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펼치기
라이젠 3950X 리뷰: 인텔에 치욕적 패배 안긴 AMD 16코어 CPU

16코어 라이젠 9 3950X는 단연 가장 빠른 일반
소비자용 CPU. 논란의 여지는 털끝만큼도 없음
NFL에 비유하면 라이젠 3950X는 경기장을 가로질러 달려가서
NFL 사무국이 벌금을 부과할 만한 과도한 세리머니를 하는 격
그동안 파란색 저지를 입은 상대팀 팬들은 멍하니 서서 눈물 고인 눈으로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확인
라이젠 9 3950X의 출시 가격 749달러가 지나치게 높다고 불평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인텔과 비교했을 때 3950X는 미칠 듯한 성능을 사실상 염가에 제공하는 셈
27
[RULIWEB]
날짜 2019.12.09
|
관리자
추천 2
조회 8539
날짜 2010.06.22
|
낭자애여고생
추천 4
조회 4308
날짜 15:13
|
pomelo
추천 0
조회 2862
날짜 15:08
|
DZshk
추천 1
조회 8818
날짜 12:35
|
이지스함
추천 12
조회 11309
날짜 2019.12.10
|
pomelo
추천 0
조회 7547
날짜 2019.12.10
|
케루스
추천 10
조회 4155
날짜 2019.12.10
|
루리웹-8893760976
추천 9
조회 3025
날짜 2019.12.09
|
넘나좋은것
추천 7
조회 4503
날짜 2019.12.05
|
Liara T'soni
추천 11
조회 5405
날짜 2019.12.05
|
춘리허벅지
추천 7
조회 11560
날짜 2019.12.03
|
잼잼버린
추천 15
조회 6305
날짜 2019.12.03
|
케루스
추천 23
조회 5376
날짜 2019.12.03
|
춘리허벅지
추천 2
조회 5790
날짜 2019.12.02
|
Ange·le·Carré
추천 1
조회 2807
날짜 2019.12.02
|
줄리주
추천 12
조회 2195
날짜 2019.12.02
|
간지폭풍
추천 16
조회 5410
날짜 2019.11.30
|
루리웹-8893760976
추천 5
조회 5721
날짜 2019.11.29
|
잼잼버린
추천 22
조회 13599
날짜 2019.11.28
|
케루스
추천 4
조회 6514
날짜 2019.11.28
|
짱깨
추천 48
조회 13277
날짜 2019.11.26
|
captainnemo
추천 28
조회 16267
날짜 2019.11.24
|
(◉◡◔)
추천 3
조회 5982
날짜 2019.11.22
|
줄리주
추천 1
조회 2453
날짜 2019.11.22
|
루리웹-8893760976
추천 9
조회 6403
날짜 2019.11.22
|
루리웹-8320075123
추천 0
조회 1374
날짜 2019.11.22
|
춘리허벅지
추천 0
조회 2299
날짜 2019.11.21
|
스테고 CH
추천 4
조회 2898
날짜 2019.11.20
|
seaislands
추천 12
조회 10376
날짜 2019.11.19
|
이런말이 있죠 "고성능이 필요해서 사는게 아니라 갖고싶어서 사는거다!" 라는 말이...ㅎㅎ
상대회사 동급스펙의 가격이 두배인데 이정도면 적정가 이상 아닌가
요즘 ssd가격도 많이 싸졌는데 이 정도 시스템 구축할 사람이면 ssd는 기본으로 구입 하지않을까요?
제친구도 게임안하는데 2080 TI입니다
전세대 HEDT까지 같이 쌈싸먹는 충격과 공포의 성능..
당장 랜더링성능만봐도 인텔 18코어랑 비비는것도있는거보면 엄청나긴한듯..
전세대 HEDT까지 같이 쌈싸먹는 충격과 공포의 성능..
저정도 고성능을 직접 써서 체험헤보고 싶지만 저 성능을 다 써먹을만한 일을 안하는게 문제...
잘자요
이런말이 있죠 "고성능이 필요해서 사는게 아니라 갖고싶어서 사는거다!" 라는 말이...ㅎㅎ
정답!!
잘자요
제친구도 게임안하는데 2080 TI입니다
정답입니다. 게임은 스타1 밖에 안하고 그외엔 인터넷 웹서핑밖에 안하는 제 친구도 컴 3900x+2080 씀. 다나X 에서 조립PC 인기순위만 보고 맘에 드는걸 샀다고 함.
하지만 인텔이 AMD 수준만큼의 보안패치를 하면 어떨지... 인텔은 연병장 한가운데서 대가리 박고 있어야함...
3700X도 CPU 처리속도 다 못써서 HDD 단계에서 쓰기 속도에 병목걸리는데... 3950X 같은 건 제대로 쓰려면 SSD에 인코딩하는 게 필수겠네...
TYPE;Unknown
요즘 ssd가격도 많이 싸졌는데 이 정도 시스템 구축할 사람이면 ssd는 기본으로 구입 하지않을까요?
