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동아시아에선
임금, 성현, 조상과 부모의 이름 한자를 겹치지않게하는 피휘는 중요한 문제였는데
이는 고려 후에 나온 조선또한 무제였는데
태조의 이성게라는 이름의 성(成) 계(桂) 둘다 흔히 쓰는 한자라 문제가 되었는데
결국 태조는 성게에서 조선의 아침 조에 맞춘 단(旦, 아침 단)으로 개명했고
이후 태조의 이 문제는 후로 왕위를 잇는 두 아들들에게도 이어졌는데
이들의 한자도 역시나 쓰이는 한자들이기 떄문에
정종은 방과에서 경(曔)으로 개명했고
태조는 그냥 쓰라고 냅둬서 대놓고 방원으로 붙이는 경우만 아니면 넘어갔다.
그리고 훗날 이 피휘 자체를 얹짢아 하는 사람도 등장했는데
영조의 이름은 금자엿는데 이 밝을 금(昑)자도 생활 한자였기에
피휘없이 그냥 쓰라고 그냥 즉위 내내 자기 이름을 안알리고 백성들이 모르게 살아왔다.
백성에게 하는 상냥함을 반이라도 했으면 세자가 그렇게 안됐을 터인데...
솔까 사람들이 욕하는거 듣기 싫어서 피휘 이 지1랄한거라 병1신 같다고 생각함
왕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게 하기위함이기도 하지 왕 이름 욕해놓고 아니 난 왕을 욕한게 아니라 옆집놈 욕한거여 할수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