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유머] 중국 전기 트럭의 배터리 교체

profile_image
일시 추천 조회 21297 댓글수 60 프로필펼치기

0 분리수거

1

댓글 60
BEST
교환식의 문제는 사후관리와 사고발생시 책임문제, 그리고 차량을 규격화 시켜야 하는 제약이 있음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책임을 어디서 질거냐가 크겠지.
무임승차대상 | (IP보기클릭)59.187.***.*** | 24.05.21 02:01
BEST
역시 나사가 빠져야 중국산이지
루리웹-3526779281 | (IP보기클릭)175.119.***.*** | 24.05.21 01:49
BEST

엘프여고생 | (IP보기클릭)121.186.***.*** | 24.05.21 02:02
BEST
자. 배터리는 전기만 연결하는게 아니에요. 냉각수도 흐른답니다? 몇백킬로그람 쯤 되는 애들을 차량에 볼트로 조였다 풀었다 하믄서 냉각수 하나도 안세어나가게? 그게 됬으면 일론 머스크가 포기 안함
만두공장장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2:06
BEST
저거 하나에 용량이 어느정도 될까
감람도트 | (IP보기클릭)223.62.***.*** | 24.05.21 01:48
BEST
저런 모듈식 단점이 설계상 오는 공차로 인해 견고히 체결이 안됨 모듈 규격을 영원히 바꿀게 아니라면 결국 나중엔 규격 발전에 장애물이 됨 빠르게 운행할 수 있는 대신 교체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함
cherryade | (IP보기클릭)218.37.***.*** | 24.05.21 02:04
BEST
보증금을 왜 내? 그럴바에 그냥 차 안사고 말지.. 보증금이란 이름하에 고객으로부터 기업이 목돈 공짜 대출 받아가려고!?
루리웹-9957243037 | (IP보기클릭)118.32.***.*** | 24.05.21 02:04
BEST

저거 하나에 용량이 어느정도 될까

감람도트 | (IP보기클릭)223.62.***.*** | 24.05.21 01:48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3327322111

잘 만들어야자

Phenex | (IP보기클릭)221.162.***.*** | 24.05.21 01:48
BEST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3327322111

역시 나사가 빠져야 중국산이지

루리웹-3526779281 | (IP보기클릭)175.119.***.*** | 24.05.21 01:49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3327322111

지금은 아직 안정성 때문에 저런 교체식 베터리가 한국에서 보편화되기 힘들 것 같지만 장기적으론 짤에 나온대로 미리 충전된 베터리로 교체하는 방향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을거 같아요. 전기 급속 충전 기술이 발달해도 내연 기관 차에서 기름 충전하 듯 빠르게 충전하기엔 힘들 것 같지만(고압 전기를 베터리에 보내면 저항이 0이 아닌 이상 열이 심하게 발생할 것 같습니다) 베터리 교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건 비교적 쉬워보이니까요.

루리웹-6870151641 | (IP보기클릭)39.117.***.*** | 24.05.21 02:14
루리웹-6870151641

답은 초전도체다!

루리웹-7017156482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2:24
루리웹-6870151641

문제는 어떻게든 공간을 쥐어짜내는게 차인데다가 사이즈도 제각각임. 캐스퍼랑 팰리세이드랑 같은 배터리를 쓸순 없잖슴.. 그렇다고 잘게 나누면 교체 시간이 늘어날텐데 이럼 할필요도 없고... 뭐 어떻게든 위엣것을 해결한다고 쳐도 내구성도 있고 소유권 관련된 문제도 있고 넘어야할 산이 너무많음.

