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지난 5월에는 비교적 넓은화각의 장비 위주로 가지고나갔습니다.
위사진속 오른쪽 장비로는 LDN 1235 흑상어 성운을 촬영하였습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5월 29일- 5월30일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 망원경 (경통/렌즈) : FRA600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0.7x 전용 리듀서
-가대(삼각대) :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ZWO 174mm mini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Gain 56 offset 25 high gain mode -10c
-필터 : Baader LRGB 36mm
-촬영노출: L 40초 * 280장
RGB 각 60초 *30장
-소프트웨어 : NINA ASTAP PHD2Guiding PixInsight
가끔 성운들이름을보다보면 대체 왜이런이름이 붙었는지 이해가 안되는것들이 많은데
흑상어성운만큼은 왜 이런이름이 붙었는지 명확하게 이해가되는 대상이아닌가합니다.
이날 광시야 장비로는 백조자리의 심장부를 찍었습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5월 29일 밤- 30일 새벽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William Optics Redcat 51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X
-가대(삼각대) : iOptron CEM25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QHY-5III-174M / ZWO OAG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Touptek 26000 KPA
-필터 : Optolong UV/IR Cut
Optolong L-eXtreme
-촬영노출: UV/IR 60sec * 30 (별만 따서 듀오밴드이미지에삽입)
L-eXtreme 600sec * 30
총합 5시간 30분
-소프트웨어 : NINA(촬영), PHD Guiding(가이드), ASTAP(플레이트솔빙), PixInsight(전처리및 후처리)
이부근은 성운이정말많아서 사진을찍으면 정말 사방이 붉은성운으로 꽉찬것으로나오는 영역인데요
사진중앙에 위치한 밟은 흰색별이 백조자리의 정중앙에있는 Sadr 이고요 그 왼쪽으로있는 거대한성운이 IC 1318나비성운입니다.
중앙의 암흑대를 기준으로 좌우가 나비의 날개같다고하여 붙여진이름입니다.
그리고 중앙우하단에있는 밝은 타원모양의 성운은 초승달성운입니다.
2022년 6월
지난 2022년 6월에는 새로운 장비를 들였습니다. 그동안 장초점 장비는 8인치 Ritchey Chretien을 사용하였는데요 (아래사진속 까만망원경)
8인치는 뭔가 살짝 애매한크기라고생각이들기도했고 마침 달러-유로환율이 작년6월에 1:1수준으로떨어진터라
유럽에서 망원경을사서 미국으로배송받으면 매우저렴했던상황이였기에
내무부장관님 잘설득해가지고 ㄷㄷ 8인치보다 한사이즈 큰 10인치 Ritchey Chretien을 구매하였습니다.
8인치에서 구경이 한단계가올라갔는데도 무게는 거의두배고 부피도 엄청커져서 이걸 과연 포터블 장비로서 들고다닐수가있을까? 라는의문이들긴했는데
차에 어떻게실어서 가지고다닐수가있긴하더군요...
장비를 가지고 나간 첫날찍은건 NGC6888 초승달성운입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6월25일저녁 - 26일새벽, 26일 21시-23시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GSO 10" RC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RC2508
-가대(삼각대) :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ASI174mm mini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5C Gain 56 Offset 25
-필터 : Baader 36mm Ha 7nm
Baader 36mm OIII 8.5nm
-촬영노출: Ha - 180sec * 47 = 2h 21min
OIII - 180sec * 76 = 3h 48min
-소프트웨어 : NINA(acquisition), PHD2Guiding (guiding), ASTAP(platesolving), Pixinsight(pre- and post-processing)
지난 5월에 광시야로 찍은사진에 조그만한 타원모양으로나온대상인데 이걸확대해서찍으면이렇게보입니다.
중앙에 있는 밝은 Wolf-Rayet 별에서 발생하는 강한 항성풍이 항성의대기를 우주로 날려보내면서 생긴 성운입니다.
그리고 이날 광시야장비로는 북아메리카성운과 펠리컨성운을 한화각에 담아봤습니다.
