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P
추천 0
조회 1
날짜 18:02
|
심넬
추천 0
조회 1
날짜 18:02
|
마키마키마
추천 0
조회 1
날짜 18:02
|
UniqueAttacker
추천 0
조회 4
날짜 18:02
|
하기나
추천 0
조회 9
날짜 18:01
|
파괴된 사나이
추천 0
조회 7
날짜 18:01
|
김곤잘레스
추천 0
조회 12
날짜 18:01
|
둘리틀
추천 0
조회 27
날짜 18:01
|
루리웹-7815203812
추천 0
조회 42
날짜 18:01
|
히틀러
추천 2
조회 50
날짜 18:01
|
Ink_Slime
추천 0
조회 20
날짜 18:01
|
wildgraS
추천 0
조회 41
날짜 18:01
|
사장
추천 0
조회 20
날짜 18:01
|
갱개민미
추천 0
조회 10
날짜 18:01
|
샤스르리에어
추천 0
조회 37
날짜 18:01
|
토 필로티모
추천 1
조회 22
날짜 18:01
|
루리웹-6174463494
추천 0
조회 45
날짜 18:01
|
Aragaki Ayase
추천 0
조회 77
날짜 18:01
|
동아중공
추천 1
조회 123
날짜 18:00
|
UniqueAttacker
추천 1
조회 99
날짜 18:00
|
질롯어택
추천 2
조회 122
날짜 18:00
|
루리웹-7347559485
추천 0
조회 46
날짜 18:00
|
누구나장군
추천 0
조회 16
날짜 18:00
|
타카마키 안
추천 1
조회 70
날짜 18:00
|
월-
추천 1
조회 109
날짜 18:00
|
NoDap
추천 0
조회 32
날짜 18:00
|
가나초코바
추천 0
조회 27
날짜 18:00
|
不知火舞
추천 0
조회 58
날짜 18:00
|
본문
BEST
이짤 볼때마다 하는 얘기지만 일본어 히메라는 단어 자체가 우리말 공주랑 1:1로 매칭되는 말이 아니라서 그럼 공주는 왕의 딸이란 관계를 뜻하는 단어지만 히메는 그게 아니라서
일본어의 姫(히메)를 공주라고 번역해서 그럼. 히메는 꼭 공주가 아니라 높은 신분의 여자, 아가씨를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라서.
엄밀히 따지면 공주여왕이 오역인거지
애초에 아가씨로 1:1 대응이 안 되는 단어라니까.
단순히 어린 여자에 대한 형용으로 붙기도 하고, 작고 귀엽단 뜻으로 명사 앞에 다 붙기도 함
하지만 프린세스를 번역할 단어가 히메 말고 없는 것도 사실이지
공주여왕이 뭐야 대체 유부녀처녀같은 느낌인가
공주여왕이 뭐야 대체 유부녀처녀같은 느낌인가
이건 혼후순결이면 뭐 있을법은 한데
주석 없었으면 오역아니냐 할만하네 ㅋㅋ
왕자임금님
어디 집단의 총수인데 대령으로 불리는거랑 비슷한거 아닐까?
"그 새끼"
그래도 그놈은 소령대령은 아니잖아
이짤 볼때마다 하는 얘기지만 일본어 히메라는 단어 자체가 우리말 공주랑 1:1로 매칭되는 말이 아니라서 그럼 공주는 왕의 딸이란 관계를 뜻하는 단어지만 히메는 그게 아니라서
THE·O
엄밀히 따지면 공주여왕이 오역인거지
공주여왕을 굳이 번역하면 아름다운 여왕님 정도로 해야하나? 보통 히메는 공주 말고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존칭어이기도 하니까.
THE·O
하지만 프린세스를 번역할 단어가 히메 말고 없는 것도 사실이지
그경우는 공주의 뜻은 하난데 히메의 뜻이 여러개인 경우니깐 공주를 일어로 번역하려면 히메도 틀린건 아니지 문맥 따라서 오히메사마나 히메기미정도 붙여주면 확실할거고
'공주여왕' 이외의 그럴듯한 선택지를 제시할 수 없는 이상 그걸 오역이라고 하는 건 아니라 본다
'아름다운 여왕' '어린 여왕' 등으로 번역하는게 더 알맞은 뜻이라는 거임
원문이 아예 불가능한 단어 조합은 아니고, 그렇다고 널리 쓰이는 말도 아니라서 뭐라고 딱 맞게 번역하기가 어려운 듯 그냥 각주 달아놓는 게 최선인 것 같기도 하고
물론 그렇다고 해도 2중으로 의미 중복이 일어나긴 함. 姫가 높은 신분의 여성, 혹은 아름다운 여성 정도인데, 뒤에 女도 나오고 王도 나오니까. 암왕제군이 돌킹킹킹이라는 우스갯소리처럼, 姫女王도 이상하긴 매한가지임 물론 황제가 처음에는 거기서 거기인 말을 대충 붙여놓은거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이상하지 않듯이, 신조어라서 까일 뿐일수도 있고
그게 훨씬 더 틀린 번역이야.. '공주기사'등의 용례의 히메는 실제로 왕의 딸을 칭하는 '히메'거든. 저 만화를 보지 않았지만 같은 용법이라면 '공주'가 맞어
첫댓에 대해 말하는거? 일단 하고싶은 얘기는 히메라는 단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어로도 뜻이 안통하는 명사를 그대로 나열한 건 잘못된 번역이라는 거고 굳이 번역하라고 한다면 저건 앞뒤를 좀 보고 해야될 것 같은데 히메 자체가 여왕이 된 사람이 어리거나 외형이 귀여워서 붙은 거 같아서 그런 형용사를 붙이는 게 적절할듯 아니면 형용사인데 아예 생략해버리는 편이 우리말로는 더 자연스러울수도 있음
뭐 나도 만화를 본 건 아니라 확언은 못 하겠지만 우선 일본의 서양풍 배경 씹덕물에서 '히메' 라고 한다면 그냥 '공주'일 확률이 9할은 된다고 봄. 그리고 님 말대로 히메가 복합적인 뜻이 있는 건 맞지만 이것 역시 현대에서 히메라고 하면 그냥 공주라는 뜻인 경우가 많어. 우리말 '어르신'이 원래는 자기보다 신분 높은 사람이나 웃어른을 칭할때 쓸 수 있는 말이지만 현대에선 노인을 높여 부르는 말로만 쓰이는 것과 같음. 요는 저기서의 히메는 그냥 프린세스일 확률이 매우 높고, 그렇다면 맥락상 원래도 이상한 말이기 때문에 전혀 오역이 아니다.