Kerty | (IP보기클릭)175.195.***.*** | 24.05.21 02:41
Phenex

'잘' 만든다는게 엄청나게 힘든거임 배터리가 가벼운 물건도 아니고 500kg 가까이 나가는 물건인데다 굉장히 약한 물건이라서 그럼 무게가 무거우니 차 무게중심때문에 차량 하부에 박아야되는데 이걸 탈착식으로 만드는게 위험성이 너무 큼 기본적으로 탈착을 위해 필요한 부품들때문에 잡아먹는 공간이 커지고 배터리 교체 어셈블리 내구성도 큰 문제임 조금만 노후화되더라도 아래 짤처럼 배터리 탈출이고 잘못되면 배터리가 반쯤 떨어져서 도로 긁으면 차량폭발임 일체형은 그냥 모노코크바디에 안전하게 밀봉해놓으면 끝이지만 탈착식은 필연적으로 차량 하부에서 교체하게 만들어야되는데 이러면 염화칼슘에 의한 부식도 큰 문제가됨 사람이 떼는거라면 노후된 부품들 확인해서 조심히 작업하겠지만 무게가 무게인 만큼 기계가 떼고 붙여야되는데 기계로 탈착하는중에 부식되거나 쩔어서 붙어버린 볼트때문에 배터리 팩 찢기면 폭발사고남 지금도 차량 하부쪽은 타이어 교환 기계처럼 용도에 맞는 기계가 안나오는 이유도 마찬가지임 하부쪽은 필연적으로 부식이 따라와서 일률적으로 작업할수 없기때문에 정비공이 직접 때리고 잘라가면서 작업함 이 모든걸 다 어떠한 미친 천재 엔지니어가 해결한다고 하더라도 배터리 팩을 다 똑같이 만든다? 경차, 소형차, 중형차, 트럭, 버스 전부다 똑같이???? 경차에 들어가는 배터리팩을 트럭, 버스가 써야되는건데 이건 진짜 말도안되는거 거기다 차량마다 각자 축거, 전폭, 전고가 다 다른데 이걸 통합할수가 없음 트럭, 버스는 따로 두더라도 경차, 소형차, suv, 세단 모두 버리고 한가지로 통일해야되는건데 이건 불가능하지 뭐 어떻게 공산주의식 해결으로 한가지로 통합한다고 하더라도 트럭은 차량 하부로 배터리를 넣는게 불가능함 짤처럼 뒤쪽에다 넣어야되지만 이러면 트럭이 또 따로 배터리 교체 시설물을 써야됨 위에 차량 대통합이 의미가 없어짐

TAKUMI_SEN_11 | (IP보기클릭)1.242.***.*** | 24.05.21 03:18
TAKUMI_SEN_11

위에 트럭처럼 그냥 차량 뒤에다 박으면 다 해결되는거 아님?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는데 배터리가 미친듯이 무거운 물건이라 얘 위치하나로 차량의 안정성이 확 달라지기 때문에 무조건 차량 하부로 가야됨 배터리를 살짝만 높게달아도 차량의 무게중심이 확 올라가기때문에 코너링때 차량이 넘어갈확률이 급증하고 그렇다고 배터리를 트렁크 공간에 둔다? 차량 뒷부분으로 무게중심이 몰려서 코너링시에 뒷부분이 제대로 못따라오고 미끄러지는 오버스티어가 발생함 앞부분에 배터리를 두는게 좋겠지만 배터리를 둘만한 공간이 전혀 안나오고 어떻게 구겨넣더라도 언더스티어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짐 전기차는 어쩔수 없이 배터리를 차량중심 하부에 달수밖에 없고 그로인해 차량안정성이나 코너링 감이 좋아지는 장점까지 얻을수 있기에 내부에다 다는거임 외부에 달려면 적어도 50%이상은 외부로 빼야 그나마 교체형의 장점이라도 얻어갈 수 있는데 배터리 순 무게만 200킬로가 넘어가고 팩을 감싸는 어셈블리까지 포함하면 300킬로 넘어갈텐데 그걸 외부에다 달아버린다? 차량 안정성, 승차감 싹다 포기하고 코너링시 속도 못내도록 제한거는 달구지로 바꿔야됨 ㅋㅋㅋㅋ 그리고 이 모든게 해결되더라도 더 심각한 문제가 있음 차량에 들어가는 배터리가 1000~2000만원 정도는 할텐데 그걸 시설물마다 수십개씩 쌓아둔다? 배터리 교체업은 쌓아둔 배터리만큼만 판매가능하기때문에 사실 수십개도 부족함 백단위로 들어가야되는데 그러면 시설물 빼고 배터리가격만 몇십억임 주유소야 그냥 하루에 몇십대 오더라도 탱크에 있는거 쏘고 가면 끝인데 배터리쪽은 완속충전은 8시간이 넘어가고 급속도 1~2시간정도라서 중국정도되는 미친나라 아니면 도입하는게 불가능함 거기다 1~20년즈음 되서 배터리 노후화로 배터리 교체할 시기되면 배터리 교체업 하는 주인이 또 수십억 들여서 바꿔야됨 ㅋㅋㅋㅋㅋㅋㅋ

