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질문] 폴리 퍼티와 에폭시 퍼티의 차이

일시 추천 조회 28088 댓글수 5 프로필펼치기


1

댓글 5
BEST
일단 가장 큰 차이는 성분입니다. 에폭시 퍼티는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티고, 폴리퍼티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티입니다. 주성분에 따라서 퍼티의 성질도 달라지죠. 일단 평균적인 강도가 에폭시 퍼티가 더 좋습니다. 다만 혼합되는 부가 성분에 따라서 경도와 강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굳으면 돌처럼 단단해 지는 것도 있지만 단단한 고무처럼 물컹거리는 것도 있죠. 그래도 일반적으로는 에폭시 퍼티가 더 강도가 높습니다. 또한 에폭시 퍼티는 강도가 높으면서 접착력도 높은 편에 속해서 충격등에 강합니다. 특히 에폭시 접착제와 같은 종류는 상당한 접착력과 더불어 강력한 강도와 경도를 자랑하죠. 대표적으로 믹스앤 픽스 같은 종류를 들 수 있습니다. 강도가 높은 것은 반대로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됩니다. 쉽게 잘라지거나 갈리지 않는 다는 말이죠. 그래서 에폭시 퍼티를 가공할 때는 좀더 강력한 절삭공구를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초경바를 사용하는 전동공구를 추천합니다. 주성분인 에폭시 퍼티는 경화하면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약간의 팽창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제품에 따라서 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제품도 있습니다. 이런 제품은 전문 조형용으로 발매되는 종류로 가격이 꽤 높은 편에 속하죠. 매직 서컬트와 같은 레진(에폭시 퍼티)가 여기에 속하는데,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제품입니다만, 국내에서는 구하기가 조금 어려울 겁니다. 에폭시 퍼티는 주로 조형용으로 사용합니다. 점토처럼 주물러서 모양을 만들거나 굳힌 후에 깍아내는 등의 작업에 적합하죠. 자체 강도가 높고 조형용 퍼티중에서는 사용이 편하기 때문에 원형제작등에 두루두루사용됩니다. 응용해서 건프라의 개조등에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폴리퍼티는 폴리에스테르 퍼티를 말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성상 표면이 곱게 형성되고 가공성이 높으며 경화 전후에 변형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표면이 곱다는 것은 폴리퍼티의 입자가 그만큼 곱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가공성이 좋다는 것은 잘 잘리고 잘 갈린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강도가 약하다는 말도 되지만, 경도는 꽤 좋은 편입니다. 경화 전후에 수축이 없어서 레진 킷의 접합부분이 잘 맞지 않을 때 수정하는데 사용이가능합니다. 즉, 한쪽에 폴리 에스테를 퍼티를 충분히 바르고 다른쪽에 바세린등의 이형제를 바른후에 꾹눌러서 고정시키고 굳은 후에 떼어내면 접합면이 완전하게 맞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간단한 복제 작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석고등을 사용해서 적당히 부품의 틀을 만들고, 이형제를 안 쪽에 바른후에 폴리퍼티+락카시너를 한 상태에서 부어주고 굳혀주면 왠만큼 간단한 모양은 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가동부위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을 복제하는 것은 그다지 효용성이 없습니다. 폴리에스테르 퍼티는 입자가 곱기 때문에 표면 수정용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가공성도 좋고 복제도 가능하므로 조형용으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강도를 요하지 않는 부분이면 프라모델 중에 퍼티를 사용하는 부분에는 대부분 대응이 가능할 정도로 용도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죠, 추천드리는 폴리퍼티는 스베스베라는 제품으로 현제 국내에서 판매하는 폴리퍼티 중에서는 입자가 가장 고운 제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디나인 | 09.01.18 00:00
BEST

일단 가장 큰 차이는 성분입니다. 에폭시 퍼티는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티고, 폴리퍼티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티입니다. 주성분에 따라서 퍼티의 성질도 달라지죠. 일단 평균적인 강도가 에폭시 퍼티가 더 좋습니다. 다만 혼합되는 부가 성분에 따라서 경도와 강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굳으면 돌처럼 단단해 지는 것도 있지만 단단한 고무처럼 물컹거리는 것도 있죠. 그래도 일반적으로는 에폭시 퍼티가 더 강도가 높습니다. 또한 에폭시 퍼티는 강도가 높으면서 접착력도 높은 편에 속해서 충격등에 강합니다. 특히 에폭시 접착제와 같은 종류는 상당한 접착력과 더불어 강력한 강도와 경도를 자랑하죠. 대표적으로 믹스앤 픽스 같은 종류를 들 수 있습니다. 강도가 높은 것은 반대로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됩니다. 쉽게 잘라지거나 갈리지 않는 다는 말이죠. 그래서 에폭시 퍼티를 가공할 때는 좀더 강력한 절삭공구를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초경바를 사용하는 전동공구를 추천합니다. 주성분인 에폭시 퍼티는 경화하면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약간의 팽창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제품에 따라서 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제품도 있습니다. 이런 제품은 전문 조형용으로 발매되는 종류로 가격이 꽤 높은 편에 속하죠. 매직 서컬트와 같은 레진(에폭시 퍼티)가 여기에 속하는데,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제품입니다만, 국내에서는 구하기가 조금 어려울 겁니다. 에폭시 퍼티는 주로 조형용으로 사용합니다. 점토처럼 주물러서 모양을 만들거나 굳힌 후에 깍아내는 등의 작업에 적합하죠. 자체 강도가 높고 조형용 퍼티중에서는 사용이 편하기 때문에 원형제작등에 두루두루사용됩니다. 응용해서 건프라의 개조등에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폴리퍼티는 폴리에스테르 퍼티를 말하는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성상 표면이 곱게 형성되고 가공성이 높으며 경화 전후에 변형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표면이 곱다는 것은 폴리퍼티의 입자가 그만큼 곱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가공성이 좋다는 것은 잘 잘리고 잘 갈린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강도가 약하다는 말도 되지만, 경도는 꽤 좋은 편입니다. 경화 전후에 수축이 없어서 레진 킷의 접합부분이 잘 맞지 않을 때 수정하는데 사용이가능합니다. 즉, 한쪽에 폴리 에스테를 퍼티를 충분히 바르고 다른쪽에 바세린등의 이형제를 바른후에 꾹눌러서 고정시키고 굳은 후에 떼어내면 접합면이 완전하게 맞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간단한 복제 작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석고등을 사용해서 적당히 부품의 틀을 만들고, 이형제를 안 쪽에 바른후에 폴리퍼티+락카시너를 한 상태에서 부어주고 굳혀주면 왠만큼 간단한 모양은 복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가동부위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을 복제하는 것은 그다지 효용성이 없습니다. 폴리에스테르 퍼티는 입자가 곱기 때문에 표면 수정용으로 많이 사용하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가공성도 좋고 복제도 가능하므로 조형용으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강도를 요하지 않는 부분이면 프라모델 중에 퍼티를 사용하는 부분에는 대부분 대응이 가능할 정도로 용도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죠, 추천드리는 폴리퍼티는 스베스베라는 제품으로 현제 국내에서 판매하는 폴리퍼티 중에서는 입자가 가장 고운 제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디나인 | 09.01.18 00:00
디나인

