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진] 노르망디 상륙작전 첫째날의 전사자들의 위치를 재현한 사진

일시 추천 조회 67795 댓글수 115 프로필펼치기



댓글 115
BEST
그리고 뒤에서 보면서 웃는 정치인들
어싸쎄노 | 14.06.09 15:21
BEST
막는 군인이나 뚫는 군인이나 둘다 고통스러운 -_-;;;
게이림 | 14.06.09 14:31
BEST
세계를 구하고 우리나라의 독립을 도와주신 분들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ㅜ
루리웹-533652391 | 14.06.09 23:14
BEST
전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봣어요. 가제트에서도 봤고요. 히틀러의 전기톱 특집인데 총열이 과열해도 쉽게 갈수있고 초당발사수도 좋아서 4정으로 저길 저렇게 만들었다고요. 당시 전투참가자가 같이 가서 위치까지 집어주면서요. 메달오브아너 해보고 장담을 할수있나??
콘솔울렁증 | 14.06.19 10:58
BEST
오마하해변의 광경을본 연합군병사가 말하길.... 이건매우 안전한 작전이라들었답니다... ㄷㄷ 솔직히 태평양전때 과달카날전투 때에도 병사들이 듣기로는 괜찮은곳이라 했는데 막상가보니 상지옥이라 하더군요... 너무 지휘관들이 뻥을심하게친게 아닌지.
앙마사냥꾼 | 14.06.09 21:06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뭐라고 니그로? | 14.06.09 14:06

mg42로 두두두두두두두.........

파괴신쉬바 | 14.06.09 14:08

히틀러의 전기톱

굴절각 | 14.06.09 18:08

문제는 단 4정뿐이었음.

콘솔울렁증 | 14.06.18 10:13

8정 아니였나요?

AceSaga | 14.06.18 12:46

4정 8정은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메달오브아너 하셨나?

-골드엘리트- | 14.06.18 15:22

4정이던 8정이던 자리 잡고 쏘면 ㅠㅠ

도박하면손가락 | 14.06.18 22:48
BEST

전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봣어요. 가제트에서도 봤고요. 히틀러의 전기톱 특집인데 총열이 과열해도 쉽게 갈수있고 초당발사수도 좋아서 4정으로 저길 저렇게 만들었다고요. 당시 전투참가자가 같이 가서 위치까지 집어주면서요. 메달오브아너 해보고 장담을 할수있나??

콘솔울렁증 | 14.06.19 10:58

오마하 해변에 상륙한 미군이 작전 전에 분할 구분한 10개의 섹터 중 한 섹터를 기준으로 4정의 mg42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 건 아닐까요? 방어군인 352 보병사단이 약체였다 해도 1만명 규모인데요....

-골드엘리트- | 14.06.19 14:59

얼핏보고 물개들이 있는 줄 알았..

도도리아. | 14.06.09 14:10
BEST

막는 군인이나 뚫는 군인이나 둘다 고통스러운 -_-;;;

게이림 | 14.06.09 14:31

생지옥이지오.....

리중사 | 14.06.09 14:54
BEST

그리고 뒤에서 보면서 웃는 정치인들

어싸쎄노 | 14.06.09 15:21

히틀러:그것도 못막냐?? 한심한 새끼들아.ㅉㅉ 독일군:................................

kjs3559 | 14.06.09 15:29
BEST

오마하해변의 광경을본 연합군병사가 말하길.... 이건매우 안전한 작전이라들었답니다... ㄷㄷ 솔직히 태평양전때 과달카날전투 때에도 병사들이 듣기로는 괜찮은곳이라 했는데 막상가보니 상지옥이라 하더군요... 너무 지휘관들이 뻥을심하게친게 아닌지.

앙마사냥꾼 | 14.06.09 21:06

퍼시픽보면 알겠지만 일본전투는 그야말로 열악 그자체... 노르망디는 뚫기만 힘들었고 그때부터 보급 잘됬지만 물론 공수부대 마켓가든작전은 폭망

Defeat Jackson | 14.06.18 09:19

노르망디 상륙작전은 상륙부대는 안전한 편이었어야죠. 오마하는 사실상 실패할 뻔했죠. 그걸 뚫은 미군도 대단하지만요.