TAKUMI_SEN_11 | (IP보기클릭)1.242.***.*** | 24.05.21 03:28
루리웹-6870151641

너 모르는구나. 전자공학이 기계공학보다 더 빠르게 미래시대 상상도를 뛰어넘은 이유가 있다. 움직이고 분리되는 모든 것은 일반인의 상상을 뛰어넘는 위험성과 정비소요를 초래한다.

출근은내일 밤샘은오늘 | (IP보기클릭)14.6.***.*** | 24.05.21 03:30
루리웹-6870151641

움직일 필요가 없는 건 창정비 외에는 분리조차 안되는 게 최선이야...

출근은내일 밤샘은오늘 | (IP보기클릭)14.6.***.*** | 24.05.21 03:31
TAKUMI_SEN_11

그리고 그 수백개 쌓아둔 창고에서 불이리도 나면...

I루시에드I | (IP보기클릭)223.38.***.*** | 24.05.21 09:26
[삭제된 댓글의 댓글입니다.]
루리웹-3327322111

그거 나중에 찾아보니까 중국내에서도 그다지 인지도 높지않은 중소기업차량이라던데.

castitatis | (IP보기클릭)121.164.***.*** | 24.05.21 20:35

개쩌네... 미국이 겁먹을만하다

루리웹-3526779281 | (IP보기클릭)175.119.***.*** | 24.05.21 01:48

맞는 말인데 너무 비싸서;;

자식이기는부모 | (IP보기클릭)221.150.***.*** | 24.05.21 01:51
자식이기는부모

책임이행 보증금 제도로 출고 할 때 배터리 값을 포함해서 사용자가 배터리를 임의 분리, 변형, 파손, 유실하면 보증금으로 변상하고 새 보증금 입금 할 때까지 배터리 교환 못하기 하면 되지

Phenex | (IP보기클릭)221.162.***.*** | 24.05.21 01:54
BEST
Phenex

보증금을 왜 내? 그럴바에 그냥 차 안사고 말지.. 보증금이란 이름하에 고객으로부터 기업이 목돈 공짜 대출 받아가려고!?

루리웹-9957243037 | (IP보기클릭)118.32.***.*** | 24.05.21 02:04
Phenex

정답이 없는데 '~하면 되지' 이렇게 종결을 해버리는건...ㅋㅋㅋㅋ 안되면 어떻게 해야되는데로 반문해야되고 계속 쓸데 없는 순환 문답이 오고가게됨....

최고빨갱이 | (IP보기클릭)175.201.***.*** | 24.05.21 08:55
자식이기는부모

맞아요 사실 전기차의 가장 큰 장벽은 저 가격임 동급차량 대비해서 가격이 2~3천만원 이상 더 비쌈

슈우박사 | (IP보기클릭)39.7.***.*** | 24.05.21 09:07

중궈 무서워해라, 본받아라 난리칠때마다 병크터트려주던데.

루리웹-8543230350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1:59

전기차는 교환식이 좋아보이긴해 충전시간이란게 없으니 근데 비용도 중요하고 결합부 노후화도 신경써줘야하니

ump45의 샌드백 | (IP보기클릭)49.161.***.*** | 24.05.21 02:00
ump45의 샌드백

월 399위안~1680위안내고 kwh 당 10~16위안이라고하넹 국내 급속충전 비싼게 560원정도하는것같은데 대충 10위안이 1800원이니 넘비싼듯

ump45의 샌드백 | (IP보기클릭)49.161.***.*** | 24.05.21 02:04

소형 트럭은 모를까 트레일러 체급에 2차 전지는 효율이 떨어진다고 생각함. 배터리 교환 방식이 셀투바디에 어울리는 지도 궁금하고.