SSD를 구입하는 거랑, SSD에 영상 데이터 넣고 몇십기가씩 하루에 인코딩 돌리는 건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nvme ssd도 엄청 저렴해졌는데 애초에 그런 전문 시스템 유저라면 스스디에도 돈을쓰져 별걱정을
당장 제가 쓰려고 고민하는 건데 뭐가 별 걱정인가요; HDD 박아놓고 수명 걱정 없이 돌리는 거랑 SSD 수명 걱정해가며 단기 소모품으로 굴리는 거랑 비용이 천지차이인데;
언제적 수명얘기하고 있어요 스스디 쓰기제한이 터지는것보다 하드 모터 터지는게 더 빨라요
하루에 40기가씩 서너번 스스디에 쓰면 100기가입니다. 수명 걱정 해야되는데요?
일반 게임 설치 해놓고 읽기용으로 쓰는 거랑 같다고 생각하시나...
TLC도 쓰기제한 페타급 나오는데 모터 터지는걸 더 걱정하는게 더 맞을것 같은데 그렇다고 MLC 제품이 없는것도 아니고요. 걱정이 너무되면 삼성 PRO급 쓰세요
모터 터지는 건 걱정안하셔도 되는게 이미 그렇게 써도 안 터지고 잘 쓰고 있습니다. SSD는 몇번 뒤졌구요.
그럼 ssd 시체더미좀 올려주세요. 얼마나 많이 터지셧길래.
http://gigglehd.com/zbxe/index.php?mid=hdnews&document_srl=11158615 240기가짜리기준 매일 300기가씩5년써야 3기가 용량저하있고 큰문제는 없네요
윈드재머
갈 길 가세요 시비 걸지 말고
그리고 그거대비해서 나온 기업용 제품도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전용 ssd요
응 찐 잠이나 자라
감사합니다.
뭐하는 인간이지. 왜 남의 수면 관리까지 하려고 들지.
두번 뒤졌습니다. 제가 뭐 갑부도 아니고 소소한 시스템 내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굴리려고 고민하는 건데 적대적인 분이 참 많으시네요.
아니 그거말고 죽은 ssd좀 보여줘요. ssd 겁나 안뒤지는데 계속 뒤지면 나같아도 시체더미 쌓아놓고 제가 이렇게 일을 열심히 했어요 뿌듯 이럴거같은데?
아니 그럼 2번가지고 몇번이라고 복수형 칭한거에요? 에반데 ㅋㅋㅋㅋㅋ 지금 쓰신글로 위에 자기가 단 댓글 모순이다 말하는거 인증하시는건가?
그냥 믿지 마세요. 님은 그냥 시비 걸고 싶어하시는 거 같은데. 그리고 그게 별로 자랑거리가 된다고는 생각 안해요. 어차피 취미로 돌리는 건데.
초기 스스디같은경우는 셀 죽는것보다도 폐급 컨트롤러가 죽어서 문제가 좀 생겼고 그런걸로 불신하시는것 같은데 현세대 스스디는 초기불량 외에는 거의 없다고 봅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상황입니다.
시비가 아니라 SSD는 잘 뒤진다매요 님 의견으로. 근데 반박글 나오니 찐처럼 내껀 몇번(복수형)으로 뒤지던데 해놓고 내뺴시내. 마지막으로 이거 쓰고 갈길갑니다. 전문회사면 SSD에 쓰는 돈을 더써서 시간을 삿으면 삿지 님처럼 뒤진다고 빼애애액 되진 않겟내요. 진짜 로 잘 뒤진다 해도요.ㅋㅋㅋ
네 그런 거라면 좀 안심이네요.. 조언에 용기 얻고 인코딩용으로 하나 장착해보겠습니다.
SSD는 잘 뒤진다? 제가 언제 그렇게 얘기했습니까. 님은 그냥 보고 싶은 것만 보시는 분 같은데, 그냥 님 말이 다 맞아요 ^^
TYPE;Unknown (684543) 121.140.***.*** 루리웹-2650969827 모터 터지는 건 걱정안하셔도 되는게 이미 그렇게 써도 안 터지고 잘 쓰고 있습니다. SSD는 몇번 뒤졌구요.
갈 길 가신다더니 다시 돌아오셨네요? ㅋㅋㅋ SSD는 몇번 뒤졌다가 어떻게 SSD는 잘 뒤진다가 되죠?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SSD 사용하다 몇 번 뒤지면, 수명 걱정할 수도 있는 거 아닌가요? SSD가 뭐 한 두푼 하는 것도 아니고, 몇번 굴리다가 또 교체해줘야 되는 수준이면 비용 부담이 큰데. 그리고 전문회사도 아니고 그냥 일반 취미 용도라고도 밝혔습니다. 취미용으로 그만한 비용 쓰기는 부담스럽다구요. 그냥 반박이 하고 싶으신 거 같은데, SSD 잘 안뒤지고 님 말이 다 맞아요. 됐죠?
