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괴담] 심청전 다른 해석

일시 추천 조회 62546 댓글수 76 프로필펼치기


1

댓글 76
BEST
건빵쥔자식 // '제대로 좀 봐라'는 반말이고요. 예의지키세요
종이하악 | 15.04.07 19:08
BEST
이걸 기황후와 연결시킬 줄이야...
쿨럭쿠 | 15.04.06 19:21
BEST
기계과 학생이 멀 저리 문학적인 부분에서 역사적인 것까지 결합시키며 설명해..;
꿈을타마셔 | 15.04.07 00:11
BEST
이런 얘기 자체도 재밌을텐데. 이걸 대화식으로 풀어가는 그 흥미진진함이 대단하네요
aaasaas | 15.04.06 21:54
BEST
하지원이요
기어즈오브워3 | 15.04.11 20:29
BEST

이걸 기황후와 연결시킬 줄이야...

쿨럭쿠 | 15.04.06 19:21

내용 중 심청이 자살설은 제 생각과 유사하네요. 심청이가 왕후가 된 후, 맹인 잔치를 열었다는 점에서 애당초 심봉사가 눈 뜰 수 있다는 희망이 심청에게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눈을 떳다면 못 만날 가능성도 있는데 다짜고짜...그런면에서 아버지가 공양미니 뭐니 해도 눈을 떳다는 생각을 전혀 안했다고 여겨지네요. 그럼 기대 심리도 없이 임당수에 몸 던진 이유는, 그냥 미래도 없고 장님인 아버지 수발도 지치고, 게다가 감수성 예민한 청소년기고 해서 그냥 겸사 겸사 자살 시도 아닐까 하네요. 그리고 어차피 심봉사가 주거지를 옮긴 것도 아니고, 그냥 아버지를 모시고 오면 되지, 맹인 잔치니 한 것은 뜻하지 않은 본인의 출세를 맘껏 보여주고 싶어서가 아닐까 하구요. 생각만큼 효녀는 아닌 것 같습니다.

루리액 | 15.04.06 19:38

소설은 소설일뿐이지만 재미는 있네여

티파 아딜 | 15.04.06 20:43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다이나모 | 15.04.06 21:40
BEST

이런 얘기 자체도 재밌을텐데. 이걸 대화식으로 풀어가는 그 흥미진진함이 대단하네요

aaasaas | 15.04.06 21:54

전지적시점이 어디 나오는지.. 1인칭 관찰자 시점 아닌가요

황금향 | 15.04.12 05:52

'나'가 안나오는데 1인칭은 될 수 가 없죠

주홍마녀의 함가 | 15.04.12 15:51

정말 재밌게 읽었습니다

이별앞에서다 | 15.04.06 23:22

이걸 이렇게 연결시킬줄은;; 근데 이렇게 대화로 풀어가니까 진짜 잼있네요

종족을 뛰어넘다 | 15.04.06 23:48

근데 마지막이 이해가 안되는데 “그러고 보니 생각나는 사람이 하나 있는데 말이야.” “설마요. 그냥 지어낸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렇겠지.” “그래요.” 여기가 이해가 안됨. 이해좀 시켜주실분??

종족을 뛰어넘다 | 15.04.06 23:49

윗댓글에 기황후라고 있네요..

좀 제대로좀 봐라 윗댓글에 떡하니 써있는걸

건빵쥔자식 | 15.04.07 17:30
BEST

건빵쥔자식 // '제대로 좀 봐라'는 반말이고요. 예의지키세요

종이하악 | 15.04.07 19:08

윗댓글에 써 있어도 저 대화랑 연계가 안될수도 있지 뭘 그리 까칠해

深黑한 성님 | 15.04.08 12:40

니가 안다고 다른 사람도 안다고 생각함?

개드립학원장 | 15.04.09 00:12

기황후가 누군데?

大恨泯國 | 15.04.11 17:33
BEST

하지원이요

기어즈오브워3 | 15.04.11 20:29

닉값 ;; 건방지시네요.

