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장문) 전통주에 대한 이모저모



2 분리수거



1

댓글 62
BEST
개인적으로 전통주의 입국 사용에 대해서 길게 생각해왔는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난 딱히 입국이라고 일본식 방식이라고 꺼리는 건 별로 바람직하진 않다고 봄. 우리나라에도 흩임 누룩 방식은 산곡이라고 법제가 다 된 누룩을 부수어서 사용하는 방식이나 가루누룩과 같은 방식도 있었지. 그냥 누룩에 균을 내리는 방식의 미묘한 차이일 뿐이고 애초에 흩임누룩 자체가 중국에서 퍼진 것인 만큼 일본에서 변형된 방식이라고 꺼려하는 건 너무 이름에 얽매이는 게 아닌가 싶음. 그거에 따라 누룩이 전통방식이 아니니 전통주 아냐! 라는 건 너무 전통주를 전통에만 가둬두려는 생각이 아닌가 싶음. 웍에 넣고 불맛입히며 중국 요리방식으로 제육볶음을 만든다고 한 들 제육볶음이 중국요리가 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누룩을 만드는 방법이 일본 내에서 개량된 방식을 쓴다고 전통주가 전통주라 아니게 되는 것은 아니라고 개인적으로는 결론짓게 됐음.
엑스트라버진들기름 | (IP보기클릭)211.60.***.*** | 23.09.24 18:50
BEST

具風 | (IP보기클릭)119.194.***.*** | 23.09.24 18:41
BEST
이모저모와 주모!!
🦊자연사를권장 | (IP보기클릭)121.141.***.*** | 23.09.24 18:45
BEST
술관련 글에 보통 소주 내려치는게 많은데 그런거 없이 정보만 나열하니 좋네
오이시타 | (IP보기클릭)211.213.***.*** | 23.09.24 18:53
BEST
항상 좀 이해 안되던게 자기는 소주 싫어한다고 위스키, 와인 찬양하면서 소주 내려치는 사람들 많았는데 사실 저가 희석식 술은 어느 나라에든 있는 문화니까.
오이시타 | (IP보기클릭)211.213.***.*** | 23.09.24 19:01
BEST
전통주가 의외로 가성비가 좋음 저기 소개된 법령상 청주인 경주법주랑 일부 청주도 사케기준 준마이슈 정돈 되는데 값은 상당히 저렴함 다음에 경주법주 초특선이랑 경주교동법주 둘다 구해서 비교시음 해보고 싶은데 초특선이 존내 구하기 힘듬
Capitán Mexico | (IP보기클릭)223.39.***.*** | 23.09.24 18:59
BEST

세상엔 맛난 술이 참 많습니다
서울토마토 | (IP보기클릭)121.130.***.*** | 23.09.24 18:50
BEST

具風 | (IP보기클릭)119.194.***.*** | 23.09.24 18:41
BEST

이모저모와 주모!!

