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거 보려고 연어떼가 몰려서 일시적으로 구독자수가 늘거든
그리고 그 지표때문에 넷플릭스 주가가 상승하고.
넷플릭스가 오겜 당시에 오겜 직전에 낸 수많은 오리지널작들이 다수 실패를 하는 바람에
주가가 바닥치고 있었는데, 오겜 덕분에 가히 스트리밍 시장의 권좌를 공고히하게 됐을 정도로
바닥쳤다 최고점을 경신해버려서 진짜 넷플 입장에서 효자 컨텐츠였음.
넷플은 시즌2에서도 그런 기대를 바란 거기도 하고,
기대만큼 투자를 많이 받다보니, 남는 제작비로 홍보를 빡시게 한거란 소문도 있고 그래.
근데 평가가 혹평인 상태라 넷플 말대로 엄청 이득보진 못했을듯?
구독서비스라고 해서 수익이 고정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일지 모르겠지만, 상식적으로 전세계 사람들이 출시일에 맞춰서 동시에 오징어 게임을 보는 것은 아닐 것임.
지브릴 애니가 전세계가 동시상영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보고 반복시청해서 오래동안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회자화 하는 것을 생각하면.
오징어 게임이라는 것이 유명해지고 회자화 할 수록 구독기간이 길어지거나 반복시청을 할 때 이번달만으로 구독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다음달에 휴일에 맞춰서 재 구독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봄.
또한 그동안 쌓아놓고 있던 것을 소비하고 몇개월 후에 다시 소비하는 작품이 되어서 구독기간을 늘리는 역활에 충실 할 것임
여기에 더해 동시에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다가 작품에 숨어있는 의미나 혹은 놓친 부분이 있을 경우에 반복시청한다고 재구독 사용도 되기도 하고 말이지.
단기간에 화재성을 쓸어 담아버리는 콘텐츠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람들이 관심며 수년전에 나왔던 오징어게임이 지금까지 회자화 되면서 구독 미끼상품이 되었을지 생각하면, 순간적인 유입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작품 상업성에서 근시안적이라고 생각함.
이런 메가급 컨텐츠는 신규시청자 + 고정시청시간확보등 화재성이 확 일어나면서 같은 서비스 업체를 피말리게 하는 효과가 있음. 오징어게임으로 유입된 시청자들은 기존 넷플릭스의 다른 컨텐츠들을 보게 되어 지속적으로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거고. 영화관에서 개봉하는 영화들은 단순히 돈계산이 빠르게 되지만, 미래 가치를 뺏어가는 OTT 시장은 고정 시청자 확보가 곧 다른 경쟁 업체를 공격하는거랑 같은 의미임.
저거 전문은 '암튼 정확한 수치 추산은 불가능하니 설왕설래하지 말라고ㅋㅋㅋ' 늬앙스임. 돈이 안되면 왜 그렇게 입 찢어지겠어
ㅋ
이런 경우는 사실 얼마나 신규로 가입을 했는가가 중요한거긴한데
이렇게 개쩌는거 있으니까 우리 OTT구독하라고
넷플 광고요금제도 도입했으니 시청시간 많으면 광고수익도 늘어나지
5천원은 뭐야 1조 5만원은 해주지
근데 그렇게 대대적 홍보를 하나..?
ㅋ
근데 그렇게 대대적 홍보를 하나..?
토와👾🪶🐏
저거 전문은 '암튼 정확한 수치 추산은 불가능하니 설왕설래하지 말라고ㅋㅋㅋ' 늬앙스임. 돈이 안되면 왜 그렇게 입 찢어지겠어
토와👾🪶🐏
이렇게 개쩌는거 있으니까 우리 OTT구독하라고
저거 보려고 연어떼가 몰려서 일시적으로 구독자수가 늘거든 그리고 그 지표때문에 넷플릭스 주가가 상승하고. 넷플릭스가 오겜 당시에 오겜 직전에 낸 수많은 오리지널작들이 다수 실패를 하는 바람에 주가가 바닥치고 있었는데, 오겜 덕분에 가히 스트리밍 시장의 권좌를 공고히하게 됐을 정도로 바닥쳤다 최고점을 경신해버려서 진짜 넷플 입장에서 효자 컨텐츠였음. 넷플은 시즌2에서도 그런 기대를 바란 거기도 하고, 기대만큼 투자를 많이 받다보니, 남는 제작비로 홍보를 빡시게 한거란 소문도 있고 그래. 근데 평가가 혹평인 상태라 넷플 말대로 엄청 이득보진 못했을듯?
