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평화로 국가 대 국가 규모의 전쟁, 대전략을 어떻게 치뤄야 하는지 잊어버림
임진왜란도 많아야 몇만 수준으로 예측하고 어느정도 대비한 경상도쯤에서 막다가 막판에 모아서 한타 후려치면 끝나겠지하는 정도로 준비
조선사에서 10만 가까운 군세를 단독 지휘한 처음이자 마지막 장군이 바로 "태조 이성계"임
이후는 많이 주어져도 2만 3만 정도고
구성군이 한 5만정도 반란 진압하느라 동원한적은 있지만 그게 거의 최고치였음
그도 그럴게 내부 반란 빼면 주위에 그 정도 군세를 동원할 나라가 없었음
명나라랑 싸울일이 없고
왜국이야 몇천 왜구들이 깔짝대는 정도고
여진도 많아야 1만-2만 정도
그러다보니 대전략 위주의 전쟁 보다는
몇천 단위의 소규모 전쟁에 전술도 그쪽 위주로만 발달함
그래서 임진란 이전 몇천 단위의 전술 위주 전투에선 조선군은 여진이든 왜구든 거의 완벽하게 대응해왔음
탄금대에서 까인 신립도 1천의 기병으로 1만의 여진을 격파한 명장이었고
그런데 막상 10만이 넘는 왜군이 상륙해 밀어닥치자 대전략 수립, 병력의 집중, 운용, 지휘등을 어떻게 해야 할지 우왕좌왕하다가 각개 격파 당하고 쭉쭉 밀림
정반대가 고려 중기
십만 이상의 군세 대응이 너무나도 당연해서 3차 여요 전쟁은 아예 대전략 단위로 유인하되 보급로 격파를 동시에 실시하고 견디다 못해 퇴각하는 거란군에 귀주에서 회전을 강요함
이 전투에 고려는 20만 대군을 한곳에 집결시키고 로한에 빙의한 것처럼 15000의 기병을 갑툭튀 후방 돌격 시켜 거란 군세의 등뼈를 아작냄
조선은 초반에 어어? 하며 털리다가 시간 좀 지나서 정신 차리고 어느정도 대응 능력을 보이며 15만을 뽑아내고
명나라 원군이 오고 바다의 굇수가 왜 수군을 절단내기 시작하면서 한숨 돌리기 시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