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학과’ 전공의 학사, 석사, 박사, 교수의 차이점?
자기 전공분야에 매몰된 나머지 타 전공에 대한 이해는 물론 소통과 교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극단적인 폐해와 역기능을 파리학과 메타포에 비추어 설명해본다. 여러분이 대학의 파리학과를 졸업한 파리학사라고 가정해보자. 파리학사는 ‘파리개론’부터 배우기 시작해서 파리 부위별 각론으로 나눠서 배우기 시작한다. ‘파리학 개론(槪論)’은 보통 파리전공과 관련해서 처음 오리엔테이션 성격을 띠는 일종의 입문 교과목이다. 보통 ‘~개론’은 학생들에게 감동적인 교과목인 경우는 드물다. 이제까지 개론 책을 읽고 너무나 감동적이어서 눈물을 흘렸거나 지적 분개의식을 느낀 사람은 거의 없다. 왜냐하면 ‘개론’은 ‘개’소리하는 ‘론’이라는 약자라는 설이 있다. 개론서는 저자의 지적 고뇌나 체험적 노하우, 지적 분개의식이나 자기 목소리가 담겨있지 않다. 개론서 저자들간에 서로가 서로의 책을 인용하면서 교묘한 편집기술의 결과로 탄생하는 책이 바로 개론서다. ‘파리학 개론’ 수업을 들은 파리학과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이제 ‘파리 앞다리론’ ‘파리 뒷다리론’ ‘파리 몸통론’ 등 ‘파리학 각론’을 배우고 졸업하기 이전에 파리를 분해․조립하고 파리가 있는 현장에 가서 인턴십 등 실습을 한 다음 파리학사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졸업한다. 파리학과를 졸업하면 “이제 파리에 대해서 모든 것을 알 것 같다”라고 말한다. 사실 파리학과 학생들이 말하는 이제 모든 것을 알 것 같다는 말은 파리에 대해서 들은 적은 있으나 설명할 수 없는 상태다. 이런 점에서 파리학과 학생들은 파리에 대해서 잡다하게 들은 것은 많으나 설명할 수 없는 절름발이 지식인인 셈이다. 파리 부위별로 배웠던 ‘파리학 각론’이 ‘파리학 개론’으로 다시 통합되지 않는 부분분석과 분해 중심의 교육과정은 파리에 대해서 배웠지만 진정 파리를 알지 못하는 학생들을 대량으로 양산하는 주범이다.
파리에 대해서 전문지식이 부족한 파리학사는 좀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하기 위해 파리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한다. 파리석사는 파리 전체를 연구하면 절대로 졸업할 수 없기 때문에 파리의 특정 부위, 예를 들면 ‘파리 뒷다리’를 전공한다. 파리 뒷다리를 전공하는 파리학과 대학원생은 파리 뒷다리를 몸통에서 분리, 실험실에서 2년간 연구한 다음 「파리 뒷다리 관절상태가 파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나 「파리 뒷다리 움직임이 파리 몸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파리 석사학위를 받는다. “이제 무엇을 모르는지 알 것 같다”고 깨달으면 주어지는 학위가 바로 파리 석사학위다. 파리 뒷다리 전공자에게 절대로 파리 앞다리를 물어봐서는 안 된다. 파리 뒷다리 전공자는 파리 앞다리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파리 뒷다리를 전공하는 교수님에게 자꾸 파리 앞 다리에 관한 질문을 하면 졸업이 안 될 수도 있다. 전문가는 ‘전문적으로 문외한인 사람’ 또는 ‘그것밖에 모르는 사람’이다. 파리 뒷 다리 전공의 교수님이나 석사학위 취득자에게 파리 앞다리는 또 다른 전공영역이다. 파리 앞 다리 전공자와 뒷다리 전공자간 파리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위해 자주 만나서 각자의 연구결과를 갖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공영역별 연구대상은 물론 연구방법론이나 방법의 차이로 각기 다른 연구결과를 생산하기 때문에 다른 전공자들이 함께 논의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전공별 최선을 다해서 연구하지만 결국 전공 이전의 전체, 예를 들면 파리에 대해서는 점점 알길이 없는 아이러니가 존재한다. 파리 뒷다리를 전공한 석사의 더욱 심각한 문제점은 파리 뒷다리를 파리 몸통에서 떼어내서 독립적으로 연구한다는 점이다. 파리 뒷다리는 파리 몸통에 붙어있을 때 의미가 있다. 몸통에서 떨어진 파리 뒷다리는 이미 파리 뒷다리로서의 생명성을 상실한 죽은 다리다. 파리 뒷다리를 파리 몸통과 관계없이 분석하고 이해할 경우 파리 뒷다리를 알 길이 없다. 항간에 ‘석사’(碩師)의 ‘석’(碩)자가 돌 ‘석’(石)자라는 말도 있다. 석사학위를 받아도 자기 전공 이외에는 별로 아는 바가 없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석사’(石士)는 그래서 ‘돌 머리’ 또는 ‘돌대가리’라는 설도 나돌고 있다.
