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뉴스 기사

[기사 제목]

2018 플레이엑스포, 흥행 위해 루리웹·트위치 손 잡다

조회수 12165 | 루리웹 | 입력 2018.05.03 (11:59:25)
[기사 본문] 3일, 경기콘텐츠진흥원이 판교에 위치한 경기창조혁신센터에서 ‘2018 플레이엑스포 공식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5월 10일부터 14일까지 4일 동안 일산 KINTEX에서 열리는 글로벌 게임쇼 ‘2018 플레이엑스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이 자리에서는 지난 성과와 더불어 프로그램, 대표 콘텐츠가 소개됐다.

data/news19/05m/03/multi/playx1.jpg

“기능성 게임에서 출발한 플레이엑스포가 올해로 대망의 10주년을 맞았다.”고 서두를 꺼낸 경기콘텐츠진흥원 오창희 원장은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 이스포츠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만큼 게임에 대한 일반인의 시각이 또 한번 바뀔 것으로 보인다. 그런 시대의 흐름 속에서 플레이엑스포가 하나의 모멘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정치적 이유로 국내 게임의 중국 진출이 막혀 있는 상황인데, 경기권 게임쇼 중에선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중소 기업이 부각될 수 있는 그런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data/news19/05m/03/multi/playx3.jpg

이어 경기도 콘텐츠산업과 안동광 과장은 “지방자치단체에서 한 행사를 10년 동안 끌고 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중간에 없어지거나 변경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름이나 장소는 조금씩 바뀌었지만, 경기도와 콘텐츠진흥원 양자가 적절히 협조한 게 성공 비결이 아닐까 싶다.”며 “10주년을 맞아 플레이엑스포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경기도도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data/news19/05m/03/multi/playx4.jpg

경기콘텐츠진흥원 김창주 G-NEXT 팀장은 “개막 7일 전 기자 분들께 소개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언급하고, “경기도는 G-NEXT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자체 사업 및 중앙 정부와의 협조를 통해 공격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며 설명을 시작했다.

data/news19/05m/03/multi/playx5.jpg

2009년 기능성게임페스티벌로 출발하여 2016년 지금의 플레이엑스포로 변모한 플레이엑스포 2018은 B2B와 B2C를 아우르는 종합 게임쇼를 표방하고 있다. 유명 크리에이터의 취재가 예정된 중소기업 특별관을 설치하고, B2B 전용 VR 특별관을 구성할 예정이며, 중소 기업을 위한 팝업 스테이지 등 마케팅 기회가 확대되고, 총 350개사의 참여를 통해 성과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data/news19/05m/03/multi/playx6.jpg

data/news19/05m/03/multi/playx7.jpg

B2C에는 펄어비스, 유니아나, 엘지전자, 핀콘 외에 소니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코리아,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엔젤게임즈, 에이수스 등이 참여해 종합 전시회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된다.

data/news19/05m/03/multi/playx8.jpg

B2B에는 텐센트와 넷이즈, 세가와 스퀘어 에닉스 등 중국과 일본의 주요 업체가 참가하며, 국가 공동관을 설치해 아시아 주요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data/news19/05m/03/multi/playx9.jpg

개막식은 10일 10시 30분 킨텍스 7홀 앞 로비에서 진행되며, 유관 기관 및 주요 게임 업체 대표가 VIP로 참석한다.

data/news19/05m/03/multi/playx10.jpg

또한 대도서관 팬 사인회, 게임 이야기 콘서트, 트위치 스트리밍 쇼, 게임 음악 오케스트라, 루리웹 성우 토크쇼, e스포츠 페스티벌, 오버워치 컨텐더스 결승 등의 B2C 부대 행사와 국제 게임 컨퍼런스, 네트워킹 행사 등의 B2B 부대 행사가 계획되어 있다.

data/news19/05m/03/multi/playx11.jpg

data/news19/05m/03/multi/playx12.jpg

1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관 제작과 프로모션도 기획되어 있는데, 기능성게임쇼, 굿게임쇼, 플레이엑스포 등 3개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참관객들의 의견을 받아 미래에 대한 방향성도 모색한다. 참가자에게는 기념품도 제공하며, VR 갤러리에서는 나레이션과 함께 10년 역사를 체험할 수 있다.

data/news19/05m/03/multi/playx13.jpg

data/news19/05m/03/multi/playx14.jpg

전시 면적과 관람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올해는 7만명의 관람객, 650개사(바이어 160개사)의 참가 기업, 8천만 달러의 계약 추진액을 목표로 하고 있다.

data/news19/05m/03/multi/playx15.jpg

아래는 질의 응답을 정리한 것이다.