정안군 | (IP보기클릭)39.7.***.*** | 24.05.21 02:00
BEST

교환식의 문제는 사후관리와 사고발생시 책임문제, 그리고 차량을 규격화 시켜야 하는 제약이 있음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책임을 어디서 질거냐가 크겠지.

무임승차대상 | (IP보기클릭)59.187.***.*** | 24.05.21 02:01

지금은 과도기도 나중가면 1형, 2형 이런 식으로 교체 방식이 정착하겠지. 근데 승용차는 하단에 있어야 해서 차량 들어올리고 교체하고 이러는게 돈 많이 들게 생겼더라

사건 | (IP보기클릭)14.47.***.*** | 24.05.21 02:01

저게 가능한건 중국이라서 그런거임 땅이 존나 넓으니 저런 스테이션이 가능하지 수소차 충전소도 서울에 몇개 두지도 못하는데 저런게 국내에 가능할리가

메밀꽃필어느운수좋은날의봄봄 | (IP보기클릭)121.166.***.*** | 24.05.21 02:02
메밀꽃필어느운수좋은날의봄봄

그리고 효율이 좋았다고 하면 미국에서 교체형을 했을거같은데 안하는거보면 이유가 있다고 생각함...

메밀꽃필어느운수좋은날의봄봄 | (IP보기클릭)121.166.***.*** | 24.05.21 02:03
메밀꽃필어느운수좋은날의봄봄

제조사 입장에서는 배터리도 차량에 고정시캬 마진 남겨서 파는 품목인데 소모품으로 무한정 소비될 배터리를 교체용으로 계속 구비해둔다? 돈을 퍼부어야지

cherryade | (IP보기클릭)218.37.***.*** | 24.05.21 02:07
BEST

엘프여고생 | (IP보기클릭)121.186.***.*** | 24.05.21 02:02
엘프여고생

어 나 이거 PSP에서 본거 같에

최고빨갱이 | (IP보기클릭)175.201.***.*** | 24.05.21 08:56

그냥 전기차를 안쓰면 되는 문제 아님?

루리웹-9957243037 | (IP보기클릭)118.32.***.*** | 24.05.21 02:02
루리웹-9957243037

전기차 친환경이 아니다 맞다 말이 많지만 내연차보단 훨씬 친환경이 맞긴함 당장 전기생산을 다 화력으로 하는것도 아니고 풍력 태양열 지열 수력등 여러 방면에서 생산이 가능함 이거 하나로 오직 화석연료를 탸워서 가는 내연차에 비해서 훨씬 친환경임 그리고 내연차만의 아날로그 감성도 전기차로 구현 가능할 정도로 매력적인 구매포인트도 있고 뉴스에 뭐만하면 화재 말하는대 당연하게도 보급댓수별 차량화재 통계보면 내연차가 압도적임 뭘 모르는 사람들이나 화재어쩌고 하는거 근대 화재시 진화가 어려운건 사실임

슈우박사 | (IP보기클릭)39.7.***.*** | 24.05.21 09:02
루리웹-9957243037

탄소배출때문에 넘어가긴 가야함.

믿습니다. 마멘~ | (IP보기클릭)39.7.***.*** | 24.05.21 10:05

초기에 저거 표준화 이야기 많이 나왔는데 결국 이야기 없어진게 차량에서 가장 타이트하게 고정되야 하는 부품을 교체식으로 설계하는게 너무 비쌈 그래서 일반사용자 용으로는 글렀고 화물용 장거리 수송에는 빠른 충전이 필요해서 좀 무리해서 할 요인이 있지만 쉽지 않을 거임 그 사이를 파고들자고 하는게 수소차 수소는 유체라 빨리 채울 수 있으니까