북아메리카 성운부분만 확대
펠리컨성운만 확대
북아메리카성운중 Cygnus Wall이라불리는 부분만확대
- 촬영 일시 : 2022년 6월 25일- 26일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레드캣51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x
-가대(삼각대) : CEM25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QHY-5-III- 174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Touptek 26000KPA, Gain 100, Offset 230, -5C
-필터 : Antlia ALP-T 5nm dual band 2"
Optolong UV/IR Cut filter 2"
-촬영노출: Antlis ALP-T = 300sec * 70 - 6시간 50분
UV/IR - 30sec * 30 - 15분
-소프트웨어 : NINA(acquisition), PHD2Guiding (guiding), ASTAP(platesolving), Pixinsight(pre- and post-processing)
2022년 8월
지난 2022년 8월에는 새로운 적도의를 하나 들였습니다
기존 적도의는 웜기어를 사용하는방식인반면 이 적도의는 요즘유행(?)하는 하모닉드라이브를 사용한적도의로서
웜기어적도의대비 가벼운 무게에도 더큰 탑재중량을 가지고 무게추나 무게중심을 생각하지않아도된다는 장점이있습니다.
(물론 주기오차가 더큰단점도존재하지만요)
당시에 새로출시하는 적도의를 예약주문하고 8개월간을 기다린끝에 적도의를 받아서 바로 필드에가져나갔는데요
이날은 굴절치고는 꽤무거운편인 108mm굴절망원경을 하모닉적도의에 올려보았습니다.
NGC6960 서쪽베일성운
- 촬영 일시 : 2022년 08월 27일 저녁 - 28일 아침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 망원경 (경통/렌즈) : FRA600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0.7x 리듀서
-가대(삼각대) : ZWO AM5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QHY5-III-174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톱텍 26000KPA -5C Gain 100 Offset 250
-필터 : Antlia ALP-T 2인치
-촬영노출: 5분 * 65장
5시간 25분
-소프트웨어 : NINA ASTAP PHD Pixinsight
이건 그날 새적도의로 찍은 NGC6960 서쪽베일성운인데
보통 새로운 장비를 들이면 첫촬영에서는 이것저것 시행착오를 겪는데
별다른문제점없이 추적을 매우잘해줘서 매우 만족스러운 날이였습니다.
이날 장초점 장비 10인치 Rithcey Chretien으로 찍은대상은 IC1396 코끼리코 성운입니다.
코끼리코성운은 예전에 광시야로찍은것을 루리웹에 올린적이있었는데요
이 광시야사진에서 노란색 네모안부분을 확대해서찍어봤습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8월27일 저녁- 28일 아침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atory,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GSO 10" RC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Sharpstar RC2508
-가대(삼각대) : iOptron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ZWO ASI174MM / QHY OAG-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5C Gain56 Offset25 HIgh Gain Mode
-필터 : Antlia 36mm Ha 3nm 180sec * 40
Antlia 36mm O3 3nm 180sec * 50
Antlia 36mm S2 3nm 180sec *38
-촬영노출: 6.4시간
-소프트웨어 : NINA ASTAP PHD2 PixInsight
저 암흑대가있는 성운의 구조물이 코끼리코와 같다고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사실 저는 코끼리코보다는
저렇게 세워서 봤을대 여인의 뒷모습같다는 생각이 더듭니다.
내로우밴드이미지는 색상처리방법이여러개가잇는데
Sulfur II 필터로찍은사진을 R채널에
Hydrogen Alpha 대역을 G채널에
Oxygen III 대역을 B채널에넣는
허블팔레트로 처리를 해서 예전에 찍은 붉은색의 코끼리코성운과는 색감이 좀 많이다릅니다.
2022년 11월
2022년 9월과 10월은 한국에다녀오느라 별보러못나나고
11월이나 되어서야 다시 필드에 2박3일로 나가봤습니다.
이날은 전에 새로구매한 하모닉적도의가 얼마나 무거운장비를 견딜수있을가 궁금하여서
10인치 RC를 하모닉적도의에 올리고 한번테스트해봤습니다.