🦊자연사를권장 | (IP보기클릭)121.141.***.*** | 23.09.24 18:45

와드 술살일 있으면 다시본다

루리웹-2096036002 | (IP보기클릭)118.235.***.*** | 23.09.24 18:49

정보 추

루리웹-260640191 | (IP보기클릭)218.53.***.*** | 23.09.24 18:49

천비향 존나 맛있더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향도 좋곸ㅋㅋㅋㅋㅋㅋㅋ

서울토마토 | (IP보기클릭)121.130.***.*** | 23.09.24 18:50
BEST
서울토마토

세상엔 맛난 술이 참 많습니다

서울토마토 | (IP보기클릭)121.130.***.*** | 23.09.24 18:50
BEST

개인적으로 전통주의 입국 사용에 대해서 길게 생각해왔는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난 딱히 입국이라고 일본식 방식이라고 꺼리는 건 별로 바람직하진 않다고 봄. 우리나라에도 흩임 누룩 방식은 산곡이라고 법제가 다 된 누룩을 부수어서 사용하는 방식이나 가루누룩과 같은 방식도 있었지. 그냥 누룩에 균을 내리는 방식의 미묘한 차이일 뿐이고 애초에 흩임누룩 자체가 중국에서 퍼진 것인 만큼 일본에서 변형된 방식이라고 꺼려하는 건 너무 이름에 얽매이는 게 아닌가 싶음. 그거에 따라 누룩이 전통방식이 아니니 전통주 아냐! 라는 건 너무 전통주를 전통에만 가둬두려는 생각이 아닌가 싶음. 웍에 넣고 불맛입히며 중국 요리방식으로 제육볶음을 만든다고 한 들 제육볶음이 중국요리가 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누룩을 만드는 방법이 일본 내에서 개량된 방식을 쓴다고 전통주가 전통주라 아니게 되는 것은 아니라고 개인적으로는 결론짓게 됐음.

엑스트라버진들기름 | (IP보기클릭)211.60.***.*** | 23.09.24 18:50
엑스트라버진들기름

이거랑 비슷한게 개량한복 논쟁이지.

아무로・레이 | (IP보기클릭)220.94.***.*** | 23.09.24 18:56
엑스트라버진들기름

나도 그리 생각하는데 조금 다른 관점은 입국을 사용하느냐 한국식을 사용하느냐에 따른 맛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크다면 거기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조금있음 맛의 차이가 그만큼 커지는데 과연 그게 전통주라고 할수잇을까? 다만 내가 입국과 전통식누룩의 사용에 대해서 맛의차이를 모르니까 그냥 생각만하는거

caanon | (IP보기클릭)118.47.***.*** | 23.09.24 19:04
caanon

솔직히 말하면 요국이라고 입국과 거의 똑같은 방식을 사용하던 누룩 방식도 조선에 있었음. 전통식 누룩이라고 무슨 병곡만 있는 것도 아니고 가양주가 1천개가 넘던 조선인데 각 전통주마다 여러 방식이 있을테니. 다만 현대화된 입국이 사용하기 편하고 대량생산하는 방식에 맞춰져 있으니 그런것인데 당연히 맛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미 만드는 사람은 그것까지 의도를 줬다고 봐야지. 어디까지 타협하느냐의 차이고 그게 전통주냐 아니냐를 결정짓지는 않는다고 보는 거지. 물론 "전통주"라는 이름이 주는 인식 때문에 그럴 수도 있음. 난 그래서 차라리 우리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싶은데 위에 예로 든 걸 말해보자면 당연히 전통적으로 만들던 제육볶음과 웍으로 볶은 제육볶음과의 맛의 차이는 있을 것이고 개인에 따라 크게 느낄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제육볶음이 한식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난 아니라고 보는 거지.

엑스트라버진들기름 | (IP보기클릭)211.60.***.*** | 23.09.24 19:20
엑스트라버진들기름

용어의 문제구만 "전통"주 이게 문제였어

caanon | (IP보기클릭)118.47.***.*** | 23.09.24 19:25
엑스트라버진들기름

나도 그 생각에 일부는 동의함. 문제가 있다면 결국 국가적 혜택을 '한국술'이 아닌 '전통주'가 받는단거지. 춘장을 쓴 짜장면이 한국요리가 될순 있어도 전통한식은 못 되듯이. 나도 우리 술이나 한국 술이란 이름이 더 좋지 않나? 싶지만 결국 혜택 대상은 전통주란 말이지... 그런데 정작 특정 지역의 특정 생산물을 쓰면 전통주 취급이라 럼, 보드카, 위스키도 이 조건을 충족시키면 전통주라는 웃기는 일도 생기고. 차라리 지역주 같은걸로 하지. 결국 이런 류의 언쟁은 잘못 개정 된 주류법이 원인 아닌가 싶으이 난.

