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2023 LoL 월드 챔피언십이 대망의 결승에 도달했다. 오늘(1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올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를 마무리짓는 월즈 결승전이 열렸다. 결승전은 LCK의 T1, 그리고 LPL 의 웨이보 게이밍의 대결이었다.
최고의 월즈 주제곡 중 하나로 손꼽히는 ‘레전드 네버 다이’ 로 축하 공연이 시작됐다. 그리고 바로 ‘하트스틸’ 이 이어받아 존 스크루비, 오지, 토비 루, 백현이 무대에 올랐다. ‘하트스틸’의 노래 ‘PARANOIA’ 가 울려퍼진 후, 또다른 월즈 주제곡 ‘RISE’ 의 무대가 이어졌다.
다음은 이번 월즈 주제가 ‘GODS’ 를 부른 최고의 K-POP 그룹 중 하나인 뉴진스의 무대였다. 해린, 혜인, 민지, 다니엘, 하니가 무대에서 퍼포먼스와 함께 GODS 를 선보였다. 축하 무대가 끝나고, 양팀 선수단이 무대에 입장한 후 전용준 캐스터가 결승의 시작을 알렸다.
미디어데이에서 진행된 토인 토스에서 승리한 웨이보가 블루 사이드를 골랐기에, 1세트는 웨이보 블루, T1 레드로 시작했다.
오리아나, 니코, 럼블, 아지르 등 이번 대회의 강력한 픽과 상대의 주력픽을 서로 잘라낸 양팀. 이번 대회의 메타픽 중 하나인 아트록스를 먼저 고른 웨이보와 이를 4강전에서 보여주었던 요네로 다시 카운터치고자 고른 T1. 조합상 T1이 파고들고 웨이보는 이걸 받아치는 조합이었다.
초반 오너는 리신의 강점을 살리고자 빠른 카운터 정글을 들어가고, 여기에 웨이보가 반응하자 미드를 한 번 흔들며 빠진다. 양팀 미드가 점멸이 빠진 상황에서 역으로 웨이웨이가 크게 돌아 미드 갱킹을 시도하고 성공시켜 첫 킬을 따낸다. 하지만 아직 정글 주도권이 살아있는걸 활용해 T1이 첫 용을 차지한다. 이어 T1이 마오카이 6렙 직전에 전령도 차지하고 미드에서 킬도 하나 얻지만, 웨이보도 일방적으로 손해보지는 않으며 탑에서 갱킹을 성공, 킬 스코어를 2대1로 맞춘다.
12분 탑 2대2 교전, T1이 먼저 사이에 끼인 마오카이를 노렸지만 웨이보가 좋은 대처로 일방적으로 킬을 가져가고, 결국 이후 T1이 정글에 서폿을 모두 끌어들여 더샤이의 아트록스를 잡아냈다. 그러나 합류 후 흩어지는 상황에서 웨이보가 이를 낚아채 리신을 킬, 마오카이는 처형을 당하는데 성공한다.
18분, 세번째 용을 두고 제대로 된 한타가 벌어진다. 그러나 여기서 T1이 3대0의 킬교환으로 T1이 용을 내준 대신 킬을 대거 획득한다. 그리고 간발의 차로 계속 살아나가는 웨이보를 제대로 한번 잡아내려고 T1이 시도하지만 역시 탐켄치의 세이브로 샤오후가 살아간다.
돌진조합이 궤도에 오른 T1으로부터 갑자기 게임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다수의 교전이 이어진다. 바론이 나오기 전 미리 유리한 지점을 선점하려던 웨이보가 미드에서부터 구마유시를 물지만 훌륭한 움직임과 빠른 합률 구마유시는 살고, 오히려 웨이보 4인이 전사한다. 거기다 T1이 바론까지 차지하면서 격차를 크게 벌리기 시작했다.
23분에 6천 이상의 골드 차이가 벌어지고, T1의 탑 1차 타워만이 파괴되고, 웨이보는 탑 2차를 제외한 모든 타워가 파괴된다. 주도권을 가져온 T1이 단식 세나와 제이스로 게임을 길게 가져가야하는 웨이보를 적극적으로 압박한다. 시간이 필요한 웨이보는 오브젝트를 저지해야 하지만 그럴 힘이 아직 없었고 두번째 바론을 쉽게 내준다. 그리고 바론 버프를 단 T1이 웨이보 본진으로 달려 한 번의 한타만에 박살내면서 승리를 확정짓는다.
1세트에서 활약한 요네를 자르고 아트록스 픽, 마오카이에게 위협이 되는 뽀삐까지 다른 후 마오카이 정글을 한 번 더 간 웨이보. T1은 이번엔 사일러스를 미드로 보내고 아트록스를 그웬으로 카운터 치기로 한다.