저 아래그래프가 중앙에 딱달라붙을수록 추적을잘해준다는 것인데 생각보다 너무 추적을잘해줘서 놀랐었습니다.
NGC 7635 거품성운
- 촬영 일시 : 2022년 11월 26일
- 촬영 장소 : Anza OCA Observatory, Anza, CA
- 망원경 (경통/렌즈) : GSO 10" RC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Sharpstar RC2508
-가대(삼각대) : ZWO AM5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QHY 174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톱텍 IMX571 칼라 -10C Gain 100 High Gain Mode
-필터 : Antlia ALP-T
-촬영노출: 5분 * 43장
-소프트웨어 : NINA ASTAP PHD PIXINSIGHT
이날 장초점장비로 찍은대상은 거품성운입니다
중앙에 동그란 구조물이 거품처럼생겼다해서 붙여진이름입니다.
2박3일인만큼 시간이많아 굴절로는 두가지대상을 찍어봤는데요.
첫번째대상은 하트성운입니다.
하트성운은 전에 태아 성운과 하트성운을 함께 찍은 광시야사진을 올린적이있었는데요
이날은 하트성운만 좀더 확대해서찍어봤습니다.
- 촬영 일시 : 2022년 11월 26일저녁 - 2022년 11월 28일 새벽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ing Site,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ASKAR FRA600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0.7x 전용리듀서
-가대(삼각대) :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ZWO ASI174MM / QHY OAG 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Gain 56 Offset 25 -10C
-필터 : Antlia 3nm Ha, OIII, SII
-촬영노출: Ha - 300sec * 42
Oiii - 300sec *46
SII - 300sec * 33
총합 10시간 5분
-소프트웨어 : NINA (촬영), ASTAP (플레이트솔빙) PHD (가이드) PixInsight (전처리및 후처리)
좀 화려한 색감의 SHO 허블팔레트로 색감을 처리해봤는데
지금까지 여러번찍어본대상인데 이날 제일마음에드는사진이나왔습니다.
하트 성운 중앙부에는 이런 특이한 모양의 구조를한 성운이또있는데요
이것은 Mellote 15 이라는 명칭이붙은성운으로 크기가 약 15광년정도라고합니다.
NGC2237 장미성운
- 촬영 일시 : 2022년 11월 26일저녁 - 2022년 11월 28일 새벽
- 촬영 장소 : OCA Anza Observing Site, Anza,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ASKAR FRA600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0.7x 전용리듀서
-가대(삼각대) :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ZWO ASI174MM / QHY OAG 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Gain 56 Offset 25 -10C
-필터 : Antlia 3nm Ha, OIII, SII
-촬영노출: Ha - 300sec * 21
Oiii - 300sec *36
SII - 300sec * 29
총합 7시간 10분
-소프트웨어 : NINA (촬영), ASTAP (플레이트솔빙) PHD (가이드) PixInsight (전처리및 후처리)
이날 두번째 대상은 장미성운입니다. 장미성운은
Hydrogen Alpha를 R채널에
OxygenIII를 G,B 채널에넣는데
HOO와
SHO두가지방법으로 처리해봤는데
위에 붉은사진이 HOO
아래가 SHO 허블팔레트입니다.
2023년 1월
지난 1월에는 특별한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약 5만년만에 C/2022 E3 ZTF 혜성이 온것인데요.
혜성은 별보는 취미에서 놓칠수없는 중요한이벤트이기에 이날 필드에나가서 혜성부터 1순위로노렸습니다
- 촬영 일시 : 2023년 1월 22일 새벽 (미국서부시각)
- 촬영 장소 : Goat Mountain Astronomical Research Station, Lander,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RedCat51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X
-가대(삼각대) : AM5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QHY174M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톱텍 26000KPA 하이게인모드 게인100
-필터 : Optolong UV/IR
-촬영노출: 90sec *100
-소프트웨어 : 픽스인사이트, PHD, NINA
아래를 향하는 날카로운 긴꼬리가 이온꼬리
혜성중앙부에 넓게퍼져있는 꼬리가 dust tail
그리고 혜성위쪽으로 나와있는 꼬리는 혜성이 이동하면서 궤도에 남긴 잔해가 빛나고있는것으로서 anti tail 이라고합니다.
