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lCMgU_x2hdI
(제가 핸드폰으로 작성해서 영상은 직접 주소 클릭해서 보시길 바랍니다)
일본의 유튜버 D스케의 용자공장의 영상입니다
파손된 초합금혼 가오파이가에 대해 말한다 라는 제목으로
파손된 고관절 부위를 그림으로 그려 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인데
역 T형의 핀이 부러져 나가며 생긴 고관절 구멍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수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몇일 전 파손 잇슈 게시물에 달았던 리플 내용 그대로의 문제가 맞네요
"앞 뒤로 조립된 구조의 도색된 합금 고관절 부품의 한쪽에만 T자형 연결부를 만들어 놨네요;;
앞 뒤 부품에 각각 T자형 연결부를 똑같이 만들어 서로 맞붙는 구조로 만들어 놨어야지 반쪽짜리
T형 연결부에 일방적으로 힘을 받게하면 반대쪽에서 받쳐주는 힘이 없으니 저렇게 합금 부품도
부러지는 건데 이거 설계한 직원 바로 자르면 된다 반다이상 이건 용서가 안된다 ㄷㄷ"
현재로선 최대한 파손없게 살살 다루시는 것이 베스트이긴 한데 만약 파손 됐다면 저 영상을 참고해서 수리하시길 바랍니다
하 ㅂㅅ 같이 지 무게도 감당 못하는 설계
반다이 완성품을 많이 접하면서 깨닫게 된건대 가동피규어라고해서 절대 가동을 해선 안됩니다 어디까지나 가동기능이 있는 스테츄의 개념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점을 망각하고 가동하며 가지고 노는순간 낙지+도장탈락+파손 3단크리로 그순간 제품 그냥 버려야함...
어째 파손에 신경써야할 고가품일수록 그쪽에 신경을 더안쓰는 느낌이네요.. -.- 설계자 패고싶네 ㄹㅇㅋㅋ
그동안 축적된 데이터들도 많을텐데.. 여기고 저기고 주요 관절들을 와 저렇게 만드는지 원..
제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가 아닐까 싶네요. 양쪽 부품이 합쳐서 축이 되는 구조는 조립 순서를 지켜야하고, 부품을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으면 축 부품 사이에 빈틈이 생겨서 두께가 일정해지지 않기때문에 조립하는 입장에선 더 신경써야하는 구조일 겁니다.
그래도 수리법이 있다니 다행입니다. 전 아직 수령 못했는데 조마조마하네요
프라모델도 그렇고 반다이 저런 식의 설계를 되게 좋아하는 것 같아요
하 ㅂㅅ 같이 지 무게도 감당 못하는 설계
반다이 완성품을 많이 접하면서 깨닫게 된건대 가동피규어라고해서 절대 가동을 해선 안됩니다 어디까지나 가동기능이 있는 스테츄의 개념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그점을 망각하고 가동하며 가지고 노는순간 낙지+도장탈락+파손 3단크리로 그순간 제품 그냥 버려야함...
그동안 축적된 데이터들도 많을텐데.. 여기고 저기고 주요 관절들을 와 저렇게 만드는지 원..
세라믹식판
제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가 아닐까 싶네요. 양쪽 부품이 합쳐서 축이 되는 구조는 조립 순서를 지켜야하고, 부품을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으면 축 부품 사이에 빈틈이 생겨서 두께가 일정해지지 않기때문에 조립하는 입장에선 더 신경써야하는 구조일 겁니다.
어째 파손에 신경써야할 고가품일수록 그쪽에 신경을 더안쓰는 느낌이네요.. -.- 설계자 패고싶네 ㄹㅇㅋㅋ
오타파님 영상보니 가오파 상태에서 팬텀가오 변형기믹때문에 넣은 관절이 다리랑 일직선이 아닌상태에서 움직일때 파손될거라 하시더군요 그래서 항상 가오파 다리는 일직선으로 만들고 움직여야 파손이 덜하다는 의미로 애기한거같습니다 짧은 일본어라 맞는지 확신이 안되네요..
이게 현재로선 정답입니다 관절이 일렬이 되지 않은 경우는 되도록 앞 뒤로는 움직이지 마실길요
네 맞아요 그거만 주의하면 솔직히 큰 문제는 아닌데 너무 호들갑 떠는 사람 많이 오타파씨도 좀 쓰게 말한거구요
많아서
저런 설계가..초반에 킹아츠 그랜다이져 마징가 의 허벅지 부분이...저런 형태 라서 파손이 일어납니다.수리는 황동심과 레진을 채워서 굳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