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잡담] 내가 이해한 HBM 방식

일시 추천 조회 595 댓글수 6 프로필펼치기


1

댓글 6

삼성은 ㅂㅈ 가없었구나

ump45의 샌드백 | (IP보기클릭)49.161.***.*** | 24.05.24 23:05

냉각은 어떻게하려나

루리웹-0873801984 | (IP보기클릭)211.37.***.*** | 24.05.24 23:05

그건 메모리 자체를 생산하는 방식이고 HBM은 대역폭을 늘리는 방향을 핀당 전송속도를 늘리는게 아닌 핀개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잡은거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07
날으는붕어빵

일반적인 DDR, LPDDR, GDDR의 경우 채널당 칩 하나가 할당되고 여기에 데이터핀 개수가 16개~32개 수준에 다른 핀 다 합쳐도 40여개 수준인데 HBM은 HBM3 기준 채널당 64개 +@에 칩 하나에 16개 채널이 묶여있음. 그래서 데이터핀만 1024개, 커맨드 어드레스 핀까지 더하면 거기서 +@ (기억 상 채널당 리페어용이나 다른 목적을 위한 핀까지 다 합치면 아마 100개 쯤 될거) 근데 이렇게 많은 신호를 기존 패키지/PCB에서 신호 선로를 연결하는 건 불가능에 가까움. 그래서 여기서 같이 나온 기술이 실리콘 인터포저, 2.5D 인터포저로 반도체칩 생산 공정의 BEOL(금속 배선) 공정을 갖다가 씀. 일반적인 메모리 - soc간 연결이 (soc 다이) - (soc 패키지) - (pcb) - (디램 패키지) - (디램 다이) 이 순이었다면, HBM의 경우 (soc 다이) - (인터포저) - (디램 다이) 이렇게 감. 이게 하나의 패키지가 되어있고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10

저거 높이는 어떻게 되는거야. 기존 보드에 들어가나?

🎗혁명의미노리🎗 | (IP보기클릭)172.226.***.*** | 24.05.24 23:07
🎗혁명의미노리🎗

높이도 제덱 스펙으로 정해져있음 그리 높지 않음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10
댓글 6
1
위로가기
민트붐 | 추천 0 | 조회 1 | 날짜 12:07
LVCIVS BRVTVS | 추천 0 | 조회 8 | 날짜 12:07
뉴고냥 | 추천 0 | 조회 38 | 날짜 12:07
빅갓미오 | 추천 2 | 조회 23 | 날짜 12:07
은시계 | 추천 2 | 조회 22 | 날짜 12:07
루리웹-1560510252 | 추천 0 | 조회 5 | 날짜 12:07
외계고양이 | 추천 0 | 조회 7 | 날짜 12:06
황혼의 여신 | 추천 0 | 조회 41 | 날짜 12:06
키웠으니 아끼라 | 추천 1 | 조회 17 | 날짜 12:06
토코♡유미♡사치코 | 추천 0 | 조회 7 | 날짜 12:06
이나맞음 | 추천 1 | 조회 40 | 날짜 12:06
나루가소점프 | 추천 1 | 조회 17 | 날짜 12:06
Pierre Auguste | 추천 0 | 조회 44 | 날짜 12:06
RunRun | 추천 2 | 조회 34 | 날짜 12:06
박쥐얼간이 | 추천 0 | 조회 11 | 날짜 12:06
웰트 양 | 추천 0 | 조회 18 | 날짜 12:06
당신의곁으로기어오는혼돈냐루코양 | 추천 0 | 조회 11 | 날짜 12:06
호프도꼬 | 추천 1 | 조회 60 | 날짜 12:06
성기에뇌박음 | 추천 1 | 조회 42 | 날짜 12:06
ELEMENTALMASTER | 추천 3 | 조회 69 | 날짜 12:06
미식이🥐🐏 | 추천 1 | 조회 61 | 날짜 12:06
영길voice | 추천 0 | 조회 15 | 날짜 12:06
0M0) | 추천 0 | 조회 119 | 날짜 12:05
Winterwind☄️🔥⚒ | 추천 1 | 조회 98 | 날짜 12:05
Elpran🐻💿⚒️🧪🐚 | 추천 4 | 조회 95 | 날짜 12:05
황혼의 여신 | 추천 2 | 조회 110 | 날짜 12:05
Zoltan | 추천 0 | 조회 39 | 날짜 12:05
HMS Belfast | 추천 1 | 조회 66 | 날짜 12:05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