야자와 니코니코 | 14.06.18 13:19

노르망디는 영문도 모른채 벌어진 지옥이겠지만 오키나와 전투는 끝을 알수없는 지옥이었겠죠. 뭐가뭔지 인식도 하기 어려운 상황보다 끝임없이 인식해야하는 지옥이 다 고통스러울거 같긴하네요. 게다가 일본쪽 참전자들은 귀환도 유럽보다 늦어서 환영도 제대로 못받고 제대자 지원제도도 덜 받았다 하더군요

제이어 | 14.06.18 14:09

진정 지옥은 동부전선이죠 거긴 정말 민족말살이 목표였으니 서부와는 비교가 안됨 서부전선은 그나마 신사적이었습니다 적도 같은인간으로 대해주었으니

ROLENTO2799 | 14.06.18 14:30

연합군은 마음 다 잡고 갔겠지만 독일군은 열라 쇼킹했을듯

alsckd5757 | 14.06.18 19:02

과달카날 전투는, 사실 일본이 삽질해서 지기도 했죠. 그런데 일본만 삽질했느냐? 미군도 삽질 많이 했습니다.. 일본이 보급이 제대로만 되었어도 미국이 점령 못하거나 점령해도 더 많은 피해를 입었겠죠. 특히 일본 육해공이 전부 제각각에 대본영도 재정신도 아닌데.. 다행히 히틀러나 무솔리니 대본영이 재정신들이 아닌 정신병자들이 일으킨 희대의 살육극이라 다행이었을지도요. 애초에 세계정복 비슷무리한 정신병거리 가 아니라 단순히 영토 확장 개념이었다면 글쎄요..

ReD_wings | 14.06.18 21:12

히틀러도 처음엔 단순한 영토확장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근데 이게 시간이 흐를수록 막장으로가서 문제가 되었지요 1차세계대전의 교훈(?)도 있고해서 독일 수뇌부는 2개이상의 전선을 원치 않았고 잘지켜나갔죠 근데 사태가 커져서 세계정복비스무리하게 흘러간겁니다 (무솔리니 역할이컸음 그리스전선과 북아프리카전선은  히틀러도 원하는게 아니었죠  병X같은 동맹덕에 일만커지고 말았으니)

ROLENTO2799 | 14.06.18 22:46

독소전쟁 이전의 오스트리아 합병/체코-폴란드 침공부터 이미 기존의 문제와 그 '단순한(이라기보단 이미 연합군과의 일전을 전제로 한)영토확장'으로 인해 연합군과의 충돌은 피할 숭 없는 상황이었죠 그런 상황에서 소련과의 불가침조약 자체가 엄청난 행운이었지만 결국 소련과 나치 독일은 양립할수가 없는 존재였구... 사태가 커진게 아니라, 그냥 연합국이 1차 대전의 기억 때문에 꾸무적댔을 뿐인거지 세계대전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포지보니 | 14.06.19 04:37

ROLENTO2799//그래서 무솔리니도 찔끔했는지 히틀러에게 소련이랑 평화조약 맺고 전선을 북아프리카 쪽으로 관심을 돌리려 하였죠. 하지만 희대의 병맛인 히틀러는 듣지않았죠.왜냐하면 소련이랑 평화조약 하면 소련원정이 큰실수라는걸 인정하게 되는 꼴이었거든요. 뭐....그전에 스탈린도 평화조약에 응할 생각도 전혀 없었을겁니다.

마기엘 | 14.06.20 00:42

오마하 해변이 지휘관이 뻘짓해서 전차들이 전부 수장되는바람에 사상자가 제일 많았다고 NGC에서 본기억이 나네요

오리너구리. | 14.06.09 15:32

꼭 전차만의 문제가 아닌게 오마하 해변이 하필이면 롬멜이 그렇게 만들고 싶어하던 대서양 방벽의 완전판을 만들어 놓은 장소라고 합니다. 그런곳에 병력을 밀어 넣었으니 나머지는 안봐도 뻔하죠

교도리 | 14.06.09 16:27

사실 완벽판도 아니죠 원래대로라면 지뢰도 쭉 깔아놓고 88미리나 벙커도 훨씬 많았어야했는데 룬트슈테트랑 의견충돌로 축소됬다고 하더군요 연합군에겐 그야말로 천만다행

알로에튀김 | 14.06.09 16:41

전차들을 옮기는 수단으로 전차 동력을 사용하는 상륙선을 제작했는데 파도가 거세서 물이 유입되는걸 못 막았기 때문에 전부 해변에 닿기도 전에 수장...