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

MIAMI | (IP보기클릭)211.198.***.*** | 18.07.30 03:31

디나인//헛; 이렇게 길게까지;;; 답변해주신 정성에 정말 감사합니다 차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게 적어주셔서 좋네요. 모리모리하고 스베스베인가 하는 일본에서 나온 퍼티도 보이길래 궁금했는데 스베스베는 폴리었군요. 스베스베로 하나 사봐야겠습니다. 다시 한번 정말 감사드립니다

세이쿤 | 09.01.19 00:00

약간의 추가설명을 하자면... 타미야제 베이직퍼티: 퍼티건조 속도가 빠르고(수십분이면 건조) 비교적 쓰기 편하지만 강도가 매우 약하고 성분이 끈적끈적한 것 이기때문에 형태조형으로는 못 습니다. 보통 가는 접합선이나 흠집을 매울때 씀. 타미야제 에폭시퍼티 퀵타입: 4~6시간 정도면 경화가 끝나고 접착성, 강도 모두 높지만 강도가 너무 높아 사포질이 잘 안되는게 문제 입니다. 타미야제 에폭시퍼티: 일반 플라스틱과 비슷한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조같은걸 할 때 사포질 하기 좋습니다. 다만 경화가 끝나려면 24시간을 기다려야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빨간토끼™ | 09.01.19 00:00

빨간토끼™//에폭시 퍼티끼리 차이나봐야 별 차이 없을줄 알았는데 디나인님 말씀처럼 종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다르네요;; 관절 만들고 조형하려면 2개 정도는 사야되니 돈 좀 깨지겠군요;;

세이쿤 | 09.01.19 00:00
댓글 5
1
위로가기
인증글
공지
_[RULIWEB] | 추천 11 | 조회 51664 | 날짜 2017.12.31
요고 | 추천 3 | 조회 26494 | 날짜 2017.12.31
Glider-X | 추천 2 | 조회 25763 | 날짜 2017.12.30
GP01코우 우라키 | 추천 4 | 조회 47315 | 날짜 2017.12.30
비오네 | 추천 2 | 조회 40022 | 날짜 2017.12.30
피자맛붕어빵 | 추천 2 | 조회 27097 | 날짜 2017.12.30
simsimhaee | 추천 4 | 조회 52221 | 날짜 2017.12.30
루리웹-2798814422 | 추천 4 | 조회 29171 | 날짜 2017.12.30
루리웹-4947157564 | 추천 4 | 조회 28009 | 날짜 2017.12.29
드옹 | 추천 0 | 조회 7590 | 날짜 2017.12.29
통치꽁조림 | 추천 0 | 조회 6475 | 날짜 2017.12.28
가라핏카츄우 | 추천 0 | 조회 16612 | 날짜 2017.12.28
박정우 | 추천 1 | 조회 4569 | 날짜 2017.12.28
곤충들의아버지파브르 | 추천 0 | 조회 6757 | 날짜 2017.12.28
simsimhaee | 추천 0 | 조회 4891 | 날짜 2017.12.28
피자맛붕어빵 | 추천 0 | 조회 3605 | 날짜 2017.12.28
울집앞레간자 | 추천 0 | 조회 3767 | 날짜 2017.12.28
앸시스 | 추천 0 | 조회 6145 | 날짜 2017.12.28
스펑스 | 추천 0 | 조회 4358 | 날짜 2017.12.27
우윙~ | 추천 0 | 조회 4265 | 날짜 2017.12.27
해리찡 | 추천 0 | 조회 4992 | 날짜 2017.12.27
루리웹-8195862010 | 추천 0 | 조회 6940 | 날짜 2017.12.27
드옹 | 추천 0 | 조회 4503 | 날짜 2017.12.27
루리웹-1010863314 | 추천 0 | 조회 2160 | 날짜 2017.12.27
피자맛붕어빵 | 추천 0 | 조회 1662 | 날짜 2017.12.27
Scale97 | 추천 0 | 조회 852 | 날짜 2017.12.27
Dok9 | 추천 0 | 조회 3226 | 날짜 2017.12.27
뚜앗뚜앗 카루고스 | 추천 0 | 조회 1030 | 날짜 2017.12.27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