일본어의 姫(히메)를 공주라고 번역해서 그럼. 히메는 꼭 공주가 아니라 높은 신분의 여자, 아가씨를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라서.
그렇다고 말이 되는건아니야... 아가씨여왕님~ 이것도 말은 안됨;
Cattic
단순히 어린 여자에 대한 형용으로 붙기도 하고, 작고 귀엽단 뜻으로 명사 앞에 다 붙기도 함
Cattic
애초에 아가씨로 1:1 대응이 안 되는 단어라니까.
아하 처녀여왕님이라는 뜻이구나!(아님)
우리가 아는 공주는 일본에서는 왕녀라고 하니까
그럼 뭐라고 해야함? 어린여왕님?
다만 백설공주, 인어공주도 일본에서는 각각 시라유키히메, 닌교히메라고 부르는 것을 봐서는 히메를 공주라고 할 수도 있다고 봐야지. 결국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르게 번역해야 하는거고.
높으신분들은 오늘부터 백제어로만 대화하기로 했다는 고증 사극보니 좀 잘못 배운듯 백제어 가정교사는 없는 대신 신라어는 되는데
글쎄...?
소녀왕?
그렇다고 해도 이상한거는 마찮가지인거 같은데??
단어의 의미가 서로 모순될정도로 불가능한 조어는 아님. 아마 널리 쓰이는(?) ‘공주기사’에서 착안해서 말장난을 하는것 같은데...
공주기사도 공주가 아닌가
프린세스 퀸??
애기씨여왕 라고 하는게 더 어울리려나
이거 저번에 어떤 유게이가 공주여왕이 오히려 오역이고 일본어로는 그렇게 이상한게 아니라고 했었는데 뭐가 진실이지
아주 말이 안 되진 않는다 수준이지 이상하지 않은건 아니여
창작물 호칭으로는 이상하지 않다는 뜻 아닐까? 다크 플레임 마스터나 무한의 검제같은거?
오역이 맞긴한데 그렇다고 일본어로 자연스럽냐 하면 그건 아님
여왕아가씨 만세!
아가방여왕?
황제 전하 같은 느낌이네. 뭐... 저쪽 세계 특유의 뭔가라고 넘어가야지.
소위 그 공주기사에 이은 신조어(작가 자체생산) 같은거긴 한데 우리나라에서 공주기사도 겨우 받아들이는데 공주여왕ㅋㅋㅋㅋ은 솔직히 좀 이상하긴 함
오역은 오역이지만 그렇다고 제정신으로 만들만한 단어 조합은 아니긴 함 대충 늬앙스로는 공주기사 그쪽 장르의 히메를 따온거같은데 네타바레에서 네타만 따온거같은 그런 느낌이
왕 대리인인가
공주시장, 공주기사도 있는데 공주여왕 공주공작같은것도 있는거아닐까.
일본어에서 공주는 그냥 아무대나 붙여서 이름같이 쓰더라
히메가 일본어에서도 princess의 뜻도있기때문에 공주여왕은 일본에서도 안쓰는말이고, 저 작가가 밀어낸 신조어도맞음 공주기사처럼 관용어된 단어 노리고 공주여왕붙힌거
라비린스의 그 오빠사장보다 괴랄하군
뭔지는 몰라도 흔해빠진 중세유럽풍 이세계물 같은데 그쪽 개념 차용했으면 프린세스 개념에 가까운 거 아냐? 작가가 특별이 풀어놓은 설정이 있는건가
히메가 왕의 딸도 맞지만, 높은 신분의 미혼여성을 히메라고도 함. 그러니까 이게 한국어로 딱 공주, 라기보다 호칭이나 이명 정도로 생각하면 됨. 일단 타카히메여왕도 있고.
공주마마같은걸 쓰고싶었던거일까?
여왕인데 이름이 공주인거 아냐?
소녀왕쯤 되는건가
좀 비슷한 예로 이승만이 미국에서 프린스 이러고 다녀서 왕자 사칭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나를 포함해서, 영어의 프린스가 왕자만 말하는게아니라 왕위 계승자, 왕자, 왕의 종친, 귀족 제후, 군주등 여러뜻을 가지고있다고 하더라.
낭자여왕 정도의 늬앙스 같은데
단순히 이름이 히메였던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