흐휵횩훅 | (IP보기클릭)223.38.***.*** | 23.09.25 11:36
흐휵횩훅

뭐 난 입국이라는 방식을 쓴다고 춘장이니 하는 외국 음식에 빗댈 필요도 없다고 생각함. 위에 말한 대로 입국과 똑같은 방식을 쓰던 전통방식도 있거니와, 춘장의 사례를 들어도 즉석떡볶이에도 춘장은 들어가지만 그걸 중국 전통 요리라고 부르는 사람은 없을거라고 보니까. 아 물론 주류법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부분에는 상당히 동의함. 애초에 분류의 뿌리부터 잘못됐으니 하루빨리 바로잡아야할 필요가 있음. 다만 그것과 별개 입국 자체가 뭔 아예 일본 고유만의 특수한 누룩을 사용해서~ 뭐 이런 것도 아니고, 그냥 해당 방식을 사용해서 만든 누룩인데 입국 방식을 쓰기만 해도 전통주가 아니다~ 라는 인식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는 거였음.

엑스트라버진들기름 | (IP보기클릭)211.60.***.*** | 23.09.25 11:50
엑스트라버진들기름

암만 그래도 100% 공장화 성공한 흩임 누룩이랑 전통방식으로 만든 흩임 누룩이 똑같이 전통주 취급인건...뭐 견해 차이겠지

흐휵횩훅 | (IP보기클릭)223.38.***.*** | 23.09.25 13:06
흐휵횩훅

ㅇㅇ 난 말 그대로 그저 대량생산화에 맞게 개량된 누룩방식을 사용하냐 아니냐의 차이일 뿐이고 그게 일본에셔 개발된 방식일 뿐이라는 생각임. 다만 똑같지는 않다고 봄. 누룩 방식에 따라 맛 차이도 생겨나기 마련이고 정통성에 대한 평가 또한 만든 사람이 내세우고 소비자가 평가해줄 것이기 때문에...

엑스트라버진들기름 | (IP보기클릭)211.60.***.*** | 23.09.25 17:23

과하주 요번에 마셔봤는데 맛있더라

NADH | (IP보기클릭)180.182.***.*** | 23.09.24 18:52

정성추

EINSEED | (IP보기클릭)221.164.***.*** | 23.09.24 18:52

술얘기 나오면 술에 귀두 담근 생각난다

별달무리 | (IP보기클릭)110.12.***.*** | 23.09.24 18:52

근데 하와이 가니까 초록색 소주병에 한글 라벨 붙여서 팔고 있던데 기원이 일본식이니 뭐니 해도 이미 소주는 한국 술로 정착된거라고 봐도 되지 않을까? 전통주는 물론 구분을 잘 해야겠지만

소린이광광우러욧 | (IP보기클릭)218.147.***.*** | 23.09.24 18:52
BEST

술관련 글에 보통 소주 내려치는게 많은데 그런거 없이 정보만 나열하니 좋네

오이시타 | (IP보기클릭)211.213.***.*** | 23.09.24 18:53
오이시타

주정에 물타서 도수 맞추는 걸로 싸잡아 치면 현존하는 대다수의 명주들도 걍 희석술 따위가 되어버리기도 하고

俠者barbarian | (IP보기클릭)106.102.***.*** | 23.09.24 18:56
俠者barbarian

뭐 간략화된 보드카니까..

아무로・레이 | (IP보기클릭)220.94.***.*** | 23.09.24 18:57
BEST
俠者barbarian

항상 좀 이해 안되던게 자기는 소주 싫어한다고 위스키, 와인 찬양하면서 소주 내려치는 사람들 많았는데 사실 저가 희석식 술은 어느 나라에든 있는 문화니까.