파리석사는 파리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전공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파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한다. 파리학과 박사과정생은 파리 뒷다리를 통째로 전공해서는 절대로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없다. 이제 파리학과 박사과정생은 석사학위보다 더 세부적인 전공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면 파리 박사학위 취득에 필요한 전공 부위는 ‘파리 뒷다리 발톱’이 될 수 있다. 파리 뒷다리를 전공한 석사과정은 파리 뒷다리 발톱을 더욱 전문적으로 깊이있게 공부하기 시작한다. 박사학위 논문을 쓰기 전에 파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생은 ‘전국추계 파리발톱 학술대회’에 나가서 그동안 연구한 「파리 뒷다리 발톱 성분이 파리 발톱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부논문을 발표한다. 보통 박사학위 논문 이전에 학술대회에 나가서 부논문을 발표하거나 전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박사학위 논문을 쓸 자격을 부여한다. 파리발톱 학술대회에서 파리발톱에 관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는 예비 박사과정 후보나 전문 학자들 간에도 커뮤니케이션이 안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전공영역별로 사용하는 전문용어가 다르고 전문용어가 다르면 동일한 전공영역 내에서도 누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파리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생은 이런 부논문을 더욱 발전시켜 「1년생 파리 뒷다리 발톱의 성장패턴이 파리 먹이 취득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파리 박사학위는 “나만 모르는지 알았더니 남들도 다 모르는군”이라는 깨달음이 오면 주어지는 학위다. ‘박사’(博士)의 ‘박’’(博)자는 얇을 ‘박’(薄)자라는 설도 있다.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돌(石)을 계속 갈다보면 돌이 얇아져서 ‘박사’(薄士)가 된다는 설이 지금까지 나온 가장 유력한 설이다.
이제 파리학과 교수는 보다 세분화된 전공을 선택해야 교수사회로 입문할 수 있다. 파리를 통째로 전공한 파리학과 학사, 파리 뒷다리를 전공한 파리학 석사, 파리 뒷다리 발톱을 전공한 파이학 박사보다 더 세부전공 부위를 선택해야 한다. 교수가 전공하는 파리 부위는 ‘파리 뒷다리 발톱에 낀 때’다. 파리발톱에 낀 때를 전공하는 교수들도 까만 때를 전공하는 교수, 누런 때를 전공하는 교수, 누르스름한 때를 전공하는 교수, 까무잡잡한 때를 전공하는 교수 등 발톱에 때의 색깔별로 파리 발톱 때와 관련된 학파가 다르다. 학파별로 다종다양한 파리 발톱의 때 관련 논문이 양상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누런 파리 발톱 때의 화학성분이 파리발톱 성장과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이 탄생되기도 한다. 파리 뒷다리 발톱에 낀 때의 역사, 예컨데 30년산 때나 21년산 때를 전공하는 교수, 18년산이나 15년산 또는 12년산 때를 전공하는 교수로 전공분야가 나뉜다. 30년산 파리 발톱의 때를 전공하는 교수는 12년산 파리 발톱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별로 없다. 오로지 30년산 파리 발톱에 낀 때를 연구하기 때문이다. 동일한 파리 뒷다리의 때를 전공하지만 전공영역이 달라서 파리 뒷다리의 때를 전공하는 교수들끼리도 사용하는 전공용어상의 차이로 인하여 커뮤니케이션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문제의 심각성은 자신이 연구하는 파리 발톱의 때인지 돼지 발톱의 때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파리 발톱의 때를 색깔이나 역사에 따라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하기 때문에 나중에는 자신이 연구하는 때의 정체성에 대해서 모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렇게 교수가 되면 “어차피 모르는 것, 끝까지 우겨야 되겠다”라는 말을 하게 된다. 이제 파리학과 교수는 파리에 대한 쉬운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논의하기 때문에 아주 어렵게 설명하기 시작한다. 교수에 대한 사회적 정의가 ‘쉬운 이야기를 어럽게 이야기하는 사람’이라고 떠도는 이유를 의미심장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
이런 대학원생적 입장에서 가끔 상식이라고 도는 것들을 보면
'일반인이 '파리'를 설명할수 있다고?
싶은 내용들이 종종 튀어나옴.
돋보기좀 가져와라 거
일부러 굳이 읽을필요 없어서 줄여놓은거야 궁금하면 메모장에 복붙해서 보셈
국어시험 지문 읽는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