무난하게 흐르던 초반, 녹턴이 6레벨을 찍고 탑 다이브를 같이 시도했지만 역으로 죽을 뻔한 찰나, 제우스의 그웬이 후속 싸움으로 아트록스를 처치하며 퍼블을 따내는데 성공했다. 거기다 바로 뒤 봇 라인에 잠시 합류했던 아트록스를 다시 타워 뒤 공간에서 3인이 갱킹해 처치하며 2번 연속 집으로 보낸다. 이대로 손해만 볼 수 없던 웨이보도 4명이 탑에 다이브해 킬을 노렸지만, 제우스가 살아남아 상대에게 킬을 주지 않고 처형 당하면서 T1이 초반에 웃는다.
대신 웨이보는 오브젝트에 잘 집중, 초반 두마리의 용과 두 전령을 모두 획득한다. 비록 아트록스가 0/3/0이 되었지만 웨이보는 전령을 사용해 미드 1차를 먼저 밀고, 3번째 용도 시도하면서 게임을 잘 풀어나갔다. 그러나 3번째 용에서 벌어진 한타, 난전이 벌어지면서 드리블을 더 잘한 T1이 4대1 킬교환과 3번째 용을 차지한다. 이제 골드차이는 4천으로 T1이 앞서나간다. 20분 미드 한타에서도 케리아가 굉장히 뛰어난 움직임으로 아리의 매혹을 피하고 역으로 세나와 아리를 잡아낸다.
이미 게임이 크게 기운 27분, T1이 상대 시야를 차단하고 바론을 버스트해버린 후 막으러 온 상대를 밀어내며 무사히 퇴각하는데 성공한다. 제우스 그웬의 미친 활약과 함께 이정도 격차를 벌린 T1은 무난하게 웨이보를 연전연파하며 넥서스를 파괴한다. 세트 스코어 2대0
웨이보는 이번엔 아트록스를 포기하고 레나타를 자른다. T1 은 크산테를 자르고 아트록스를 차지, 자야라칸에 페이커에게는 아칼리를 준다. 정글은 1세트의 수훈 리신이 다시 투입됐다. 웨이보는 4강에서 페이커가 대활약한 아지르를 1픽으로 선픽하고, 비장의 수로 탑 케넨을 꺼낸다.
초반, 오너의 리신이 탑과 봇을 휘저으며 케넨을 처치하고 아지르를 아쉽게 놓친 사이 봇에서는 라칸이 킬을 내준다. 이번에도 탑을 내줄 수는 없다는 듯 바드와 벨베스가 궁극기 타이밍 전에 탑 갱킹을 가해 제우스를 처치한다. 탑이 계속 격전지가 되는 사이 오너가 한번 죽고, 전령을 내준다. 조금 불리한 상황에서 T1은 두번째 용 앞 한타에서 페이커의 활약으로 2킬과 용을 모두 획득하고 무사히 퇴각한다.
승부처가 될 18분 용앞 한타. 양팀이 텔을 포함한 빠른 합류를 하는 가운데 페이커가 아칼리로 활약하고 전체적인 어그로 드리블을 성공하며 T1이 승리하고 용을 차지한다. 여기에 바론 앞 한타에서도 대승을 거두면서 게임은 T1에게 급격히 기운다.
그리고 무난한 T1의 진격을 웨이보는 막지 못했고, 넥서스를 파괴하며 3대0, T1이 팀 4번째 월즈 우승컵을 들어올린다.
이번 우승으로 각 월드 챔피언십에서 개최지역 팀은 우승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깨졌고, 페이커는 자신의 통산 4번째 월즈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제우스/오너/구마유시/케리아 는 긴 여정 끝에 마침내 세계 정상의 자리에 올랐다. 결승전 MVP 로는 오늘 맹활약한 탑 제우스가 선정되었다.
어차피 결과론 적 이야기지만 4강전 미드 바텀 하이퍼 캐리 보고 그냥은 답없다고 생각한듯
그동안 제우스가 1인분은 해줬지만 4명에 비해 약간 잠잠한것도 사실이고
근데 막상 열어보니 그냥 활약할 기회거 없었던거고 4명 동급 혹은 그 이상 포스였고
탑에서 반반만 가주고 바텀만이라도 반반 가자 이런 전략으로 큰 전략을 새웠을테니
수정도 어려웠을꺼고 마지막에 결국 벤픽 전략 수정하지만 티원이 고벨류 싹다 먹고
깔끔히 크산테 벤... 양소인이 본인이 은퇴시킬려는 미드를 너무 많이 의식했는지
벤카드 미드에 너무 많이 쓰고 계속 픽도 페이커가 픽한 챔편만 사용함
전력도 열세였는데 벤픽도 개 폭망함
작년 롤드컵도 그랬지만
올해도 서사가 미치긴 했음
LCK 팀 모두 탈락해서 안티들마저
숭배하게 만들수밖에 없는 상황
LPL 담당일진의 역사
DRX 와 데프트의 경우 언더독이어서 5꽉승부가 너무 극적이었다면
T1 과 페이커의 경우 LPL 에게 자연재해같은 포스로 다 날려버림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