 사라진거지
우리동네는 항상 많던데...
우리집 어르신들은 하얀 아까시나무 노란 아카시아 나무라고 구분하시던데
90년대~2000년대 쯤에 한참 제거 사업 했던 기억이 있는데...
예전에 저 아카시아 나무 뿌리들이 우리나라 산에 뿌리박혀서 다른 토종 나무들을 말려죽인다면서 문제다....라고 배웠었는데...기우였구만...ㅎㅎ
게다가 기존 생태계를 해친다는 이미지와 달리 다른 나무가 잘 자라기 쉬운 일반 토양에서는 거꾸로 다른 나무의 번식력에 밀려 사라진다고 한다. 현재 남산에서도 소나무에 밀려 아까시 나무가 사라지는 추세. 수명이 100년 정도로 나무치고는 짧고, 전래된 지 100여년에 불과해서 한국의 토양에 적응이 덜 되어 50년을 못 넘긴다. 밑둥 지름이 50 cm를 넘으면 속부터 썩어 비어간다. 60여 년 된 나무 밑둥이 1미터 정도 되므로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른 편인데, 뿌리가 얕고 약해서 나무가 커질수록 비바람에 잘 넘어지는 것도 오래 된 나무가 없는 이유이다. 한국은 태풍 시즌이 있어서 아까시나무가 장수하긴 힘든 환경이다. 그나마 경북에 100년생 아까시나무가 두 그루 있는 정도. 반면 나무가 잘 썩지 않고 폭풍이 드문 지역에서는 오래 산다. 프랑스 파리에서 나이가 제일 많은 나무가 아까시 나무이다.[5] 1601년에 심었으니 400년이 넘은 것. 딱히 겨울이랑 상관없음. 애초에 아까시 나무가 온 미국 북동부는 겨울 한국만큼 뒤지게 추운데 더김. 정확히는 태풍이랑 토종 나무들과 세력싸움에서 져서그런거
산림 녹화 사업이 몇종으로 한번에 하는게 아니라 3단계를 거친다는 걸 보고 나중에 이해됨. 1차때 아카시 나무처럼 생명력이 좋은 나무를 위주로 심고 나중에 토양과 태생에 맞는 식물을 바꾸고 3단계가 벌목등 사업에 고수익인 식물로 바꾸는거라더라구.
차타고 가다가 산 보면 휭 하니 밀어버리는게 3단계인가봄?
3단계는 여러문제로 시작 못하는 중이고 휭한건 2단계의 외래산 소나무가 송진이 많이 나와 화재로 빈번해서 생기는 등 문제의 산불화재로 비어버린 산 같음.
양봉업자분들은 아쉽겠구먼
아까시 나무 학명은 아카시아 닮은 나무인데 한국은 그냥 아카시아로 부르는 병크로 아카시아로 알려짐 콩과라서 뿌리혹 박테리아 애문에 공기의 질소를 정착시키는 재능으로 물만 있으면 아무리 안좋은 땅이라도 살아가며 뿌리는 홍수와 산사태를 막고 잎은 낙엽져서 다른식물과 동물의 양식이 됨 즉 산림 녹화용 최적의 수목. 꿀은 덤 약한 식물에게는 깡패지만 아카시 나무보다 쌘나무는 널렸다
땃쥐가 그리운 그 나무
그래서 나타난 가시박 https://www.youtube.com/watch?v=eTBT4gzPyWI
오히려 좋아~
아카시랑 아카시아랑 다른거였다는거 처음알았네;;;
아름다운 아가씨 어찌 그리 이쁜가요? 아카시아는 이것만 기억남.
요즘 양봉업계와 산림청에서 아까시 나무 다시 심어야 한다고 캠페인 벌이더라 아까시 나무 꿀이 다른 꿀에 비해 월등히 맛도 좋고 가격도 더 높게 받을수 있고 꿀 생산량도 엄청나고 꿀 품질이 좋아 상품성도 뛰어나고 양봉업계에선 아까시나무 없어지면 양봉업계 망한다고 할정도임
한국 기후와 생태계 썰은 언제나 들어도 개꿀잼임. 불지옥반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