● 구성과 프로그램 등이 다양한 듯한데, 지스타와 비교해서 어떤 위치를 목표로 하는가?

문성길 : 지스타와의 차별화 부분은 단골로 받는 질문인데,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핵심은 역시 경기도가 게임 산업을 육성하면서 가장 큰 과제로 느끼고 있는 중소 개발자 지원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으며, 이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홍보 마케팅 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래서 B2C는 국내, B2B는 해외 진출을 고려하고 있고, 지스타의 경우에는 대기업을 위한 장이 되고 있어 서로 역할이 다르다고 본다. 특히 B2B 공동관에 해외 바이어를 적극적으로 초청해나갈 생각이다.

안동광 : 시기도 다르고 장소도 다르다 보니, 차별화를 굳이 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본부장님이 말씀하신 것 외에도 경기도는 게임 기업들을 위한 공간과 오디션 등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생태계 순환 과정 전체를 지원하는 것이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 10년의 세월이 흘러도 그간 굿게임에 대한 의지가 강했다고 보는데, 올해는 기능성 게임에 대한 기조가 바뀌는 것인가?

김창주 : 기본적인 기조는 그대로이면서 색깔을 다양하게 내고 확대해 나가는 상황이라고 봐주시면 좋겠다. 코어 유저만을 위한 게임쇼가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을 수용하려는 노력도 이를 위한 것이고. 굿게임에 대한 부분은 베이스로 깔려 있으나, 지나치게 드러낼 경우 종합 게임쇼로서는 오히려 제한을 받는 경우가 있어 보다 다양한 색을 내고자 하는 것이니 이해해달라.

오창희 : 4차 산업에 속한 VR 게임도 일찍부터 모색하는 등 항상 확장에 대한 모멘텀을 찾고 있다.

● 다양한 연령이 참여하는 가족형 게임쇼라는 측면에서 준비하고 있는 것은?

양주윤 : B2C쪽에서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가족들도 함께 즐길 수 있어야 하지만, 주 연령대인 20-30대 남성들도 즐길 거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다양한 부대 이벤트를 준비한 것이며, 가족을 위한 코너로는 패밀리 게임존과 체감형 게임관이 있어 보드 게임이나 직관적인 게임을 즐길 수 있다. 20-30대를 위해선 게임 이야기 콘서트 외에 9인의 성우가 출연하는 루리웹 덕 게임 콘서트가 준비되어 있다.

● 이번에 유행하거나 트렌드가 될 만한 키워드는?

양 : 플레이엑스포의 특징 중 하나로 체감형, 아케이드, 콘솔 게임을 들 수 있는데, 국내 3대 아케이드 업체가 참여하여 새로운 체감형 게임을 선보이며, VR의 경우 작년보다 업그레이드 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엘지전자와 에이수스는 최초로 공개하는 고사양 게임용 하드웨어를 준비한다.

김 : 오픈 된 장소에서 다양한 연령층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게임이 많고, 비디오 게임과 아케이드 게임 등 일반 게임쇼에서 주목 받기 어려운 플랫폼도 끌어 안고 가는 것이 플레이엑스포의 특징이다.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의 강연도 준비했으니 기회가 되면 들어봐 주셨으면 한다.

● 관람객을 위한 편의 시설은 어떻게 준비했나?

양 : 강남역과 합정역, 판교테크노밸리와 구로디지털밸리에서 무료 셔틀 버스를 행사 기간 내내 운영하며, 체류 기간이 긴 행사인 만큼 전시장에 왔을 때 허기지지 않도록 작년의 3배 규모 푸드 트럭을 준비했다. 중간 중간에 휴게 공간도 마련하여 휴식이 가능하고, 고양 마이스 셔틀 버스의 경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오 : 킨텍스라고 하면 접근성에 대한 지적이 많은데, 올해는 이에 각별히 신경 썼다.

● 게임에 대한 정보나 소개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를 설명하거나 중소 게임사의 타이틀을 소개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할 생각은 없는지?