스틴르라 | 15.04.11 22:21

안녕 과거의 나! 와 신기하다 이렇게 심성이 뒤틀린 사람이 존재한다니... 저같은놈 뭐라고 그런 댓글까지 달아주시고 ㅎㅎㅎ 늦었지만 따끔한 지적 감사합니다~

종족을 뛰어넘다 | 15.04.12 01:50

ㅋ 잼있네요..잘 읽었습니다.

BEST

기계과 학생이 멀 저리 문학적인 부분에서 역사적인 것까지 결합시키며 설명해..;

꿈을타마셔 | 15.04.07 00:11

저도 기계관데 순간 내 교양이 너무짧았나하고 의심했네요

꿈을타마셔 | 15.04.07 00:12

공대생 학식이 풍부하네요

킹 크림존 | 15.04.08 12:55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이 글 예전에도 재밌게 읽었는데..오랜만에봐도 재밌네여 ㅎ

HAHAHAHAHA | 15.04.07 01:01

와....최고네요.....

트롤링타겟 | 15.04.07 03:03

시대배경이 고려라는 것이 흥미롭네요. 심청전 삽화들을 보면 죄다 조선식복식이라서..

스님이 부처님께 공양하라고 나오는것 보면 국교가 불교였던 고려(내부적으론 유교사상이 있었으니 고려중기~ 후기)시대가 맞을듯 합니다.

ㅋlㄹг | 15.04.11 23:17

와...진짜 잘 읽고 가요.출처 남기고 퍼갑니다.

비비앙느 | 15.04.07 08:26

제가 원래 괴게에선 작문을 잘 안읽는데, 이 글은 재미있게 읽고 갑니다.

대마토끼 | 15.04.07 10:27

근데 심청의 원본은 바리공주 이야기임. 무속 신화가 오리지날임.

김눌이 | 15.04.07 13:43

정말 오래간만에 괴겔에 오는 보람을 느꼈습니다 . 몇년전 까지만해도 이런 글이 괴겔엔 풍족했는데 ㅠㅠ

새빨간사과 | 15.04.07 18:39

지어낸거라도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animanjhc | 15.04.08 09:05

맨 프롬 어스 생각나네요 ㅋㅋㅋ

써냔 | 15.04.08 17:47

재밌게 읽었습니다^^

hangyoona | 15.04.09 01:22

공녀 출신 황후에서 내림. 허경영이 썼나

썬더파워 | 15.04.11 03:18

앞에 자살썰 까지는 괜찮았는데 뒷부분이 좀...

Ellen Page | 15.04.11 15:41

기황후 ㅋㅋ

ㅋlㄹг | 15.04.11 23:18

반박하자면 한도 끝도 없어서 그만두었다

대통령 | 15.04.11 16:02

퍼왔다고 말이라도 해라 ㅋㅋㅋㅋ

S Fgihter | 15.04.11 16:39

이런 문체 너무 좋네요 ㅋㅋㅋㅋ 뭔가 90냔대 즈음 그다지 좋은 상태 아닌 종이책에서 볼거 같은 뭔가 매케함? 아무튼 내용도 너무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키요라 | 15.04.11 16:53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fear&number=58468 웃긴대학 왁스원샷님이 2011년에 올렸던 글입니다.

Rising Sun | 15.04.11 16:54

굉장히 흥미롭네요. 일리있고.

재미있는 글이네요.