게이림 | 14.06.09 17:23

오마하 해변 방면은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었지만 그 중 대표적인 걸 적어보면 첫째, 항공폭격과 함포 사격으로 해변에 있던 벙커들을 박살내야했지만, 그렇지 못함. 둘째, 탱크를 위해 상륙시간을 맞추느라, 썰물 시간 때 상륙을 감행함, 정작 탱크들은 수장당해버리고, 보병은 그대로 썰물 때 만큼 늘어난 거리를 기관총 사격을 맞으며 전진해야했음.

C셰퍼드 | 14.06.09 18:01

철벽 방벽이였죠. 상륙날 기상도 안좋아서 폭격들이 다 빗나갔고. 전함 사격들도 다 빗나가서 상륙하는 보병들이 무슨 폭죽놀이 하냐고 성냈다고 하더군요. 탱크들은 상륙하자마자 수장되어서 몇대 도착 못해서 정말 라이언 일병 구하기처럼 알보병들이 뚫고 가야했던

오마하 해변은 절벽때문에 전차가 기동하기 힘듭니다 좌우 유타나 그린비치쪽 오솔길로 우회 뚫어줘야 하는데 어차피 이건 실패하나 성공하나 오마하 미군은 알보병으로 절벽까지 전진해야 합니다 전차는 해변을 뚫기위한게 아니고 절벽너머 반격해올 독일 전차부대를 맞아들이고 그걸 막으면 공수부대를 구원하기위한 전력이지 일단은 해변은 알보병으로 뚫어줘야 전차가 전진함

AC 8 | 14.06.18 13:26

뭐 괴링 같은 놈들이나 전선확대.. 우주 진출 을 염두로 둔 확대인가 뻘짓에다가, 러시아 침공도 패퇴하는 마당에 독일이 뭔 수로 오마하 계획을 알았더라도 막을 수 있었겠어요. 러시아 병력 철수 시키고 북아프리카 철수해서 본토 지키기는 커녕 있는대로 올인해서 러시아에 밀어붙이고 별 쌩쇼를 다했는데.. 벌지에서도 훨씬 더 열악한 미군에게 패퇴했는데..

ReD_wings | 14.06.18 21:17

노르망디는 오히려 수비가 약한쪽이었다던데?

넌내게Van했어 | 14.06.19 22:35

솔직히 아닌 것 같은데. 저렇게 균등하게 퍼져서 죽어있을리가.

더러워!?! | 14.06.09 16:26

사망자의 숫자를 모래사장에 표현한거겠죠. 그렇게 따지면 시신들이 전부 멀쩡할 리도 없구요.

孔雀王 | 14.06.09 16:43

내가 보기에는 전사자 위치를 재현한게 아니라 그냥 사망자를 추모하며 저렇게 사람 모양을 해변에 만들어 놓은거 같네요 뭣보다 어디서 어떻게 죽었는지 알게뭐야? 어차피 전투의 혼란중에 여기저기 사체들이 흩어져 있었을텐데

교도리 | 14.06.09 16:29

영화나 다큐보면 병사들이 상륙선 철문이 내리자마자 해변에 발도대기전에 MG에 끔살당하던데... 사실일가요? 과장된걸가요?

앙마사냥꾼 | 14.06.09 19:43

사실이지 않을까여? 육지에서 부터 보고 잇엇을테니까... 아닌가?

배부르는데.. | 14.06.09 19:57

사실 맞습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때도 소련군이 앞의 1명은 소총만 받고 뒤의 1명은 총알만 받는 식으로 돌격하다가 앞선 소총 든 사람이 쓰러지면 그 소총을 빼앗아서 뒤의 사람이 장전해서 사용했지요 도망가는 군인들은 바로 현장에서 아군한테 사살당하고요 ;

노트북클럽 | 14.06.09 20:36

googoos // 맞습니다.. 적어도 정규군이 그렇게 싸우는 경우는 없었다고 보셔도 됩니다.

