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 국가행정을 민영 또는 영리화 하는데 왜 국가세수가 늘음?

일시 추천 조회 16794 댓글수 25 프로필펼치기

1 분리수거

1

댓글 25
BEST
세수가 늘어나는게 아니라 정책짠 새끼들 주머니가 두둑해지는
샤아 아즈나블 | (IP보기클릭)222.111.***.*** | 24.05.22 04:05
BEST
근데 보통 놀라운 사실은 국가 기관을 영리화 하거나 민영화 하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죶된다, 그리고 그 좋은 선례가 바로 우리나라 공사 현장 감리다. 정말 재밌는 사실은 상위 1% 한테 차출하는 세금은 줄이면서 지금 서민들 돈 주머니만 빨겠단 뜻이라 더더욱 괘씸하다. 걍 존나 쳐맞아야 함.
핥쨗 | (IP보기클릭)59.5.***.*** | 24.05.22 04:11
BEST
지금 각종 아파트 완성도 꼬라지를 보면 안전을 돈받고 판다? 조까
아룬드리안 | (IP보기클릭)125.178.***.*** | 24.05.22 04:10
BEST
ㅇㅇ 기업에게 넘긴다는 건 그럴여지가 더 큼. 일단 전관예우를 약속받을것이고 예산타먹는데 어느정도 이익도 발생할거고 자율규제라는 명목하에 중립성이 훼손되는걸 막을 도리가 없게 됨.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06
BEST
ㅇㅇ 사실 비영리 법인은 해석적 측면에서는 민영화긴 한데, 사실상 준 기타 공공기관 취급이고 영리가 목적이 아니라 민영화라 말하기도 뭣함. 우리가 통상 민영화라고 하는것들은, 민자 기업에서 이윤추구를 하는것을 전제로 생각하는게 일반적. 그래서 이번에 정부새끼들이 말장난 치는거임. 민영화는 이미 몇년 전부터 시행중이다..라고. 그래서 이번 사태에 용어 정립이 중요한거임. 논지를 민영화로 가지 않고 영리화로 가야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오는거.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16
BEST

ㅇㅇ 그부분은 현행의 비영리 법인들의 경우에서 어느정도 이해가 가능할거임. 내가 짤로 올린건 이제 5년차에 접어들은 엘레베이터 검사 기관의 민영화에 대한 법령인데, 이 경우는 법읜의 조직구성민 정원에 대해 국가가 개입하게끔 조항들이 되어있고 실제로 기업이 아닌 기타 공공기관으로서 업무를 수행하기때문에 현재까지 큰 문제 없이 돌아가는 중이라고 함.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26
BEST
직구 => 관, 부가세 면제 KC인증 필수화로 직구를 막는다? => 정식 수입을 하는 업체는 KC인증비와 관세를 내고, 마지못해 정식 수입품을 사는 구매자 개개인은 유통비와 부가세를 냄 직구 막으면 세수야 무조건 이익이지. ㅋㅋㅋ
루리웹-8329133273 | (IP보기클릭)222.97.***.*** | 24.05.22 04:10

추천

타로 봐드림 | (IP보기클릭)222.112.***.*** | 24.05.22 03:58

ㅊㅊ

野うさぎ | (IP보기클릭)222.101.***.*** | 24.05.22 03:58
BEST

세수가 늘어나는게 아니라 정책짠 새끼들 주머니가 두둑해지는

샤아 아즈나블 | (IP보기클릭)222.111.***.*** | 24.05.22 04:05
BEST 샤아 아즈나블

ㅇㅇ 기업에게 넘긴다는 건 그럴여지가 더 큼. 일단 전관예우를 약속받을것이고 예산타먹는데 어느정도 이익도 발생할거고 자율규제라는 명목하에 중립성이 훼손되는걸 막을 도리가 없게 됨.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06
BEST

직구 => 관, 부가세 면제 KC인증 필수화로 직구를 막는다? => 정식 수입을 하는 업체는 KC인증비와 관세를 내고, 마지못해 정식 수입품을 사는 구매자 개개인은 유통비와 부가세를 냄 직구 막으면 세수야 무조건 이익이지. ㅋㅋㅋ

루리웹-8329133273 | (IP보기클릭)222.97.***.*** | 24.05.22 04:10
루리웹-8329133273

음, 그부분도 일정부분 맞는데, 그건 반사적 상황의 문제이고, 직구를 막은 이후의 소비동향이 현재와 같다는 전제 하에 가능한 이야기라 불확정성이 너무 많음. 오히려 그 부분은 세수확대보단 KC기업에 일감 몰아주기로 설명하는게 더 정확할거임.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12
ㅍ.ㅍ

직구 규모가 매년 20% 이상 꾸준히 폭발적으로 성장 중이라 나라는 딱히 막는 거로 수익이 안 나더라도 어떻게든 막고싶기는 할 거야. ㅎㅎ KC인증 민영화와 일감 몰아주기 같은 건 사실 그 와중에 노리는 '덤'일테고.