김 : B2C에는 중소 게임사의 홍보 마케팅을 위해 팝업 스테이지를 마련, 시간대 별로 주요 게임에 대한 홍보 마케팅을 펼칠 수 있다. 스페이스엑스 역시 게임에 대한 설명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준비했으며, B2B에도 중소 기업을 위한 전용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양 : 중소 기업과 인터뷰를 많이 했는데, 요즘 가장 이슈가 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목이 마른 듯하여 우리가 직접 대도서관 같은 스타 크리에이터를 초청, 매일 중소 기업 부스를 체험하는 식으로 마케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작년에는 디렉토리 북을 업체용으로만 판매했지만, 올해는 간단하게나마 정보를 수록한 책자를 준비, 참가자 모두가 참가사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했다.

● 지나온 10년에 대해 정리 부탁하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달라.

안 : 지난 10년은 시대의 흐름과 맥을 함께 했다. 기능성게임페스티벌은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 굿게임쇼는 게임의 좋은 점을 강조하는 식으로. 처음에는 어설픈 점도 많았지만 이제는 명실상부한 게임쇼로 자리 잡았고, 해외에서도 수도권 최대의 게임쇼로 인정하는 분위기라 이것이 성과가 아닌가 싶다. 앞으로의 10년은 사람으로 치면 자아가 형성되어 발전하는 시기라 보기에 플레이엑스포 고유의 가치를 추구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20살이 되었을 때는 세계적인 게임쇼로 성장하는 것이 꿈이자 목표이다.

● 올해는 메이저 업체가 하나도 없다. 기업 유치를 어떻게 하는가? 그리고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방안은?

양 : 넷마블은 작년에 펜타스톰으로 참가했으며, 올해는 개발 일정 문제로 참가를 못 했고, 넥슨 역시 FIFA 온라인을 메인 타이틀로 내세우는 방안을 최종 단계까지 고려했으나 역시 론칭 일정 문제로 참가를 못 했다. 행사가 커지려면 대기업도 참가하는 것이 좋으나, 이번에는 일정 문제로 함께 할 수 없었다. 그래도 펄어비스와 안다미로, 소니, 반다이남코 등이 참가하고 있으며, 흥행성을 높이기 위해 트위치와 루리웹을 파트너로 삼았다. 양쪽에서 진행하는 행사는 일찌감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어서 기대가 된다. 3N의 경우에도 니즈는 느꼈기 때문에 내년에는 참가할 것으로 믿고 있다.

● 중소 기업 진흥을 강조하고 있는데, 올해 중소 기업을 보다 활발히 하기 위해 경기도가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나?

안 : 중소기업특별관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으며, 경기도에서는 특히 중소 기업 지원 강화를 강조했다. 작품성은 좋은데 홍보 부족으로 관심을 못 받는 경우가 많아 이를 만회할 수 있도록 잘 꾸며 놓았다. 대기업 참가는 흥행을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나, 경기도 입장에선 중소 기업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문 : G-NEXT에서는 인재 양성, 기업 육성, 글로벌 진출 등 9개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인재 양성에는 게임 오디션, 창업 아카데미, 기업 육성에는 개발에 필요한 리소스 공유, 글로벌 진출에는 플레이엑스포를 포함한 4개 사업이 속해 있다. 그래서 플레이엑스포도 중소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일환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지방 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는데, 도지사 방문 계획은 없나?

안 : 후보 등록 시 직무가 정지되기 때문에 오실지 모르겠다. 게임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후보 등록 시기가 빨라 참석이 어려울 듯하다.

data/news19/05m/03/multi/playx2.jpg

이장원 기자   inca@ruliweb.com




댓글

목록보기

1

댓글 35
BEST
갈수록 볼게 없어진다는 평이 많던데...
리플리 | (IP보기클릭)117.111.***.*** | 18.05.03 12:03
BEST
인환이횽 싸인회 이런거 좋겠다.
굉룡 | (IP보기클릭)61.72.***.*** | 18.05.03 13:14
BEST
성공하고 싶으면 까여라
이사과를니머리위에놔 | (IP보기클릭)121.153.***.*** | 18.05.03 15:03
BEST
루리흡성대법으로 사라지겠군
케모노프렌즈♡ | (IP보기클릭)61.97.***.*** | 18.05.03 18:49
BEST
요즘 게임쇼들이 메이저부스들마저 죄다 모바일로 돌아서면서 볼게 없어지는것 같음. 이건 지스타랑 플레이엑스포 양쪽다 공통사항이라... 그래도 플레이엑스포는 그외에 vr이나 아케이드쪽 규모를 꽤 투자를 해놔서 그런부분은 좋은듯. 게임관련 주변상품들도 많이나와서 만져보고 살수도 있고. 작년에 인상깊었던거는 스크린사격이랑 야구, vr게임이었던듯. 양궁, 야구, 사격 이거 세개가 플엑나오고나서 일산에 관련 게임장이 겁나늘었음.
공허의 오다논♥ | (IP보기클릭)121.161.***.*** | 18.05.03 13:10

??