갤럭시탱구 | 14.06.09 22:07

기관총을 쏜 독일군 이야기로는 배가 멀리 있어서 그렇게 쏘지는 않았고 그 중간에 엄폐물 근처에서 왓다갔다 하던 연한군 병사들을 쐈다고 합니다.

썩은얼음 | 14.06.09 23:18

멀리 있는 배들은 88mm 포랑 박격포 야포 사격에 시달렸다고 합니다.

썩은얼음 | 14.06.09 23:38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 보시면 아실듯. 참전용사들도 극찬했던 영화라고했으니깐요..

시새발끼 | 14.06.10 18:59

에너미엣더게이트 보고 그런말 하시는거 같은데 실제로 소련군 2차대전 참전자들 그 영화보고 자기들은 제대로 보급도 받고 포격 지원도 받고 싸웠다고 존나 깟었습니다. 소련군이 보급이나 이래저래 열악하긴 해도 그정도는 아님

뭘보나요 | 14.06.18 10:36

썰물때라 거리가 약 2백미터쯤 돼서 상륙선 내리자마자 기관총 덮어쓰는건 좀 오바죠 물론 눈먼총알에 많이 도륙당하긴 했지만 어쨋던 쏴야하니 쏜거고 그런 총알로도 맞아죽을만큼 많은 인원이 쏱아져 나온게 사실이기도 하고... 실상 가장 많은 사상자는 박격포와 야포사격때문입니다 벙커에서 쏘는 직사포탄은 한방 제대로 맞으면 일개소대는 그자리에서 증발

AC 8 | 14.06.18 13:31

이것도 들은 말이지만.. 사실 스탈린 전투 때 소련군 전투 방식이 한국전쟁 때 중공군 방식이었다고 하던데요. 자기 할머니가 간호사로 참전해서 중국 정부로부터 인정받아서 연금이 나온다고 하더라고요, 그 때 얼마나 참혹했냐면.. 스탈린 전투 영상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하더군요, 총도 없이 총알도 없이 깃발 나부끼며 식량도 없고 죽어라 돌진하면 주워서 쓰던지 어쩌든지 생 지옥이었다고 말씀하셨다고 하더군요,

ReD_wings | 14.06.18 21:22

한국전쟁때 중공군의 전투방식은 장비는 부족했지만 굉장히 세련된 전투방식을 보여줬습니다.

포지보니 | 14.06.19 04:38

그 교훈으로 요즘의 상륙 장갑차가 나온겁니다. 처음에는 앞문이 열리다가 나중에는 옆벽을 넘어서 상륙하다 말기에 가서야 드디어 뒷문으로 나갈수 있는 상륙정이 나왔죠... 그렇게 해병대가 경고 했는데도 말 드럽게 안듣는 육군

spookies101 | 14.06.19 10:40

소련군 우라 돌격을 무슨 일본 반자이 돌격으로 생각하시네요 컴오히2도 그런식으로 묘사해서 러시아에서 욕 먹었어요

Get_Even | 14.06.19 18:58

반다이 돌격 : 일단 앞으로 뛰어 돌격 하라고 한다 우라 돌격 : 모든 화력을 쏟아부어 전선을 붕괴 시킨후 보병을 돌격 시킨다

Get_Even | 14.06.19 19:02

참전용사들이 말하길 실제의 반도 못담았다고 하던데...

멸샷의 체코 | 14.06.19 20:52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략 30만명이 희생...

페드로 킴 | 14.06.09 20:23

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연합군 측은 약 만명 정도의 사상자가 나왔습니다. 30만명이라는 숫자는 처음 들어보네요.

C셰퍼드 | 14.06.09 22:59

만약 연합군30만 사상자면 독일군의 일방적이 대승리임

김깅가낭 | 14.06.10 21:15

많이쳐줘야 3만일텐데..