일반적인 용도로 쓰던 것도 아니고, 하루에 몇십, 많게는 몇백 기가씩 인코딩하다 뒤져서 내가 쓰기 수명을 과도하게 몰아 쓰는 거 같아서 SSD 수명이 걱정된다는 얘기인데, 대체 어떻게 심사가 꼬이면 그런식으로 말씀하시는 건지 참 궁금하네요.
ssd는 수명이 짧은 단기 소모품이다 -> 하루100기가씩 쓰기를 하면 얼마 못간다 -> 사실 내가 쓰던게 몇번 죽었다 -> 사실 그 몇번은 두번이다 님 솔직히 좀 추한거 같아요~
니게 불량이었나보지 니가 문제인건 니 ssd불량문제를 일반화하는게 문제인거야
SSD는 수명이 짧은 단기 소모품이라고 한 적 없습니다. 단기 소모품 방식으로 굴리는 게 부담이 된다고 했죠. 애초에 첫 댓글에서도 인코딩 얘기를 했었고, 인코딩 같이 고용량 파일 여러번 쓰기 하면 단기 소모품 방식으로 굴리는 거죠. 추하다고 생각하시면 할 말 없습니다. 그냥 그렇게 생각하세요. 제가 SSD 깎아내려서 얻는 이득이 뭐 있다고 이럽니까?
그래 그럴 수도 있겠지. 근데 넌 언제 봤다고 반말이냐?
TYPE;Unknown 당장 제가 쓰려고 고민하는 건데 뭐가 별 걱정인가요; HDD 박아놓고 수명 걱정 없이 돌리는 거랑 SSD 수명 걱정해가며 단기 소모품으로 굴리는 거랑 비용이 천지차이인데; 님 기억력이 조금 짧으신거 같아요~
하... 설명을 해도 이해를 못하시는 거 같은데, 고용량 파일 여러번 쓰기 하는 게 일반적인 상황 자체가 아니고, 제품 설명에 보장된 수명주기보다 짧아지니 결과적으로 단기 소모품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절 비꼬는 걸로 님 기분이 좋으시다면야 뭐 좋은 일 한 셈 치고 그냥 넘어갈게요. 계속 그렇게 사세요.
스스디로 영상 인코딩 매일돌리면 금방 뒤짐..
지금 그얘기 실컷했는데 뒷북을 치시네요 http://gigglehd.com/zbxe/index.php?mid=hdnews&document_srl=11158615 저게 5년전에 쓰던 스스디인데 지금은 굳이 말해봤자 입만 아픔
스스디 수명이 길다는 벤치자료들은 많은데, 정작 짧다는 분들은 아무튼 짧다고만 말하네요 ㅋㅋ
음... 싸움이 되어가는 분위기같아서 쉽게 말하기는 좀 그런데 Ssd를 재수 없는 타이밍에 탔거나 지나치게 싼 것만 샀다면 그럴 수 있긴 합니다. 예를 들어 mlc 전환기에 mlc 최저용량을 샀다면 컨트롤러는 컨트롤러대로 구리고 디램캐시 성능도 개판이고, 용량은 적으니 플래시 메모리 수명도 낮고... 그런 상황에서 신뢰성이 검증안된 제품을 샀다면 맛탱이가 쉽게 갔을 수 있어요. 만약 대용량 ssd 사기가 정 부담스러우시다면, 인텔 제품이라면 하드디스크+옵테인 메모리 조합으로 가면 인코딩 속도와 가격 대비 용량을 다 잡으실 수 있고요. Amd도 옵테인메모리나 ssd에 storemi를 적용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 조언 감사합니다. 표기된 쓰기 수명도 있고, 제 체감문제도 있고 해서 한 동안 SSD로 인코딩 돌리는 걸 부담스러워하고 있었는데, 댓글들 보고 다시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네 ssd 수명은 ssd 용량에 비례해서 급증한다는 걸 참고하셔서 디램 있고 고용량인 거 한 방에 한 번 가보시어요! 작업효율성이 급증하고 부품도 고장 없이 오래오래 가기를 기원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이번 블프 때 큰맘먹고 2TB짜리 한 번 구해보려구요. 이렇게 많은 분들이 열화와 같이 SSD 수명 문제를 변호하시니, 비록 욕은 좀 먹었습니다만 걱정은 한 짐 덜었네요 ㅎ;
용량이클수록 수명은 길테니 사보시는것도 좋겠네요
상대회사 동급스펙의 가격이 두배인데 이정도면 적정가 이상 아닌가
7나노 신공정 제품이 14나노 사골제품을 압도적으로 못이기면 그것도 문제죠
네 다음 인텔러 ㅋㅋ
흠 이런걸 보고 도둑이 제발 저린다고 하는 건가요 ㅎㅎ
뭐 게임'만' 빼고 거의 모든 면에서 현존최강 엔트리 데스크탑 CPU니...
인텔 하이엔드 메인보드값 생각하면 3950x 가격은 정당한느낌인데 문제는 용팔이 ㅋ
적당? 존나 싸다 못해 와 이거 이 가격에 내놔도 되나 수준임
16코어 32스레드가 750달런데 비싸다는 것들은 뭐하는 것들일까?
CPU는 뭐다??? 당연히 AMD!!!
인텔 경쟁 라인은 가격이 두 배던데, 문제는 성능도 낮아 이뭐같은 일이..
32쓰레드 .... 작업관리자보면 엄청 나겠다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