소시민B | 15.04.11 17:35

재밌네요 ㅋㅋㅋ

그라우쉐라 | 15.04.11 17:49

곡성군에서 심청축제를 한다면 산골에서 무슨 심청이냐 또는 그곳에 인당수가 있느냐 하고 의아해 한다. 그런데 곡성군에 전해오는 효녀 원홍장 이야기 (관음사 창건설화)가 1930년 대 김태준의 [조선소설사]에 소개된 이래로 심청전의 근원설화 또는 배경설화로 국문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고 하면 또 한 번 놀란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자치시대의 곡성군은 심청을 문화자산으로 활용해서 다양한 심청사업을 펼칠 자격이 충분하다. 이제껏 그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지났다는 것이 부끄럽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너무나 크고 소중한 자산이기에 성큼 내세울 수는 없는 일이었다. 연구용역을 통해서 한번 정리를 해보고 나가기로 했다, 그런데 양권승 전문연구원이 중심이 된 연구팀은 원홍장 이야기가 기록된 [관음사사적]이 관음사의 역사기록이라는 점에 착안해서, 서기 300년대 철의 주산지였던 섬진강변의 처녀가 무역항로를 따라 중국 양자강 어귀의 관음불교 성지인 보타도(普陀島)에 이르는 경로를 추적했다. 그곳 심가문진(沈家門鎭)에 심가촌(沈家村)이 여러 곳 있고 심수도(沈水道)와 연화양(蓮花洋)과 성비궁터 등 심청전의 무대를 연상시키는 지명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원홍장 이야기를 실화로 복원하고, 이로부터 인당수와 인신공희 및 용궁환생 등 비현실적 요소가 가미된 소설 심청전으로 발전한 경로와 판소리 심청가에 황주 도화동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추론했다. 말하자면 심청전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접근을 통해서 역사기록인 [관음사사적]과 문학작품인 [심청전]을 연결시키고 심청이 실존인물임을 제기한 것이었다. 이 연구 성과 [효녀 심청의 사학적 국문학적 고증]이 2000. 4. 1. 방영된 KBS 1TV의 「역사스페셜」을 통해서 전국에 소개되었던 바, 제목은 “역사추적, 심청의 바닷길”이었다. 이로써 심청은 1700여 년 만에 곡성 땅에 부활했고 곡성심청은 날개를 단 셈이 되었다. 일찍이 간송미술관 최완수 연구실장에 의해서 [관음사사적]이 절의 역사기록임에 착안하여 관음사 연기설화를 창건설화(이야기)가 아닌 역사로 복원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성덕산 관음사” [불교춘추] 1997년 1월호, 86-111 쪽). 이 연구에서는 원홍장을 고려인으로서 원나라 황후가 된 기황후로 보고 그 무대를 개성의 대흥동으로 추론하였다. 또 옥과가 옛날 당골이었고 판소리의 명인이 많았다는 데에 착안하여 관음사 연기설화가 이 고장의 수많은 소리꾼들과 무당에 의해서 판소리로 짜여 졌을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완판계 [심청정]이 나왔을 것이라는 추론을 한 향토사학자도 있었다 (옥과고 정일선 교사, “심청전의 고향 옥과 성덕산 관음사”). 그러나 이런 연구가 학계나 지역사회의 논란을 불어 일으키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철쇄아 | 15.04.11 19:11

"이 연구에서는 원홍장을 고려인으로서 원나라 황후가 된 기황후로 보고 그 무대를 개성의 대흥동으로 추론하였다." 위 글은 전직 곡성군수인 고현석이 (사) 한국지역문학인협회, [제4회 대한민국 문학메카] 자료집에 2004 년 기고한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곡성 관음사 창건설화인 효녀 원홍장 이야기가 심청전의 원전이고, 간송미술관 최완수 연구실장이 원홍장이 기황우라는 추론을 내세웠다는 이야깁니다. 저도 원글 때문에 검색해보고 알았습니다. 역사스페셜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철쇄아 | 15.04.11 19:16

고마워요 심청웨건!

고인형 아서 | 15.04.11 19:18

이런 고전에 대한 색다른 해석을 하는 글이 괜찮음.

淫亂魔鬼 | 15.04.11 19:40

재미삼아 한 해석 보고 다들 재밌네~ 하고 있는데 그 와중에 진지 잡수신 분이 몇 분 보이시네. 이게 심청전을 학문적으로 분석한 논문으로 보이시나 봄.

안경곰돌이 | 15.04.11 20:35

대중적 상식을 빌려서 근거가 그럴싸하면서도 내용은 참신한 이런 해석 너무 좋음ㅋ

히키군 | 15.04.11 21:09

오른쪽에 왠 소설이지 하고 읽었는데 졸잼이넹;;;;;;;

료우엘 | 15.04.11 21:14

공대생이 학점털러 문과대 교양수업이나 경영수업가기도 하는데 사실이네요.

airborner | 15.04.11 22:15

이야...이걸 이렇게 연결시키나 ㄷㄷ;;;

휴트레인 | 15.04.11 23:50

와~참신한 해석 대단하고 재밌습니다.