라면1중독자 | 14.06.18 08:21

ㅋㅋㅋ3만도 아니고 30만ㅋㅋㅋ 1차 상륙군이 1만이고 노르망디 전체상륙군이 8만 남짓인데 나머지 20만은 어디서 데려왔데 ㅋㅋ

AC 8 | 14.06.18 13:33

30만명은 저 작전에 동원된 육해공군의 모든 병과를 동원한 장병들의 숫자같은데

착한넘들 | 14.06.18 13:37

30만이면... 우리나라 현 병력의 절반을 넘네요 ㅋㅋ

armzelu | 14.06.18 19:30

말그대로 동료의 시체를 넘어가며 싸우는거네 ㄷㄷ

◀▶◀ | 14.06.19 07:16

사망자가 아닌, 육체적/정신적 피해자라 치면 30만 희생자가 맞긴 하겠네요.

아세로라오리온 | 14.06.19 19:33

군대에서 교육받을때 들은건데 저기 기관총이 딱 4대인가? 있었다던데 저많은 사람이 죽었다고 기관총이 그만큼 무서운거라고 들었는데 진짠가요?

실란디르 | 14.06.09 20:52

GM42는..... 부와아아아아아아앜 하는 소리가 정말 공포죠

게이림 | 14.06.09 23:18

1차대전때 나온 맥심기관총 기관총 1대가 10명의 소총수 화력이랑 비슷하다고 . 다큐에서 본적이 ..

lovely 태연 | 14.06.09 23:26

/실란디르 더 많았습니다.

C셰퍼드 | 14.06.09 23:34

국군 케이쓰리로는 불가능할듯 싶네요. 점사도 근근히 되는 아이들이 많아서..

우앙?? | 14.06.10 01:00

동학때 일본군 소수의 기관총한태 압도적인 머리수를 자랑하던 동학군이 일방적 패배한거 생각하심됨

김깅가낭 | 14.06.10 21:16

다큐 봤는데.. 풍선을 매달아 놓고 기관총 사격 실험했는데.. 1자로 직선 사격하면 풍선이 많이 안터지는데.. 양쪽에서 X자로 교차사격하니까 풍선이 남아나질 않더군요.. 글구 겜이지만. 배필3 공짜풀린거 하고 있는데. 보급병으로.. 중요 길목에서 기관총 거치대펴고 계속 제압사격으로 연속으로 쏴대니까.. 적군들 그냥 계속 죽어나더라구요. 애들이 정신을 못차림. ㅋㅋ

루리웹-22540905 | 14.06.18 14:43
BEST

세계를 구하고 우리나라의 독립을 도와주신 분들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ㅜ

루리웹-533652391 | 14.06.09 23:14

허나 독소전쟁에선 무려 천만 단위로 인명이 희생되었다는 사실.. 소련만.

Chihaya | 14.06.09 23:58

당장 상대가 산전수전 다겪은 독일군에 대대적인 기습. 대숙청으로 제대로된 지휘관 부재 그외 여러가지 등 총체적인 난국이었죠.

거북이와춤을 | 14.06.10 00:42

동부전선 개장 안했으면 저런 상륙전을 못했거나 훨씬 미뤄졌을겁니다... 동부전선에다가 갈아 넣은 전력 반만 있었어도....

화풀어똘똘아 | 14.06.10 08:56

민간인까지 합치면 삼천만...

과자는칸쵸 | 14.06.18 08:50

독일도 적지만 무시못할 어마어마한 병력손실이었죠. 안되는걸 오로지 의지로만 돌파하라는 것과 다름없는 전투였는데.. 장비 면에서도 훨씬 앞섰지만 결국 발목잡은건 혹독한 추위와 소련의 물량공세.. 재정신 가진 놈들이었다면 그 병력을 온전히 서유럽에 배치시켰으면.. 아 상상도 하기 싫어지내요

ReD_wings | 14.06.18 21:25

아주 대표적인 지휘층의 무능함이죠...베테랑 군인들 말 다 씹고 닥돌했다가 ↗망

요가키미마로 | 14.06.10 16:15

누가보면 오버로드 작전 망한줄 알듯(-_-)