오이시타 | (IP보기클릭)211.213.***.*** | 23.09.24 19:01
오이시타

ㅇㅇ 사실 진로나 처음처럼 등으로 대표되는 저가 주류 포지션은 어느나라든 존재하지 개인적으론 진로나 처음처럼만도 못한 싸구려 술들도 세상엔 널렸음

俠者barbarian | (IP보기클릭)106.102.***.*** | 23.09.24 19:04

경화수월

기무치관종 | (IP보기클릭)222.98.***.*** | 23.09.24 18:53

되게 유익하다. 그래서 주종별로 추천할 만항 게 없남 소주랑 청주 탁주 이런식으로

건성김미연 | (IP보기클릭)172.226.***.*** | 23.09.24 18:53
건성김미연

원하는 맛과 향이 어찌되심? 술은 진짜 입맛따라 케바케야 전통이나 그런거 싹 빼고 맛과 가성비, 접근성으로 입문용 술을 추천하자면 청주는 화랑, 소주는 화요, 탁주는 느린마을 추천함. 구하기 짱 쉽고 맛도 쓸만해

흐휵횩훅 | (IP보기클릭)223.38.***.*** | 23.09.24 18:57
흐휵횩훅

화요는 42도인가 먹어봤는대 되게 뭐랄까 위스키같은 느낌이었던 거 같고 느린마을이랑 화랑은 먹어볼게 예전에 고구마소주라고 해서 ‘려?’였나 말그림 그려진 것도 마셔봤는데 희한하더라고 한참 소주 여행하다가 너무 종류가 많아 헷갈려서 지금은 위스키 유명한 거(저가들) 먹어보는 중 주종별로 하나 정착해보려고

건성김미연 | (IP보기클릭)172.226.***.*** | 23.09.24 18:59

유익한 내용에 감동하여 바니걸 짤을 올린다

루리웹-262183900 | (IP보기클릭)106.101.***.*** | 23.09.24 18:53

과하주. 달달하니 맛있다고 먹다가 순간 훅 가버리지.

XY[!] | (IP보기클릭)175.127.***.*** | 23.09.24 18:54
XY[!]

과하주 좋죠..

술지게미 | (IP보기클릭)115.20.***.*** | 23.09.24 18:56
술지게미

지란지교 존나 맛있다는디 하....

서울토마토 | (IP보기클릭)121.130.***.*** | 23.09.24 19:00

저 희석식소주라고 불리는것들은 그냥 술이라고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술지게미 | (IP보기클릭)115.20.***.*** | 23.09.24 18:54
술지게미

???: 아 글쎄~ 주정 자체는 증류해서 나온거라고 ㅋㅋㅋ

俠者barbarian | (IP보기클릭)106.102.***.*** | 23.09.24 18:59

우리 일가는 차례상엔 무조건 차를 올려야 한다는 주의라 가산 거덜나서 가난했다는데… 올해에도 우리집 차례상엔 걍 현미녹차 ㄱㄱ

俠者barbarian | (IP보기클릭)106.102.***.*** | 23.09.24 18:54

입맛따라 가는게 좋다만, 느린마을이 가장 입맛에는 무난하니 좋더라

lilli!!IIi!!lI | (IP보기클릭)211.234.***.*** | 23.09.24 18:54

캐스크를 안쓴다는게 최대 약점

나나치666 | (IP보기클릭)223.39.***.*** | 23.09.24 18:54

전통주가 나쁘단 건 아닌데, 작정하고 사먹어봐겠다고 마음먹었을 때나 사먹는 거지, 일상적으로 먹기엔 눈에 잘 안 띄어서 좀…. 그냥 동네 호프집 아무데나 들어가서 메뉴판 펼치면 전통주가 하나쯤 보이는 게 아닌 이상엔 자주 먹게 될 거 같지가 않아.

왜사나 | (IP보기클릭)124.49.***.*** | 23.09.24 18:56
왜사나

요즘 막걸리에 전 파는 주막 느낌의 술집에선 저기 나온 느린마을 막걸리 자주 볼 수 있슴돠 가성비 좋고 맛있어요 느린마을은 대형 마트에서도 팔아서 구하기 쉬운편이니 명절에 함 츄라이 츄라이

서울토마토 | (IP보기클릭)121.130.***.*** | 23.09.24 19:02

와드

VIVIDD | (IP보기클릭)211.235.***.*** | 23.09.24 18:57

전통 혼탁주.. 먹어볼까

페니블루 | (IP보기클릭)182.209.***.*** | 23.09.24 18:58

좋은 정보 고마워요! 리퀴드 웨건!!