짬그릇 | 15.04.11 23:52

햐, 글재주있네요. 이렇게 몰입해서 본건 참 오랜만이네요. 게다가 문체까지도 미려해!! 재밌게 잘봤습니다~ ^^

-심군- | 15.04.12 00:14

기승전기황후 ㅋㅋ

메이거스의 검 | 15.04.12 00:22

참신이고 뭐고 그냥 하나부터 열까지 말이 안되는 글인데요 이거;; 기계공학과라서 역사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 그냥 소설썻다는게 요점이려나... 우선 눈에 띄는 것만 살펴 보자면 일단 심청전의 배경은 명나라고..... 원에서 공녀를 징발한건 정동행성 설치보다 훨씬 이전임.. 정동행성 설치 이후에도 공녀 징발은 결혼도감에서 했지 정동행성에서 관여 하지 않았음.. 결혼도감은 원의 공녀 요구에 응하기 위해 고려에서 직접 설치한 기관으로 정동행성과는 하등 관련이 없습니다. 그리고 출가외인 ???? 고려시대 얘기하면서 왜 최소 16세기를 넘어서 17세기 이후 성리학이 사회 전반에 뿌리박혀있을떄 이야기를 하시나.. 고려뿐만 아니라 조선에서 훈구파가 정권을 잡고 있을 시기인 15세기까지만 하더라도 남녀가 동등한 사회였습니다. 재산 상속도 남녀 구분없이 이루어 졌고 첫쨰가 장남이 아니라 장녀면 여자가 제사를 지내기도 하던사회 였고.. 고구려떄부터 내려오던 서옥제가 일반화 되 있던 사회였죠. 보통 서옥제의 경우 신랑이 처가에 살다가 시댁으로 돌아가지만 처가에 그냥 눌러 사는 경우도 많았는데 심청이 같은 경우 아버지를 꼭 모셔야 아니 그냥 아버지 모시면서 처가에서 그냥 셋이 산다해도 딱히 이상할 것 없는 사회였습니다. 그리고 말 안되는것 또 하나 16세의 나이를 혼기가 꽉 찻다고 한건 공녀 징발을 피하기 위한 고려의 조혼풍습때문인데... 아버지를 생각할 마음이 있으면 혼사를 거절할게 아니라 오히려 받아들여서 처가살이를 하는게 맞음... 16 17 18세 까지 계속 미혼인 상태로 있으면 공녀로 끌려갈 확률이 높은데 이억만리 원나라로 끌려가는거 보단 결혼을 하는걸 택했어야죠.. 또 하나는.. 심청이를 공녀라고 주장하는 근거에 대해서 심봉사가 엄청난 제물을 받았다....라고 써놨는데.. 공녀는 말그대로 공녀입니다. 차출할거에요 공녀 갔다고 보상 안줍니다... 공녀의 공貢 자는 세금의 개념인데 세금 천원 냈다고 만원 돌려주나요 그 뒤부터는 사실 그냥 망상 수준이라 딱히 더 말할것도 없넹

루리웹-47415080 | 15.04.12 01:22

이거 산다이바나시임ㅋㅋㅋ 당연히 허술할수 밖에요 ㅋㅋ

랍비안 | 15.04.12 01:31

위에 [ ▶◀철쇄아 ] 님 글 안읽으셨져?

Korangar | 15.04.12 04:47

철쇄아님이 제시한건 원전과 그에 기반한 해석이고 리플 쓰신 님은 그거 없이 그냥 알려진 심청전에 따라 분석하신 거 같고

포닐링구스 | 15.04.12 05:02

루리웹-47415080님은 역사 해석을 너무 타이트하게 받아들이시는 것 같습니다. 심청전은 "송나라 말년에 황주 도화동에 한 사람이 있었는데, 성은 심이요, 이름은 학규였다" 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굳이 따지자면 배경은 송나라입니다만, 그것은 심청전의 작가가 이야기를 끌어가기 위해 만들어낸 도구적 설정일 뿐입니다. 17-18 세기 조선의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여러 구전 설화 등의 도구적 설정을 끌어들여 만들어지 이야기입니다. 곡성 관음사의 원홍장이 기원적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고, 부가적으로 끼어든 시높 중에 기황후의 스토리가 있을 수 있다는 정도입니다. 역사적 추론을 가능성 이상으로 판단하는 건 좀 위험하죠

▶◀철쇄아 | 15.04.12 15:10

재미로 보시고... 믿지는 마세요 ㅎ

셀프힐링 태일 | 15.04.12 03:22

재미로 읽어달라는 소설들이 차포 떼어져서 정설인양 퍼지는 경우가 허다하니... ㄷㄷㄷㄷㄷ

나만빼고 수재웹.