코발렌코 | 14.06.18 13:45

그나마 저게 영국의 첩보전략이 통해서 노르망디에 배치된 독일군대의 방어가 허술한 거였죠

사진검 | 14.06.19 20:24

세계대전때도 무리하게 진격시켜서 하루에 수만명이 죽었다는 기록이 있죠. 그리고 책임자는 그냥 퇴임ㅋ

변신이야기 | 14.06.18 08:23

기관총위력을 느낄수있는건 그 기억은안나는데 미군은 적군에 비해 정말적은 인원에 기관총4대로 일본군 5000명정도(기억안남..) 잡은거였는데.. 그사람이 캡틴아메리카처럼 미국에서 영웅되서 선전활동하다 다시 전장나가서 죽었는데 퍼시픽보면 나옴

Kenny McKormick | 14.06.18 08:48

그 무거운 브라우닝 기관총(15kg)을 손으로 들고다니면서 쏜 실존 람보 인간병기 존 바실론..

칠흑의방문자 | 14.06.18 09:40

메달 오브 아너의 주인공...이오지마 전투에서 전사하시지만요...

호랭총각1 | 14.06.18 10:55

존 바실론은 죽음의 능선 전투에서 1개 소대로 약 800명 가량 사살햇고요 그 능선에 투입된 일본군 전체수가 약 9천명 내외였읍니다 이오지마에서 전사한 바실론 시체를 검시한 결과 박격포 흔이라고 보는 견해가 우월하고요..퍼시픽에서야 소설기반이니 총상으로 표현했지만

AC 8 | 14.06.18 13:38

기관총 덕분에 아메리카 원주민들도 그 희생을 감수해내야만 했죠..

ReD_wings | 14.06.18 21:27

입막 vs 입구뚫기

개고기 맛있쪙 | 14.06.18 09:25

그리고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일날 연합군 사상자는 5천명정도임 9천명은 독일군까지 다 합한 숫자인가?

뭘보나요 | 14.06.18 10:39

사실 오마하 해변이 독일군 저항이 가장 거셌던 곳 중에 하나죠. 다른데는 저렇게 어렵게 뚫지 않았다고 책에서 봤었는데요.

호랭총각1 | 14.06.18 10:56

다른 경우지만 벌지전투가 있습니다. 이 경우엔 미군이 저항하고 버틴거네요. 하지만 훨씬 적은 병력가지고 저정도 희생인데, 동부 전선에 투입된 그 어머어마헌 기갑들과 대공전력 육군이 서 유럽을 수성했다면 상상하기 싫어질만큼 희생이 있었을테고 역사는 달라졌겠죠.

ReD_wings | 14.06.18 21:30

30초전!!!뭉치면 타겟이되니 흩어져서 전진한다!!

海兵戰士1 | 14.06.18 11:23

근디 항상 노르망디 이야기 나오면 의문점 땅은 큰디 다른 장소로 상륙 하면 되는거 아닌가 왜

GoldPark | 14.06.18 12:44

그게 상륙후 진격, 보급을 위한 항구, 영국과 거리 등등 계산후 최적의 장소가 노르망디와 칼레 였던가 그럼 칼레에도 위장 상륙작전이 벌어졌죠

판테모니엄 | 14.06.18 13:00

꼭 그렇게 해변으로 해서 상륙해서 점령 했어야 했나가 제일 큰 의문이에요 좀 돌더라도 옆으로 가서 그담에 노르망디 점령 하는게 낫지 안나? 싶어서 ㅎㅎ

GoldPark | 14.06.18 13:39

저당시 다른 프랑스 상륙지점은 더욱더 수비가 강합니다 1차 최적요지인 칼레에는 전차사단 1개와 보병 수개 사단이 고정돼 실지로 노르망디 상륙이 확실시돼어 칼레병력을 빼내려해도 히틀러 직통으로 묵살됩니다 또 노르망디의 경우 방어선은 잘짜였는데 병력이 모자랐고 그 병력중 1개 기갑연대가 보충돼기 일보직전이었습니다 즉, 연합군은 깔레나 더 윗쪽으로 나 들어간다잉~이러고는 페인트로 엄청 우회해서 남쪽으로 기습상륙한겁니다 다른 큰 땅 절벽없는 장소로 상륙했다가는 상륙군 전체가 일단 노르망디 저리가라로 도륙당합니다

AC 8 | 14.06.18 13:43

아... 그나마 방어선이 제일 약한곳이 노르망디 였군여 어쩔수없는 선택이내....