닉네임.변경.성공적 | (IP보기클릭)211.214.***.*** | 18.05.03 12:02

진대표님 광고에도 나오시던데 행사장에서도 오시려나.

라우 르 크루제 | (IP보기클릭)222.251.***.*** | 18.05.03 12:02
BEST

갈수록 볼게 없어진다는 평이 많던데...

리플리 | (IP보기클릭)117.111.***.*** | 18.05.03 12:03
리플리

솔찍한감상으로 연차가 진행될수록 거지같은 G스타마냥 모바일 게임쇼장되어가고있습니다.

제너럴오 | (IP보기클릭)121.139.***.*** | 18.05.03 18:51
리플리

2016년도 까지 볼만했음 소니도 대개 크게 부스 차리고 아수스,MSI 나 이런 부품회사들 이쁘게 부스꾸며놓고 그랬는데 2017년도에 그거 기대하고 갔는데 넷마블,넥슨 듣보잡기계부품회사들 모바일게임 시장쇼 되있는거보고 이번년도 꺼는 고민좀하는중 작년너무 개노잼이여서 흠..

날라리아 | (IP보기클릭)115.21.***.*** | 18.05.03 19:31
리플리

게임 몇개 만든 회사들도 안된다 싶으니까 너도나도 퍼블리싱하려고 달려든다네요. 만드는 회사가 얼마나 없으면 B2B관에 인디게임 만드는 사람들까지 자리줄테니 오라고 한다나 뭐라나.

foranie | (IP보기클릭)183.98.***.*** | 18.05.03 20:38
날라리아

진짜 16년 볼만해서 17년 기대하고 친구랑 같이 갔는데 너무 볼게 없어서 친구한테 미안했네요. 이번에는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언덕 | (IP보기클릭)220.120.***.*** | 18.05.05 03:37
BEST

요즘 게임쇼들이 메이저부스들마저 죄다 모바일로 돌아서면서 볼게 없어지는것 같음. 이건 지스타랑 플레이엑스포 양쪽다 공통사항이라... 그래도 플레이엑스포는 그외에 vr이나 아케이드쪽 규모를 꽤 투자를 해놔서 그런부분은 좋은듯. 게임관련 주변상품들도 많이나와서 만져보고 살수도 있고. 작년에 인상깊었던거는 스크린사격이랑 야구, vr게임이었던듯. 양궁, 야구, 사격 이거 세개가 플엑나오고나서 일산에 관련 게임장이 겁나늘었음.

공허의 오다논♥ | (IP보기클릭)121.161.***.*** | 18.05.03 13:10
BEST

인환이횽 싸인회 이런거 좋겠다.

굉룡 | (IP보기클릭)61.72.***.*** | 18.05.03 13:14
굉룡

이거 좋네요!

설란의 화신 | (IP보기클릭)110.70.***.*** | 18.05.03 23:04

루리웹 성우 토크쇼???

미스트마인 | (IP보기클릭)218.153.***.*** | 18.05.03 13:17

넘나 가능

٩(๑⁰ᴗ⁰๑)۶ | (IP보기클릭)210.216.***.*** | 18.05.03 13:45

행사기간 중 루리웹에 올라오는 관련 글만 읽으면 될듯 싶다.

코리아코드 | (IP보기클릭)210.206.***.*** | 18.05.03 14:26

이거 시간이나 장소는 어디서 봐야되나요??

루리웹-4592079392 | (IP보기클릭)117.111.***.*** | 18.05.03 14:58
BEST

성공하고 싶으면 까여라

이사과를니머리위에놔 | (IP보기클릭)121.153.***.*** | 18.05.03 15:03
이사과를니머리위에놔

일단 까여라. 그라고나면 성공할테니

모리얀 | (IP보기클릭)61.82.***.*** | 18.05.05 13:21

딱히 볼만한게 없어뵈는데 폰겜 좋아하시는 분들한텐 괜찬을듯 괜찬을듯 하네요

백두산왕곰 | (IP보기클릭)211.243.***.*** | 18.05.03 17:05
BEST

루리흡성대법으로 사라지겠군

케모노프렌즈♡ | (IP보기클릭)61.97.***.*** | 18.05.03 18:49

성공하고 유지하면서 사랑받고싶으면 진짜로 모바일게임 관련 부수에는 자리제한을 넣어서 어느정도선 안넘게해줘야한다 생각합니다. G스타랑 같아지면 안되는건대 지금 상황보면 4연째 출석하고 있지만 연이지날수록 모바일게임이 정신없이 늘어나는게 보여요.