shL.!NkElG00N | (IP보기클릭)118.235.***.*** | 23.09.24 18:59
BEST

전통주가 의외로 가성비가 좋음 저기 소개된 법령상 청주인 경주법주랑 일부 청주도 사케기준 준마이슈 정돈 되는데 값은 상당히 저렴함 다음에 경주법주 초특선이랑 경주교동법주 둘다 구해서 비교시음 해보고 싶은데 초특선이 존내 구하기 힘듬

Capitán Mexico | (IP보기클릭)223.39.***.*** | 23.09.24 18:59

전통주는 인터넷에서도 구할 수 있어서 편하긴 함

커피마셔요 | (IP보기클릭)220.78.***.*** | 23.09.24 19:04

삼해소주가 진짜 고급졌음 가격도 고급 위스키같은 가격이란게 좀 문제임 그래도 돈값하는 맛임 뭔 롤스로이스 그려놓은 막걸리보단 훨씬 좋았음

killermonkey | (IP보기클릭)220.122.***.*** | 23.09.24 19:05

구독해먹는 전통주 먹는데 괜찮은듯

홍철오니 | (IP보기클릭)14.53.***.*** | 23.09.24 19:05

전통주 살리는거 좋은일이긴한데 전통주 살려야한다는 핑계대며 전통주만 인터넷 판매되고 세금 혜택 받는데도 지나치게 비싼 가격을 받는 전통주가 넘 많음 소량 생산이라니 속는셈 치고 마시기는 하는데 찝찝하긴함

닝이이이이이 | (IP보기클릭)223.39.***.*** | 23.09.24 19:06
닝이이이이이

이 글에 나온거중에 석탄주 꽤 맛있음 추천

닝이이이이이 | (IP보기클릭)223.39.***.*** | 23.09.24 19:07
닝이이이이이

석탄주 처음 마셨을 때는 향이 기가 막혔는데 다음번에 또 마셨을 때는 그 향이 안 나더라 ㅠㅠ

운드르 | (IP보기클릭)182.214.***.*** | 23.09.24 19:24

이거랑 관련해서 개좁같은 정책이 있으니 쌀 수확량 적어지는 품종을 심으라는 정부정책임. 사람들이 쌀을 안 먹으면 이런 전통주 관련법 정비해서 다양한 술을 만들라고! 술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사먹으면 세금도 걷힐텐데 그 초록색 병 소주 사업이 그렇게 중요하냐!

준비안되었다 | (IP보기클릭)112.152.***.*** | 23.09.24 19:08

추천을 주도록하지

트리바알 | (IP보기클릭)118.42.***.*** | 23.09.24 19:11

술 와드~

노라드림 | (IP보기클릭)49.246.***.*** | 23.09.24 19:15

비싼데 마시씀

죄수번호6742 | (IP보기클릭)220.88.***.*** | 23.09.24 19:18

이화주 기회 되면 마셔... 아니 드셔봐. 재밌는 경험임 ㅎㅎ 난 경북 영양 특산인 초화주 추천. 고려 때부터 전해오는 술이라는데 마셔본 분들마다 좋은 술이라고 칭찬하더라. 장인어른한테도 이걸로 점수 좀 땄었음 ㅎ

운드르 | (IP보기클릭)182.214.***.*** | 23.09.24 19:26

코인러시 | (IP보기클릭)221.145.***.*** | 23.09.24 19:28

알콜 못먹지만 와드

(||| º▽˚) | (IP보기클릭)223.62.***.*** | 23.09.24 19:35

요즘 전통 고급주 라인을 키울려고 노력은 하는데 소주 마시던 입장에선 가격대비 몇배에서 몇십배 이기도 하고 특유의 맛과 향이 있지만 이게 술을 취할려고 마시는 사람 입장에서는 가정비면에서 큰 메리트가 아니라 좀 아쉬운게 있음