GoldPark | 14.06.18 13:48

어디선가 봤는데 방어선이 약한 이유도 있고 상륙이 성공하면 쉽게 분쇄가 가능하고 그토록 염원하던 크리스마스 전에 종결 낼 수 있을 것 같아 진행했다고 봤네요. 사실 독일도 알고는 있었지만 대부분의 병력이 러시아에서 소모되어서 막을 병력도 없고..

ReD_wings | 14.06.18 21:32

그나마 노르망디의 배치병력이 제일 적은 거였어요..히틀러의 판단이 틀려서 다행,,

사진검 | 14.06.19 20:26

아직도 그때 노르망디를 방어하던 독일군 병사의 말이 잊혀지지 않네요 "적이 습격한다!" 이 말을 들은 병사는 일어나서 바다를 보았더니 노르망디를 지키고 있는 독일군 병사보다 배의 숫자가 훨씬 많았다고...

로만킥 | 14.06.18 13:08

당연히 구라지. 겹치는 게 하나도 없잖아.

곰나루1 | 14.06.18 13:27

오래전 당시 독일군 기관총사수였던 사람이 인터뷰하는 내용을 티비에서 봤는데. 그분은 수도없이 밀려오는 연합군에게 정말 쉬지도 않고 총을 쏴댔다고 합니다. 대략 10만발 이상을 쏴댔다고 합니다. 모든 탄이 바닥나자 도망쳐서 겨우 살아남았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다 늙어서 어떤 미국인친구랑 사귀게 댔는데. 그분은 매일같이 그때 자신이 쏜 사람들을 위해서 기도한다고 하자 그 미국인도 기도한다고 하더군요. 그 프로그램을 보니 결국 전쟁은 터무니 없는 일이 아닐가라도 생각도 됩니다.

마기엘 | 14.06.18 18:10

어차피 위에서 시킨데로 한거니까... 병사들이야 장기알의 졸 이니까

ㅇlㅇ 불사파 | 14.06.18 21:22

독일인이라고 전부 나치도 아니고..

ReD_wings | 14.06.18 21:34

늙은이들이 전쟁을 선포한다. 그러나 싸워야하는 사람은 젊은이들이다.

Dragonㅡs | 14.06.20 02:14
댓글 115
위로가기
SandShark_03 | 추천 2 | 조회 143 | 날짜 03:48
Dr 9년차 | 추천 30 | 조회 6028 | 날짜 01:50
Αng마 | 추천 3 | 조회 225 | 날짜 2024.06.17
티로포시나=카페르아 | 추천 6 | 조회 728 | 날짜 2024.06.16
THINKDICK | 추천 0 | 조회 644 | 날짜 2024.06.14
빈센트Vincent | 추천 1 | 조회 930 | 날짜 2024.06.13
만화그리는 핫산 | 추천 3 | 조회 890 | 날짜 2024.06.10
루리웹-588277856974 | 추천 0 | 조회 820 | 날짜 2024.06.09
uspinme | 추천 2 | 조회 339 | 날짜 2024.06.08
7회 희망의나무 | 추천 0 | 조회 346 | 날짜 2024.06.04
시시한프리즘 | 추천 8 | 조회 1633 | 날짜 2024.05.30
uspinme | 추천 12 | 조회 2738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4 | 조회 3659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4 | 조회 951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14 | 조회 3144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3 | 조회 734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3 | 조회 1250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13 | 조회 4354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 | 조회 680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8 | 조회 784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6 | 조회 817 | 날짜 2024.05.29
NGGN | 추천 2 | 조회 626 | 날짜 2024.05.29
평범학생 | 추천 104 | 조회 16448 | 날짜 2024.05.28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384 | 날짜 2024.05.27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188 | 날짜 2024.05.27
인테리어보수 | 추천 0 | 조회 615 | 날짜 2024.05.26
루리웹-0941560291 | 추천 4 | 조회 571 | 날짜 2024.05.26
루리웹-4964138573 | 추천 0 | 조회 311 | 날짜 2024.05.24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