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에스트로, 선생 순애파-
(미메시스가 어쩌구 저쩌구)
-유게이, 수영복 호시노 보고 유입된 유게이-
"듀얼코어 대가리놈 대사 존나 기네… 뭐 재미는 있구만."
"근데 미메시스라는 게 대체 뭐야? 복제? 말을 왜 이리 어렵게 해?"
-유우키 노아, 선생 불륜파-
"그야 복제랑은 다른 뜻이니 그렇죠. 제가 설명해드릴게요!"
"있잖아. 너도 노아가 맞기는 한데."
"브라이트 노아나 노아 할아버지나 카이바 노아도 설명을 뺏었는데 뭘 그러세요? 마침 블루아카 드립으로 시작했고 그럼 설명 들어갑니다~"
"미메시스란 고대 그리스, 플라톤이 제창하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정립한 개념이에요."
"mimesis라고 쓰는데, 모방자, 배우를 뜻하는 mimos라는 단어에서 따온 거랍니다."
"응? 배우?"
"네, 배우요. 연기자라고도 할까요? 고대 그리스 예술과 관련된 단어랍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고대 그리스의 예술에 대해 간략하게 짚고 갈게요."
"고대 그리스에서는 인간의 육체를 신성하다고 여기는 문화가 있었어요."
"그리스 신화 등에서 보이듯이 신과 인간의 형상에 차이가 없다고 여겼기에, 인간의 모습이 곧 신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거죠."
"이 관념 덕에, 고대 그리스 예술에서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에는 큰 구분이 없었다고 해요."
"이상적인 인간의 몸을 묘사하면 그것이 곧 신의 모습이니 성스러운 것이고, 인간의 조각상이니 곧 세속적인 것이 되니까요."
"성스러우면서 동시에 세속적인 예술이라, 신기하네… 근데 미메시스랑 이게 뭔 상관이야?"
“이러한 신기한 예술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나온 개념이 바로 미메시스거든요.”
"플라톤은 "이데아론"이라는 개념을 주장한 철학자에요. 현실은 모두 “이데아”라는 절대적인 진리의 모방품에 불과하지만, 동시에 그렇기에 현실은 이데아의 모습을 조금씩 나눠 갖고 있다는 주장이죠.”
"예를 들어 “삼각형”이라는 개념은 각이 세 개인 도형을 의미하지만,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직각삼각형 등등은 모두 모양이 조금씩 다르잖아요?”
“하지만 그렇기에, 여러 삼각형들을 보고 삼각형이라는 건 각이 세 개인 도형이구나 라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고요.”
"그렇구만… 어? 아까 말했던 조각상이랑 비슷하네? 신의 모습을 인간이 조금씩 닮았으니까, 인간의 모습을 조각하면 그게 바로 신의 모습인 거라며?"
"네! 바로 그거에요! 플라톤은 이런 식으로 현실이 진리를 닮았듯이, 예술은 같은 원리로 현실을 닮는다고 여겼어요. 이러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단어가 바로 “미메시스”에요.”
"흐음… 하지만 좀 이상한게 있는데?"
"물론 현실을 모사하는 그림은 많지. 인물화나, 풍경화나…"
"하지만 이런 건 어때? 이런 추상화 같은 건 현실에 존재하지 않잖아! 이런데도 예술은 현실을 모방하는 거라고 할 수 있는 거야?"
"좋은 지적이네요! 그럼 의문을 풀기 위해,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정립한 미메시스 개념으로 넘어가 보죠!"
"아리스토텔레스는 절대적 진리가 존재한다는 이데아론을 부정하고 우리 눈으로 보이는 "형태", 즉 현실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니만큼, 그 중요한 현실을 모방해내는 예술의 원리인 "미메시스"는 당연히 가치가 올라갈 수 밖에 없었죠."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은 필연적으로 어떠한 현실의 가장 좋은, 이상적인 부분만을 모방하여, 그것을 예술의 틀에 넣어 만든다고 주장했어요."
"...뭔 소리야?"
"좀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볼까요? 게임 좋아하시죠? 게임을 예시로 들어 보죠!"
"게임, 이를테면 데스티니나 둠 이터널같이 인류가 외계인이나 악마의 침공을 받아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면, 유게이군은 거기서 용감하게 싸울 수 있나요?"
"...솔직히 말하면 쫄아서 튀겠지? 난 영웅도 군인도 아닌걸."
"안 그런 사람도 분명 있겠지만 대부분이 비슷할 거에요. 설령 용기를 갖고 싸운다 해도 능력이 부족해 패배해서 엑스트라처럼 죽어버릴 수도 있죠. 이렇듯 사람은 완벽하지 못해요."
"하지만 게임의 캐릭터들은 어떤가요? 능숙하게 괴물들과 맞서 싸우고, 전우를 돕고, 인류를 지켜내요. 결과적으로 영웅이 되죠."
"아하! 이제 이해가 되는구만, 즉 "인류를 구하는 영웅"이라는 이상적인 모습을 모방해서, 게임이라는 예술을 통해 구현했다는 거지?"
"바로 그거에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미메시스”를 통해 현실의 이상적인 모습을 예술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볼까요?"
"미메시스란, 플라톤이 제창한 개념으로, 예술이 현실을 모방하는 것을 의미해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미메시스 개념을 활용해서, 예술은 현실의 이상적인 형태를 모방하는 행위로 평가했답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좋은 예술이란, 현실의 좋은 측면을 얼마나 잘 모방해냈느냐로 결정된다고 볼 수도 있겠네요.”
"즉 미메시스란 건 우리가 꿈꾸거나 옳다고 여기는 이상을 모방한다고 해서 모방이라 불리는 거지, 현실을 그대로 복사하기 때문에 모방인 게 아니구나!"
"그렇죠! 아까 유게이군이 말한 추상화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추상화란 현실에 존재하는 점, 선, 면 색 등의 표현을 통한 아름다움을 위해,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필요한 것만을 미메시스해서 그려낸 그림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저희의 대화도 미메시스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죠."
"미메시스에 대해 설명한다는 내용에서, 이상적인 "이해의 과정"을 노아위키라는 틀에 넣고 미메시스해서 대화문 형식으로 풀어나간 거라고 할까요?"
-히메사카 노아, 는 죽은거지-
"틀렸어!! 노아쨩이 안 나왔으니 노아위키가 아니란 말이야!!!"
"그치만, 저 원래도 뺏는 밈이 있었는걸요~"
복원용임
노아야 3줄 요약
1. 나무위키에 2. 쓰려고 복원한거라 3. 어차피 3줄 넘는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