구독유도 한달하러 왔다 장기고객이 늘면 꿀 넷플도 없는 중꿔불법유포들만 조심한다면
사실 시즌1도 평가 자체는 시즌2랑 큰 차이는 없었음. 그냥 전지구적인 신드롬때문에 평가 자체를 씹어먹고 간거라 이번 시즌2 흥행이 시즌1 수준의 반만 되어도 평가 같은 건 다 씹어먹고 갈거임.
혹평인가? 솔직히 7화가 못 만든건 맞지만 6화까지만 해도 재미보장해주던데
5천원은 뭐야 1조 5만원은 해주지
차비
넷플릭스 정도 되는 머기업이 그거 분석툴도 없진 않을텐데 그냥 어그로 끌리기 싫어서 그러려나
분석툴 있어도 영업상 비밀일텐데 대놓고 떠들만한건 아니지 않을까??
따로 자료는 있을탠대 공개해줄 이유가 1도없음
이런 경우는 사실 얼마나 신규로 가입을 했는가가 중요한거긴한데
넷플 광고요금제도 도입했으니 시청시간 많으면 광고수익도 늘어나지
네이버 멤버쉽 4900원짜리 결제하니까 넷플에 요기패스x도 무료라서 개좋더라
구독자수 x 구독비용으로 수익계산해서 가짜뉴스 썼나
이미 오겜1으로 구독자 수는 확 늘렸을테니까 정확산 수익은 산출 힘들겠죠. 기존구독자 정액유지된 숫자중에 어느 컨텐츠의 영향인지 알기 힘드니까
오겜1 때도 구독자가 20프로나 증가했다고 하니ㄷㄷㄷㄷㄷ 말이 20퍼센트지 전 세계적인 비율로 따지면.
단위 기간 중의 구독자 수와, 컨텐츠별 재생 횟수를 산출하면 어케어케 비슷하게 계산은 가능은 할듯?
신규가입에 가입유지 여부 정도 아닐까
코로나기간 경쟁업체 조져놨으니 이익따질수가없지
하긴 오징어게임 본다고 "추가"적인 이득이 발생하진 않지.
IP를 활용한 콜라보나 굿즈 생산에는 라이선스 비용을 받을수있긴함
넷플릭스에서 오징어게임2 의 가치는 끊으려다가 안끊은사람 이거만 보려고 우선 한달 결재한사람 그런사람이 모여서 소문타고 들어온사람등 신규유입 그자체가 가치임
"1조 5천억 밖에 안될까?"
구독서비스라고 해서 수익이 고정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일지 모르겠지만, 상식적으로 전세계 사람들이 출시일에 맞춰서 동시에 오징어 게임을 보는 것은 아닐 것임. 지브릴 애니가 전세계가 동시상영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보고 반복시청해서 오래동안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회자화 하는 것을 생각하면. 오징어 게임이라는 것이 유명해지고 회자화 할 수록 구독기간이 길어지거나 반복시청을 할 때 이번달만으로 구독을 끝내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다음달에 휴일에 맞춰서 재 구독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봄. 또한 그동안 쌓아놓고 있던 것을 소비하고 몇개월 후에 다시 소비하는 작품이 되어서 구독기간을 늘리는 역활에 충실 할 것임 여기에 더해 동시에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다가 작품에 숨어있는 의미나 혹은 놓친 부분이 있을 경우에 반복시청한다고 재구독 사용도 되기도 하고 말이지. 단기간에 화재성을 쓸어 담아버리는 콘텐츠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사람들이 관심며 수년전에 나왔던 오징어게임이 지금까지 회자화 되면서 구독 미끼상품이 되었을지 생각하면, 순간적인 유입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작품 상업성에서 근시안적이라고 생각함.
이런 메가급 컨텐츠는 신규시청자 + 고정시청시간확보등 화재성이 확 일어나면서 같은 서비스 업체를 피말리게 하는 효과가 있음. 오징어게임으로 유입된 시청자들은 기존 넷플릭스의 다른 컨텐츠들을 보게 되어 지속적으로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거고. 영화관에서 개봉하는 영화들은 단순히 돈계산이 빠르게 되지만, 미래 가치를 뺏어가는 OTT 시장은 고정 시청자 확보가 곧 다른 경쟁 업체를 공격하는거랑 같은 의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