사진 6시방향에 깨알만하게 Knife Galaxy도 하나찍혔습니다
이날 광시야장비말고 다른망원경으로 찍은 대상은
1년에 한번은 꼭 찍어보는것같은 말머리성운입니다.
- 촬영 일시 : 2023년 1월 20일 - 22일
- 촬영 장소 : Goat Mountain Astronomical Research Station, Landers, CA USA
- 망원경 (경통/렌즈) : FRA600
- 보정렌즈(리듀서/플래트너/익스텐더) : 전용 0.7x 리듀서
-가대(삼각대) : CEM60
-가이드경/ 가이드 카메라 : ZWO ASI174mm mini
- 카메라(모델명 및 설정) : QHY268M High Gain Mode Gain 56 Offset 25 -10C
-필터 : Antlia LRGB 36mm
-촬영노출: L 30sec * 471
R 60sec * 75
G 60sec* 75
B 60sec * 83
총합 7시간 48분
-소프트웨어 : Pixinsight, NINA, PHD, ASTAP
새 망원경을 들이고나서찍어보는것은 처음인데 장비빨인지 지금까지 찍어보는사진중에서는 제일 마음에드는사진이나왔습니다.
크게 거슬린적은없습니다 말머리사진같은경우는 전체 700여장중 인공위성이 지나간 사진이 한 80-90장정도되는거같은데 스태킹과정에서 각픽셀의 RMS값을구하고 거기에서 크게벗어나는 픽셀은 리젝트하는식으로 합치기때문에 인공위성궤적은 전처리과정에서 손쉽게처리가가능합니다. 전에 어떤천체사진사이트에서 인공위성에대한설문조사를하니까 아마추어천체사진가들은 전처리와 후처리로 궤적처리가가능해서 크게신경쓰이지않는다는 답변과 신경쓰인다는 답변이 반반쯤나왓던걸로기억하네요 (물론 예쁘게 사진찍는 취미의 관점이아닌 학문의관점이라면 달라지지않을까합니다.
하모닉 저도 한번 느껴보고싶네요
왜 추천은 한개 밖에 못 주는건가...
굿굿입니다 천체사진전에 자료로 쓰고 싶을 정도로...!
우왕 이게 천체사진?! 개쩔어욧!!!
와우
사진 멋지네요. 궁금한게 있는데 천체 사진 찍을때 인공위성들 때문에 거슬린 적 있으신가요?
금1211식팔치녀
크게 거슬린적은없습니다 말머리사진같은경우는 전체 700여장중 인공위성이 지나간 사진이 한 80-90장정도되는거같은데 스태킹과정에서 각픽셀의 RMS값을구하고 거기에서 크게벗어나는 픽셀은 리젝트하는식으로 합치기때문에 인공위성궤적은 전처리과정에서 손쉽게처리가가능합니다. 전에 어떤천체사진사이트에서 인공위성에대한설문조사를하니까 아마추어천체사진가들은 전처리와 후처리로 궤적처리가가능해서 크게신경쓰이지않는다는 답변과 신경쓰인다는 답변이 반반쯤나왓던걸로기억하네요 (물론 예쁘게 사진찍는 취미의 관점이아닌 학문의관점이라면 달라지지않을까합니다.
제임스웹 뺨치네요.
천체사진ㅇㄷ. 사진 너무 예뻐요
진짜 멋있네요 8.27은 제 눈에 횃불든 사람처럼 보이는데 제일 멋진거 같아요
30번째 ㅊㅊ은 접니다! 찡끗!
이야 어릴 때 뉴턴에서만 보던 사진이 직접 찍는 게 가능하다니...
어마어마한 사진이네요😮 귀한 사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헐....이정도면 나사는 아니고 볼트 쯤 되실듯....ㄷㄷㄷ 어마어마하네요....