루리웹-4241338838 | (IP보기클릭)175.209.***.*** | 23.09.24 19:35

전라도에선 동동주는 막걸리의 일종으로 취급하는거같은데 맞나요?? 부모님이 전남분인데 쌀알이 떠있는 막걸리를 동동주로 부르더라구요. 나주에서 생산되는 동동주도 쌀알있는 막걸리고

짐바브웨우쿠렐레 | (IP보기클릭)172.226.***.*** | 23.09.24 19:49
짐바브웨우쿠렐레

전라도는 내가 가본적 없어서 모르것는디...뭐 그 지역에선 그리 부를수도 있고 일단 전통주 복원가 박록담 옹 말에 따르면 동동주는 청주긴 함

흐휵횩훅 | (IP보기클릭)223.38.***.*** | 23.09.24 21:18

일단 희석식이 증류 과정을 안거친다는 부분에서 내리면 되는건가? 거기 쓰는 싸구려 타피오카 주정 온리 발효방식으로만 얻으려면 지금 시중에 팔리는 어지간한 전통 소주보다 비싸짐.

z라이더 | (IP보기클릭)183.108.***.*** | 23.09.24 21:54
z라이더

아 뭐 주정을 증류탑에서 뽑긴하지. 근데 그거 가지고 증류주라고 주장하실거면 뭐...그러시던가요?

흐휵횩훅 | (IP보기클릭)223.38.***.*** | 23.09.24 22:56

술 정보 ㅇㄷㅇㄷ

ㅇrㄱlㅅr | (IP보기클릭)39.114.***.*** | 23.09.24 23:20
댓글 62
1
목록보기
위로가기
UniqueAttacker | 추천 0 | 조회 1 | 날짜 01:16
타코야끼색연필 | 추천 0 | 조회 1 | 날짜 01:15
학생회장 한나 | 추천 0 | 조회 21 | 날짜 01:15
펭귄볼 | 추천 0 | 조회 10 | 날짜 01:15
킨케두=지금 | 추천 0 | 조회 13 | 날짜 01:15
강등먹여드림 | 추천 0 | 조회 9 | 날짜 01:15
귤던지면터져 | 추천 0 | 조회 17 | 날짜 01:15
고철깡통 | 추천 0 | 조회 20 | 날짜 01:15
핵인싸 | 추천 1 | 조회 38 | 날짜 01:15
유이P | 추천 0 | 조회 29 | 날짜 01:15
여덟시간 | 추천 1 | 조회 40 | 날짜 01:15
루리웹-죄수번호1 | 추천 0 | 조회 13 | 날짜 01:15
HMS뱅가드 | 추천 1 | 조회 46 | 날짜 01:15
김물붕 | 추천 0 | 조회 40 | 날짜 01:15
리버티시티경찰국 | 추천 2 | 조회 36 | 날짜 01:15
Luna lnvers | 추천 0 | 조회 42 | 날짜 01:15
루리웹-6405143692 | 추천 0 | 조회 19 | 날짜 01:15
찌찌야 | 추천 0 | 조회 31 | 날짜 01:15
UniqueAttacker | 추천 0 | 조회 55 | 날짜 01:14
루리웹-9618843361 | 추천 0 | 조회 12 | 날짜 01:14
비취 골렘 | 추천 3 | 조회 103 | 날짜 01:14
백수들의왕사자 | 추천 0 | 조회 58 | 날짜 01:14
타피타피 | 추천 0 | 조회 27 | 날짜 01:14
루리웹-82736389291 | 추천 0 | 조회 56 | 날짜 01:14
라스트리스 | 추천 0 | 조회 66 | 날짜 01:14
금빛곰돌이 | 추천 2 | 조회 20 | 날짜 01:14
데빌쿠우회장™ | 추천 0 | 조회 47 | 날짜 01:14
정의의 버섯돌 | 추천 5 | 조회 141 | 날짜 01:14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