제너럴오 | (IP보기클릭)121.139.***.*** | 18.05.03 18:54

??????

샤넬로즈 | (IP보기클릭)1.245.***.*** | 18.05.03 19:55

진짜 게임 모르는 사람이 보면 괜찮겠지만 게이머에겐 상당히 돈낭비처럼 여겨짐 3회나 참여했는데.. 이번에는 안갈력호요 ㅠ

루리웹-7535358555 | (IP보기클릭)110.47.***.*** | 18.05.03 20:00

아니 즐기라고 했으면 주최 하는 사람들도 좀 센스있게 해야지 뭐여 이게 노잼 스러운 분위기는 무엇?

Lovewords | (IP보기클릭)210.179.***.*** | 18.05.03 21:05

작년엔 진짜 인디게임+대학생들 과제 대잔치였는데 이번엔 뭔가좀 다르려나

ang경사나이 | (IP보기클릭)211.211.***.*** | 18.05.03 21:07

모바일 게임 늘어나는건 어쩔수 없는 방향 아닌가 가면갈수록 pc게임 시장이 축소되고 죽어가고 특히 국내경우 pc온라인게임 사망한지 오래고 너도나도 모바일로 떠났고 너도나도 모바일로 개발하고 뭐 모바일이 돈도 덜들고 돈 벌기도 쉽고 폐업하는것도 훨씬 편하니

루리웹-7627615045 | (IP보기클릭)1.236.***.*** | 18.05.03 22:14

트위치 광고 영상에 나오는 '그 분' ㅋㅋㅋ

슈뢰딩거 고양이 | (IP보기클릭)121.138.***.*** | 18.05.03 23:33

도니 버밀리언 :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혹시 오창희 원장이 동맹을 잘못 고른것은 아닐까요??

어버버법버 | (IP보기클릭)211.197.***.*** | 18.05.04 01:46

빨리 판교에 큰 전시장 하나만들어라 계획다되어있는걸로아는데

판교아펠바움주민 | (IP보기클릭)175.223.***.*** | 18.05.04 23:26

모바일 게임보다 PC 콘솔 위주에 게임으로 가야지 모바일로 가버리면 지스타랑 다를게 뭐여?

니나가라군대 | (IP보기클릭)175.194.***.*** | 18.05.05 09:52

그런데 접근성이 좀 떨어진다고 생각해요...서울사는사람 아니라서 느낄 수 있겠지만 킨텍스라면 종점인 대화역에 있는거 아니던가요?

맛이진짜좋다 | (IP보기클릭)211.224.***.*** | 18.05.05 16:22

플레이엑스포 페이크아이즈 부스에 놀러오세요^^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까주세요 ㅠㅠ

라시드팬드래건 | (IP보기클릭)211.58.***.*** | 18.05.05 21:26

버스타고 광화문 지나가는데 그 광고가 나오더라고요

이츠카 시오리 | (IP보기클릭)182.221.***.*** | 18.05.05 23:50

응 안가~

미하엘1 | (IP보기클릭)220.117.***.*** | 18.05.06 19:00

올해도 뭐 사전등록은 했으니까 가보긴 할껀대..볼께 작년처럼 없으면 다음해 부턴 생각좀...작년에는 진짜 가서 주변기기 몇개 사온거 말곤 볼께 없었음..죄다 모바일/VR 이였고...특히 그 레트로 장터..분명 여기 상주하는 꾼들도 올탠대 제발 눈탱이좀 치지 말았으면..몇몇 비싼건 이해하겠는대 도저히 이해할수 없는 눈탱이 제품들 많았음..레트로 라고 다 레트로는 아니자나

루리웹-9999999998 | (IP보기클릭)58.72.***.*** | 18.05.07 12:22

콘솔비중 너무 없거나 거의 없음..

멘즈군 | (IP보기클릭)211.36.***.*** | 18.05.07 15:04

확실히 지스타같은걸 기대하면 실망이 큼.. 그래도 볼게 아주 없는 정도는 아녔음

백두무궁X한라삼천 | (IP보기클릭)222.107.***.*** | 18.05.09 09:43
댓글 35
1
목록보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