요... 요시! 다 이해했어
와 저 폰 배경으로 좀 써도 될까요
매번 볼때마다 멋지고 놀랍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알쓸인잡에 천체 과학자분께서 사진으로 우리가 접하는 천체의 색과 실제 천체의 색과는 다르다고 하시던데요. 찍힌 사진을 우리가 보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색으로 변환하고 보정한다고 들었습니다. 직접 찍으신 사진도 그런 보정 과정을 거치신건가요? 올려주신 사진 정보의 필터나 소프트웨어가 그런 역할을 해주는 건가요? 천체 사진을 볼때마다 궁금해서.....ㅎㅎ
위 사진들중 일부사진들은 수소의 이온화파장 산소의 이온화파장들만을 걸러주는 필터를 끼우고찍고 그걸 RGB에 대응한사진들이라 false color에해당합니다만 그와 반대로 나머지사진들은 가시광선파장을 RGB그대로받아들인 사진들입니다 예를들면 흑상어성운이나 말머리성운은 내로우밴드필터를 쓰지않은 사진입니다. 후보정과정에서 채도를 올리거나 밝기를 조절하는등의 처리는있엇지만 색상자체는 가시광선 광대역내에서 실제 색상에가깝다보면됩니다
와~ 답변 감사합니다. 실제 색상에 가깝다니 더 신기하군요. ㅎㅎ 우주는 멋지네요.
아 100% 인간이 창조한(?) 색이 아니라 고유의 색이 있긴 있군요!! 진짜 신기하다 ㅋㅋㅋㅋㅋ
그건 보통 그 과학자 분들이 말할 때 장비는 가시광선 영역을 찍는 장비가 아니고, 적외선, 전파 스펙트럼 같은거 찍는 장비라서 그런거... 당연히 가시광선 영역이 아니니까, 거기서 나온 데이터를 지구에서 측정해놓은 데이터의 색상으로 변환해주는 과정을 거침.
지금 제임스 웹 망원경에서 근무 도중에 찍으신 건가요.
너어무 잘 보고 갑니다. 직업이 아닌 진짜 취미로 즐기시는거라면 끝판계열에 들 거 같습니다. 배송만 몇개월이 걸리다니요ㄷㄷㅎㅎ 투입 비용 대비 그 뿌듯함도 어마어마 하실 것 같습니다ㅎㅎ나중에 또 올려주세요!
진짜 개쩐다....너무 이쁘고 멋있네요. 언젠가 미래에는 눈으로만 보던 곳들을 직접 가보는 날도 있겠죠?스타트랙 같은 현실을 보진 못하겠지만 이렇게라도 보니 정말 황홀하고 멋집니다.
우왕~~너무 멋집니다. 10인치 수동식 반사망원경 정도나 써본 저로써는 정말 꿈도 못꿀 장비들 이네요
갈수록 대포가 한문씩 늘어나네요.
이몸 우주 이야기 우주 사진 좋아
넘이쁜데 우주나 바다는 무서워서 똑바로못보겠어요ㅜ
정말 멋지네요 이런거 볼때마다 저도 할수만 있으면 겸손해지는 취미활동을 하고싶어집니다만, 주워듣거나 이글만 봐도 아무나 할 수 있는 활동이 아니기에 ㄷㄷㄷㄷ 여기서 보면 흔한 먼지바람이나 구름으로 보이는 성운들이지만 저 먼지 하나하나가 지구보다 크다고 생각하면 아찔해지네요
한번씩 밤하늘 쳐다보면 별이 5개정도(그마저도 목성, 금성 이런 행성들 포함)밖에 안보이길래 도시화되어서 별보기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딱히 그런건 아닌가보네요. 말머리성운같은건 그냥 우주에서 허블망원경같은걸로 찍은건 줄알았는데 지상에서도 볼 수 있었군요.