루리웹-8329133273 | (IP보기클릭)222.97.***.*** | 24.05.22 04:17
루리웹-8329133273

관세부가, 부가세부가 목적이면 년 누적한도를 설정하면 되긴함. 영리화 자체가 목적인거

낭심고양이 | (IP보기클릭)116.125.***.*** | 24.05.22 05:25
BEST

지금 각종 아파트 완성도 꼬라지를 보면 안전을 돈받고 판다? 조까

아룬드리안 | (IP보기클릭)125.178.***.*** | 24.05.22 04:10
아룬드리안

안전으로 돈장사하고 15년 정도 지나니까 아파투가 무너지더라...

ruliruliid | (IP보기클릭)183.102.***.*** | 24.05.22 06:35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오렌지좋아

ㅇㅇ 맞음 이미 민영화는 비영리법인에 의해 이루어진 상태임. 근데 이걸 영리기업에게까지 확대하는 안이 지금 법제처에 심의안건으로 올라가 있는 상황임.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13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오렌지좋아

당위성이 없다...라는것은 국민의 입장에서 명분이 없다..로 풀이하는게 더 나을지도. 일단 기업이 자율규제를 하면, 이론상으로는 대응에 유연성이 생기고 행정적 간소화가 가능함. 문제는, 모든 기업은 윤리적이지 않다..라는걸 전제해야함. 이익집단이니 자기의 이익이 우선되잖음? 그러다보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게임사의 자율규제와 같은 꼴이 안 일어난다고 장담을 못함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19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오렌지좋아

ㅇㅇ 그부분은 현행의 비영리 법인들의 경우에서 어느정도 이해가 가능할거임. 내가 짤로 올린건 이제 5년차에 접어들은 엘레베이터 검사 기관의 민영화에 대한 법령인데, 이 경우는 법읜의 조직구성민 정원에 대해 국가가 개입하게끔 조항들이 되어있고 실제로 기업이 아닌 기타 공공기관으로서 업무를 수행하기때문에 현재까지 큰 문제 없이 돌아가는 중이라고 함.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26
BEST

근데 보통 놀라운 사실은 국가 기관을 영리화 하거나 민영화 하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죶된다, 그리고 그 좋은 선례가 바로 우리나라 공사 현장 감리다. 정말 재밌는 사실은 상위 1% 한테 차출하는 세금은 줄이면서 지금 서민들 돈 주머니만 빨겠단 뜻이라 더더욱 괘씸하다. 걍 존나 쳐맞아야 함.

핥쨗 | (IP보기클릭)59.5.***.*** | 24.05.22 04:11
BEST 핥쨗

ㅇㅇ 사실 비영리 법인은 해석적 측면에서는 민영화긴 한데, 사실상 준 기타 공공기관 취급이고 영리가 목적이 아니라 민영화라 말하기도 뭣함. 우리가 통상 민영화라고 하는것들은, 민자 기업에서 이윤추구를 하는것을 전제로 생각하는게 일반적. 그래서 이번에 정부새끼들이 말장난 치는거임. 민영화는 이미 몇년 전부터 시행중이다..라고. 그래서 이번 사태에 용어 정립이 중요한거임. 논지를 민영화로 가지 않고 영리화로 가야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오는거.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16
ㅍ.ㅍ

똑똑한 관점 감사. 님 말이 맞음. 이건 공영, 민영의 문제가 아니라 이익추구의 관점으로 돌파를 해야 함. 그리고 용어도 영리화가 아니라 돈벌이로 정립해야 한다고 봄. 영리화라고 하면 느낌이 쉽게 와 닿지도 않음.