저스키 | (IP보기클릭)134.174.***.*** | 24.05.21 02:03

모듈화가 확실히 강점이 많긴 해 단가나 용량 같은 문제가 좀 있긴 해서 모든 차량에 적용하기는 힘들 수 있긴 하겠지만

Alice3382 | (IP보기클릭)182.218.***.*** | 24.05.21 02:03
BEST

저런 모듈식 단점이 설계상 오는 공차로 인해 견고히 체결이 안됨 모듈 규격을 영원히 바꿀게 아니라면 결국 나중엔 규격 발전에 장애물이 됨 빠르게 운행할 수 있는 대신 교체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함

cherryade | (IP보기클릭)218.37.***.*** | 24.05.21 02:04
BEST

자. 배터리는 전기만 연결하는게 아니에요. 냉각수도 흐른답니다? 몇백킬로그람 쯤 되는 애들을 차량에 볼트로 조였다 풀었다 하믄서 냉각수 하나도 안세어나가게? 그게 됬으면 일론 머스크가 포기 안함

만두공장장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2:06
만두공장장

참고로 저거 10년전쯤에 우리나라서 르노삼성이 하다가 때려쳤음. 절대로 나아가아야할 방향이 아님

만두공장장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2:13
만두공장장

로켓회수까지 집념으로 성공시킨 인간이 저런거 안하는거 보면 효율이 우주에서 로켓회수보다 더 낮은거겠지...

루리웹-6308473106 | (IP보기클릭)211.234.***.*** | 24.05.21 02:26

저거 규격 조금이라도 바뀌거나 결함 약간이라도 생기면 관련 싹 폐기인데...

라젠드라 | (IP보기클릭)118.235.***.*** | 24.05.21 02:07

내구성이슈

Who☆ | (IP보기클릭)172.226.***.*** | 24.05.21 02:08

무슨 공차니 내구성이니 헛소리하는 ㅈ문가들 다 제껴놓고 저렇게 안하는 이유는 순전히 돈 때문임 배터리 끼워팔지 않고 차대만 팔아먹을 생각이 존재하는 자동차 회사는 단 한군데도 없음

달걀없음 | (IP보기클릭)121.143.***.*** | 24.05.21 02:08

지금 전기차도 가다가 갑자기 서는경우도 있는데 교체식은 진짜 교체하다 쇼트나서 불나는거 아닌가 몰라..ㄷㄷ

말자랑지 | (IP보기클릭)14.48.***.*** | 24.05.21 02:08

무슨 만화있지 않았나 저렇게 충전해서 싸우는

루리웹-6766109822 | (IP보기클릭)211.36.***.*** | 24.05.21 02:11
루리웹-6766109822

기어전사 덴도?

akrr | (IP보기클릭)116.43.***.*** | 24.05.21 02:14

메가 차저가 낫겟다...

두부님아 | (IP보기클릭)59.14.***.*** | 24.05.21 02:11

최대 출력시 아파트 한동 수준의 전기를 뽑아 쓰는게 전기찬데 그 커넥터를 착탈식으로 하자구요? 안 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음

나온 | (IP보기클릭)218.147.***.*** | 24.05.21 02:13

사고나서 베터리 밀리면 바로 화장이지

매지션스레드 | (IP보기클릭)38.70.***.*** | 24.05.21 02:14

충전단자 같은게 규격 통일의 의미가 있는거지 배터리 크기 모양 규격 통일은 제품 개발에 엄청난 족쇄가 됨

Graybeard | (IP보기클릭)123.100.***.*** | 24.05.21 02:14

쪼끄만 휴대폰도 교환식 도태됐는데 자동차에 교환식이 무슨 미래여 ㅋㅋ

참그린 | (IP보기클릭)222.103.***.*** | 24.05.21 02:16

트럭은 모듈식이 맞긴한데..효율 높힐러면 무수히 많은 트럭들이 사용해한단 말이지..

