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5427686
베스트 보니 또 쿨타임 돌았다고 생각해서 올리는 한양 표준어 추측글
지방 사투리를 쓰는 서울에서 평생 산 노비
표준어를 쓰는 갓 상경한 지방 양반은 흔한 클리셰다.
그러면 정말 지방 사족들은 표준어를 쓰고
서울 노비들은 사투리를 썻을까?
내가 내린 결론은 반반이다.
영조가 이르기를,
지방 유생은 부(賦)나 표(表)가 서울 유생만 못한데 지금 책문에서 또 입격한 자가 한 사람도 없으니 어쩔 수 없다 할 만하다.” 이번에는 전시에서 대책(對策)을 만나 또 모두 낙방했으나 시골 유생들 사이에 억울하다는 말은 없을 것입니다.” 영조 7년 2월 24일 정시 전시 시권을 뽑는 자리의 대화 |
사투리를 쓰면 과거 합격도 쉽지 않았다. 심지어 합격해도 어전에서 사투리를 심하게 쓰면
시종신(임금을 모셔 호종하는 신하. 종관[從官].)으로 쓰지도 않았다.
시골 양반들이 서울에 몇 년 유학하며 과거공부한 것은 다 이유가 있었다.
지방 명문가들이 대체로 사투리를 적게 쓰는 것도 이 때문이리라.
경연에서 언해본 음으로 읽으면 영조는 어째 그리 읽느냐고 묻고,
언해를 경상도 학자들이해서 경상도 사투리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며 고쳐 읽는 기사가 많이 나온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m/view.do?levelId=km_001_0050_0020_0020_0020
[신노비란 혼인할 때 신랑·신부에게 부모나 친지들이 특별히 주는 노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식 한 명당 2∼6구 정도 주었고, 17∼18세기 이후 균분 상속이 해소된 시점에서도
딸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지 않는 집안도 신노비만은 아들과 동등하게 분급하였다.]
이 2가지를 고려해 본다면 조선시대때 모습이 어땠을 지는 잘 알 수 있다.
사족층은 최대한 서울말씨를 쓰려고 노력했을 것이지만
위의 사례에서 알수 있듯 완벽하게 잘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노비 계층은 타 지방에서 상경한 사람들의 노비&과거시험 보좌하러 온 노비
&결혼때 혼수로 딸려온 사람들의 노비들과
원래부터 서울에 살던 노비들이 섞여
추측컨데 노비계층의 언어는 최소한 서울에서는 잡탕이 되었을 수 있다.
최소한 이런 식으로 화내는 사례는 없었을 것이다.
첫짤 한국이 환국이었나? 백인 흑인이 다 있어ㅋㅋ
호랭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