이미사용중인닉넴 | (IP보기클릭)221.150.***.*** | 24.05.22 04:58
이미사용중인닉넴

그건 그렇네...뭔가 영리화라고 하면 뭔가 시각화가 잘 안되는 느낌이긴 해.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5:08

안전을 책임지는걸 민영화하면서 무슨 안전 논하는게 웃김

ruli828273636 | (IP보기클릭)210.99.***.*** | 24.05.22 04:15

암만봐도 징세청부업자 부활이야 라부아지에가 세리 짓하다가 목썰렸는데 썰고십다 ㅅㅂ

제모 | (IP보기클릭)1.213.***.*** | 24.05.22 04:15

제목은 세수인데 본문은 재정인

낙서하는 보안담당자 | (IP보기클릭)61.253.***.*** | 24.05.22 04:27
낙서하는 보안담당자

ㅇㅇ 지적이 맞음. 사실상 국가 재정 운영에 대한 건을 이야기 한거니 대애충 눈감아줘.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28

원천이 하청을 거느리는 것이 비용이 절감된다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림. 원천이 하청을 두는 가장 도덕적인 이유는 하청업을 풀케파로 돌릴구 없기 때문. 예를 들어 물량이 적은 여러 인터넷쇼핑 사업자가 창고업자에게 하청을 주는 것처럼. 부도덕한 이유 첫째는 그냥 책임 회피용. 노동자를 직접고용하면 복지 임금 등 고용책임져야 하니까. 저급한 대우를 해주는 하청업체를 사용하는게 저렴. 동남아서 공장 돌리듯 ↗소 공장노동자 돌린다 보면 됨. 둘째는 본청 높으신분들 삥띵용. 하청업체 대주주인 경우가 많다. 본청은 이익이 줄더라도 본청은 경영자 개인의 이익은 증가하는 케이스. 대한민국 민영화는 대부분 삥땅용임. 인천공항 민영화이슈때 인수유력하단 외국계 기업 이사들이 정치인가족들로 구성되어있았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

코넬리어스, 휴지있냐? | (IP보기클릭)118.37.***.*** | 24.05.22 04:39
코넬리어스, 휴지있냐?

그렇게 보는 부분도 분명 맞음.

ㅍ.ㅍ | (IP보기클릭)124.56.***.*** | 24.05.22 04:45

비추 누른 사람은 머냐? 짐승이라 잘못 누르고 떠났냐? 영영 떠나라

세상의 끝에서 | (IP보기클릭)112.170.***.*** | 24.05.22 05:50

그런데 이번 직구관련해서 이건 계속 이슈에서 빼려고 하던데 이것도 강조해줬으면 좋겠음

darkglitter | (IP보기클릭)14.39.***.*** | 24.05.22 10:25
댓글 25
1
위로가기
ㅇ?뭐지­ | 추천 0 | 조회 11 | 날짜 20:44
まっギョ5 | 추천 0 | 조회 6 | 날짜 20:44
HMS Belfast | 추천 3 | 조회 61 | 날짜 20:43
곰돌이테디베어 | 추천 3 | 조회 88 | 날짜 20:43
GARO☆ | 추천 1 | 조회 34 | 날짜 20:43
다이바 나나 | 추천 5 | 조회 70 | 날짜 20:43
昨日 | 추천 1 | 조회 130 | 날짜 20:43
M762 | 추천 1 | 조회 94 | 날짜 20:42
죄수번호-69741919 | 추천 17 | 조회 1057 | 날짜 20:42
듐과제리 | 추천 16 | 조회 1902 | 날짜 20:41
HMS Belfast | 추천 7 | 조회 146 | 날짜 20:41
라스트리스 | 추천 4 | 조회 162 | 날짜 20:41
하즈키료2 | 추천 2 | 조회 129 | 날짜 20:41
라스테이션총대주교 | 추천 0 | 조회 103 | 날짜 20:41
이븐 알-하이삼 | 추천 3 | 조회 120 | 날짜 20:41
닭집장남 | 추천 2 | 조회 65 | 날짜 20:41
루리웹-1062589324 | 추천 2 | 조회 171 | 날짜 20:41
루리웹-7199590109 | 추천 2 | 조회 76 | 날짜 20:41
히로이 키쿠리 | 추천 5 | 조회 168 | 날짜 20:40
전귀엽기라도하죠 | 추천 0 | 조회 50 | 날짜 20:40
人生無想 | 추천 0 | 조회 133 | 날짜 20:40
Ad.V. | 추천 2 | 조회 75 | 날짜 20:40
ㅇㅇ(106.101) | 추천 0 | 조회 23 | 날짜 20:40
다이바 나나 | 추천 2 | 조회 74 | 날짜 20:40
도그피그 | 추천 1 | 조회 96 | 날짜 20:40
컴퓨터중급 | 추천 0 | 조회 25 | 날짜 20:39
ㅇㅇ(323.65) | 추천 1 | 조회 102 | 날짜 20:39
말물 | 추천 4 | 조회 140 | 날짜 20:39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