이 모든것들이 다 우리 은하에 있겠지요? 너무나 넓은우주
사진이나 영상물 어떤걸 봐도, 그냥 내가 사는 곳이랑 다른 세계같은 느낌이 나는데 천체 망원경으로 달이나 토성 목성같은 천체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면 저런게 항상 내 머리위에 있었구나 라고 실감하게 되고, 감동이더군요. 그 어떤 고해상도 사진이라도 비록 손톱만한 사이즈에 조금 흐릿한 화상이지만 실물에게는 이길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많은 별 중에 생명체가 지구에만 있다면 엄청난 낭비다. - 칼 세이건
이 정도면 제임스웹 망원경이랑 차이 없는거 아닌가요.ㄷㄷ
정말 좋은 천제사진 잘 보고 갑니다. 감동입니다.
혹시 이런 수준의 천체사진 찍을려면 망원경은 얼마 짜리 정도야 하나요??
흑상어 성운 멋있어요~!
과금해서 추천 100개 날리고싶어요...
너무 멋집니다 !!! 아릅답네요
이정도면 UFO사진은 몇장 있을께 확신하네요... 왜 UFO사진은 뺀거죠???
오 . 마이. 갓 !!! 대박 멋지네요.
눈 호강하고 갑니다^^
실제 눈으로는 어떻게 보여질지가 궁금하네요.
우주는 너무 신기해요
와.. 천체사진.. 멋집니다.
진짜 멋있는 인생을 살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님 혹시 제임스 웹 망원경 갖고계세요? 하 진짜 은둔고수가 하나 카피본으로 만든건가 외계인하고 친구세요?
너무 멋진 사진입니다. 카메라가 전혀 생소한 것들이네요 검색을 해보니까요 ^^; 제가 여유가 되면 나중에 2톤 트럭 뒤에 간이 천문대를 장착해서 가지고 다니는게 꿈이긴한데 ㅎㅎ;;
입이 딱 벌어질만큼 멋진 사진이네요~
망원경이 마치 대포...조준 하늘로 쏘아서 터진장면 사진 같네요 퍼퍼퍼펑
와.. 천문학자이신가요?? 궁금한게 있는데요. 제임스웹 같은 카메라로 찍으면 사람들 눈에 구분하기 좋게(애초에 가시광선이 아니지만) 색을 칠하는데요. 본문의 이미지들은 가시광선 영역으로 찍은 이미지 칠 하지 않은 사진인가요??
위사진들중 일부는 가짜색상이고 일부는 진짜색상입니다 흑상어성운이나 말머리성운의경우는 가시광선을 광대역으로 찍은사진을 사진속에찍힌 별들의 색상을 기존 별 스펙트럼 DB에 있는 색상에 맞춰서 색상을 교정한것이기때문에 실제색상에 가깝습니다. 반면에 장미성운이나 하트성운의경우는 수소의 이온화파장만보여주는 필터로 한장찍고 황의 이온화파장만보여주는 필터로한장찍고 산소의 이온화파장만 보여주는 필터로한장찍었고 수소를 초록색, 황을 빨간색, 산소를 파란색으로보여주겠금 가짜색상을만든것입니다
헐.. 대박..
우주 어딘가에 진짜 엄청난 게 살고있을거야. 이렇게 넓고 별이 많은데 우리만 있는게 더 이상하지.
너무 아름답습니다..아침부터 눈호강 했네요 !
한장한장이 다 배경화면으로 사용해도 될 정도로 웅장하네요 멋있습니다
서쪽 베일 성운에는 슈퍼맨이 살고 있을거 같네요. 사진 너무 멋지네요. 말머리도 너무 멋지고 와 ...
스르륵, 딴지 시절 프페님을 자주 봤었는데 요즘은 이렇게 아주 가끔 오른쪽에 오는걸로 근황을 아는게 아쉽네영 ㅇㅅㅇ;;;;
직접 보고싶다…
맨날 보는 밤하늘에 저런게 떠있다고 생각하니 이상하네요.
와 정말멋지당.. 직접 한번 보고싶내요....
이렇게 봐도 우주는 신비롭고 무섭다..
몇백장 합성하는 프로그램이 너무 궁금해요 으어....
경이롭네요 드릴게 추천밖에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