루리웹-6914061842 | (IP보기클릭)122.32.***.*** | 24.05.21 02:26

저게 규격이 될수없음..안전문제 찐빻나서..지금 중국의 자동차는 안전은 ㅈ까고 일단 어텋게든 선점효과 누릴만한거 찾아보겠다고 미친듯이 내실이 아니라 겉치장에만 중시하고있어 내부는 뭐 터치패널 주렁주렁 배터리도 탈착식으로 뭐 말로 움직이는 자동차에 홀로그램까지 탑재해보고 별 쌩쇼를 다하는건데 장담컨데 10년뒤 죄다 없어질 녀석들임

버틸수가 없다 | (IP보기클릭)1.239.***.*** | 24.05.21 02:28

교환 가능하게 규격화 하기에는 업체별 기술차이가 심한데, 그게 국내가 아니라 전세계 업체 전부를 통제할 것 아니면 이미 거기서 끝... 거기에 전기차에서 중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부속을 교체형으로 만들기에는 사고발생 위험이 너무 크고 교환하는 곳에서 모든 배터리 품질의 유지보수가 쉬울리가 없음 말로 표현하기 힘든데 긍정적인 생각보다 사고날 가능성만 너무 많이보임. 옛날에 에플에서였나? 개인PC 다 사라지고 중앙화시켜서 개인사용자는 단말기만 쓰게 하겠다는 소리랑 동급으로 느껴짐.

루리웹-234101659 | (IP보기클릭)49.143.***.*** | 24.05.21 02:38

버스업체, 택시업체 같이 일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가능하겠는데 일반화는 어려워 보임

보이져 | (IP보기클릭)61.83.***.*** | 24.05.21 02:41

공산주의아니면 힘든시스템임 개인이 개인돈 주고 산 차량이고 전기차 가격의 절반 이상이 배터리가격인데 저 시스템은 오늘은 좋은배터리를 쓰지만 내일은 랜덤으로 50%밖에 못쓰는 노후된 배터리를 써야되는거거든 신차샀는데 충전 한번으로 노후화된 배터리를 안고 갈수도 있으니까 소비자도 꺼림찍함 (배터리는 소모품임) 전기차는 배터리가 엄청 비싼편인데 시설물마다 이걸 몇십개씩 비축해놓을수도 없는일이고 관리도 힘들지 충전된 배터리 창고에서 노후된 배터리 하나가 발화일어나면 큰 사고인데다 재정적으로도 큰 문제임 한번 화재나면 화재수습도 어렵고 거기다 하루배터리 바꾸는 기술이 되게 위험성을 내포함 스마트폰 배터리 탈착하는식으로 똑딱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단일규격에다 노후화 시에 엄청 위험해짐 차량 하부를 통째로 건드리는 거라 조인트 몇개만 잘못되어도 충전소 하나를 통째로 정지시켜야되고 염화칼슘이나 몇가지 이물질 때문에 문제가 생길 위험성이 높음 전기차가 배터리 충전시간이 기니까 어쩔수 없이 고육지책으로 나오는 해결방안같은건데 별로 좋은 해결방안도 아니고 대체기술들이 너무나도 많은데 굳이 돈들여서 저런 인프라 구축할 필요가 없으니까 중국같은 특이한 구조 아니면 아무도 안하는거임

TAKUMI_SEN_11 | (IP보기클릭)1.242.***.*** | 24.05.21 02:50
TAKUMI_SEN_11

거기에 규격화 시킬 정도면 이미 기술이 어느정도 안정화, 효율화, 거기에 공개도 잘 돼있어야 가능할 건데 말도 안되고. 저걸 규격화 시켜버리면 더 좋은 배터리 개발은 누가할거고, 개발 될 때마다 구축된 인프라는 다 갈아엎을 수도 없고... 케이블 규격화도 그리 힘들었고, 기술향상에 따라 버전업도 많이 했는데 그때마다 구버전 쓰던 건 차차 버려졌는데, 일반 충전배터리 수준에서도 가성비로 계속 엎어지는 판국에 차량용배터리 수준이 되면... 중국처럼 아예 다 통제하고 아님말고 식으로 할 거 아니면 그냥 불가능.