집을잃은시세 | 15.04.12 03:56

어째 기억에 있는 글이다 싶어 찾아보니 예전 오유에 올라왔던 글이네요. 11년도 6월에. http://todayhumor.com/?humorbest_359605

노는역III | 15.04.12 05:16

난 이거 완전 억지 같아서 볼때마다 굉장히 어색하던데

sanare | 15.04.12 08:22

알려진거랑 원전이랑 다른케이스도 제법 많죠 대표적으로 신데렐라가 있고. 까마귀가 눈알을 파먹는다던가, 억지로 신은 유리구두가 살이 파여 피투성이가 된다던가 하는 .. 그림형제의 동화는 말이 동화지 표현력이 잔인해서 수정된게 많은듯.

세페1 | 15.04.12 09:14

솔까 외국대학에서는 넘 엉뚱하게 말하지 않는 이상은 저런 추론정도는 교수들이 신선하게 받아 들일텐데 과연 대한민국 크라스인가?

루리웹-1523471955 | 15.04.12 10:08

나와 다른건 틀린거

그라함 게이커 | 15.04.12 11:41

교수도 재밌었다고 하면서 백지답안만 안내면 수업 프리패스 시켜주겠다는데 그게 신선하게 받아들인게 아니면 뭐죠

Munsanism | 15.04.12 13:59

원의 수도인 대도는 지금의 북경인데 엄청난 거리라고 하긴 그렇네요. 개성에서 출발하면 걸어서 보름길인데요?

오토바이꼬마 | 15.04.12 10:08

어..추천을 눌렀더니.. 이미 추천하셨습니다..

파꼬 | 15.04.12 14:26

이런거에 죽자사자 들이 받으면서 정작 드라마 기황후는 그냥 드라마로 보면 되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죠아마

너무 재미있게 봤습니다!

gmlckd2 | 15.04.15 09:25

우와 이걸 이렇게....ㅊㅊ

YND티오 | (IP보기클릭)39.113.***.*** | 20.09.17 14:20
댓글 76
1
위로가기
7회 희망의나무 | 추천 0 | 조회 97 | 날짜 2024.06.04
시시한프리즘 | 추천 5 | 조회 898 | 날짜 2024.05.30
Ygolonac | 추천 4 | 조회 684 | 날짜 2024.05.30
uspinme | 추천 9 | 조회 1541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17 | 조회 2716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 | 조회 392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10 | 조회 2568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 | 조회 355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 | 조회 836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13 | 조회 3856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2 | 조회 298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4 | 조회 315 | 날짜 2024.05.29
uspinme | 추천 5 | 조회 332 | 날짜 2024.05.29
NGGN | 추천 2 | 조회 507 | 날짜 2024.05.29
평범학생 | 추천 103 | 조회 14904 | 날짜 2024.05.28
Ygolonac | 추천 6 | 조회 440 | 날짜 2024.05.28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263 | 날짜 2024.05.27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124 | 날짜 2024.05.27
인테리어보수 | 추천 0 | 조회 385 | 날짜 2024.05.26
루리웹-0941560291 | 추천 4 | 조회 442 | 날짜 2024.05.26
루리웹-4964138573 | 추천 0 | 조회 238 | 날짜 2024.05.24
신 사 | 추천 8 | 조회 1685 | 날짜 2024.05.23
NGGN | 추천 5 | 조회 1495 | 날짜 2024.05.23
월돚하면서루리웹하기 | 추천 54 | 조회 8762 | 날짜 2024.05.22
빈센트Vincent | 추천 4 | 조회 1442 | 날짜 2024.05.22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233 | 날짜 2024.05.21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323 | 날짜 2024.05.21
루리웹-0016560573 | 추천 0 | 조회 277 | 날짜 2024.05.21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