루리웹-234101659 | (IP보기클릭)49.143.***.*** | 24.05.21 03:02

전기차의 단점은 안타는 사람들이 안타고 난리치는것인듯... 국산 전기차들의 800V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확대하는 편이 훨씬 나음. 18분이면 90%충전되는데 저런 기계에서 차들어가고 정렬하기 위한 시간이나 배타리 교체와 수백개의 배터리를 이송, 보관, 충전을 위한 거대한 설비 운용에 필요한 인력과 인프라 생각하면 충전식이 나음. 저거는 모든 차량이 동일 스펙이고 모든 배터리가 자기네꺼인 운송화사 같은데서 저가형 배터리 굴리는 중국이니까 하는거임. 상용 전기차를 수소차가 훨씬 좋음

하마곰 | (IP보기클릭)112.170.***.*** | 24.05.21 09:01
하마곰

800v 충전도 사실 약간 허구가 있다고 봅니다 당장 충분한 배터리 컨디셔닝이 필수기도 하고 물론 그런거 감안해도 전기차의 장점이 많음

슈우박사 | (IP보기클릭)39.7.***.*** | 24.05.21 09:05

배터리부분에 바퀴 달고 냉각수 시스템 달고 배터리 넣어서 만들면 된다. 돈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화수린 | (IP보기클릭)61.102.***.*** | 24.05.21 09:43

과도기 시스템임. 내연차 연료통채로 교환하는 거랑 같은 거잖아. 충전 속도를 늘이는 쪽으로 가는 게 더 나을 거 같음. 거기다 배터리 스테이션 지어야 함.

믿습니다. 마멘~ | (IP보기클릭)39.7.***.*** | 24.05.21 10:04

아.. 중국 전기차에 실린 배터리는 1회용이구나? (아님)

Valut보이 | (IP보기클릭)218.159.***.*** | 24.05.21 11:05
댓글 60
1
위로가기
골방남 | 추천 0 | 조회 1 | 날짜 08:06
深く暗い 幻想 | 추천 0 | 조회 1 | 날짜 08:06
ARASAKI | 추천 0 | 조회 9 | 날짜 08:06
하즈키료2 | 추천 1 | 조회 18 | 날짜 08:06
신 사 | 추천 0 | 조회 45 | 날짜 08:06
뿍스 | 추천 1 | 조회 39 | 날짜 08:05
루리웹-7784446178 | 추천 1 | 조회 47 | 날짜 08:05
동아중공 | 추천 1 | 조회 26 | 날짜 08:05
올마인드 | 추천 1 | 조회 35 | 날짜 08:05
아랑_SNK | 추천 1 | 조회 104 | 날짜 08:04
OREO Villain | 추천 1 | 조회 45 | 날짜 08:04
최닌 | 추천 0 | 조회 118 | 날짜 08:04
리톨쿤 | 추천 0 | 조회 39 | 날짜 08:04
피파광 | 추천 1 | 조회 177 | 날짜 08:03
LESSERAFIM | 추천 3 | 조회 81 | 날짜 08:03
사렌은내여친 | 추천 3 | 조회 48 | 날짜 08:03
민트붐 | 추천 3 | 조회 104 | 날짜 08:03
Spy-family | 추천 2 | 조회 138 | 날짜 08:03
아랑_SNK | 추천 0 | 조회 107 | 날짜 08:03
81억번째 | 추천 3 | 조회 105 | 날짜 08:02
마지막 여생 | 추천 1 | 조회 66 | 날짜 08:02
나인나인나인 | 추천 3 | 조회 77 | 날짜 08:02
루리웹-죄수번호1 | 추천 5 | 조회 185 | 날짜 08:02
루리웹-837214151 | 추천 1 | 조회 166 | 날짜 08:02
스댕라 | 추천 0 | 조회 81 | 날짜 08:02
게임매니야 | 추천 2 | 조회 59 | 날짜 08:02
ITX-Saemaeul | 추천 0 | 조회 39 | 날짜 08:01
REtoBE | 추천 1 | 조회 43 | 날짜 08:01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