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잡담] 내가 이해한 HBM 방식

일시 추천 조회 598 댓글수 6 프로필펼치기


1

댓글 6

삼성은 ㅂㅈ 가없었구나

ump45의 샌드백 | (IP보기클릭)49.161.***.*** | 24.05.24 23:05

냉각은 어떻게하려나

루리웹-0873801984 | (IP보기클릭)211.37.***.*** | 24.05.24 23:05

그건 메모리 자체를 생산하는 방식이고 HBM은 대역폭을 늘리는 방향을 핀당 전송속도를 늘리는게 아닌 핀개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잡은거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07
날으는붕어빵

일반적인 DDR, LPDDR, GDDR의 경우 채널당 칩 하나가 할당되고 여기에 데이터핀 개수가 16개~32개 수준에 다른 핀 다 합쳐도 40여개 수준인데 HBM은 HBM3 기준 채널당 64개 +@에 칩 하나에 16개 채널이 묶여있음. 그래서 데이터핀만 1024개, 커맨드 어드레스 핀까지 더하면 거기서 +@ (기억 상 채널당 리페어용이나 다른 목적을 위한 핀까지 다 합치면 아마 100개 쯤 될거) 근데 이렇게 많은 신호를 기존 패키지/PCB에서 신호 선로를 연결하는 건 불가능에 가까움. 그래서 여기서 같이 나온 기술이 실리콘 인터포저, 2.5D 인터포저로 반도체칩 생산 공정의 BEOL(금속 배선) 공정을 갖다가 씀. 일반적인 메모리 - soc간 연결이 (soc 다이) - (soc 패키지) - (pcb) - (디램 패키지) - (디램 다이) 이 순이었다면, HBM의 경우 (soc 다이) - (인터포저) - (디램 다이) 이렇게 감. 이게 하나의 패키지가 되어있고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10

저거 높이는 어떻게 되는거야. 기존 보드에 들어가나?

🎗혁명의미노리🎗 | (IP보기클릭)172.226.***.*** | 24.05.24 23:07
🎗혁명의미노리🎗

높이도 제덱 스펙으로 정해져있음 그리 높지 않음

날으는붕어빵 | (IP보기클릭)121.169.***.*** | 24.05.24 23:10
댓글 6
1
위로가기
밍먕밀먕밍먕먕 | 추천 0 | 조회 2 | 날짜 14:51
야옹댕이 | 추천 0 | 조회 8 | 날짜 14:51
무관복 | 추천 0 | 조회 23 | 날짜 14:51
국사무쌍인생무상 | 추천 0 | 조회 15 | 날짜 14:51
마 키 | 추천 1 | 조회 19 | 날짜 14:51
루리웹-8463129948 | 추천 0 | 조회 26 | 날짜 14:51
카무이1아쿠아 | 추천 0 | 조회 12 | 날짜 14:51
블랙워그래이몬 | 추천 0 | 조회 15 | 날짜 14:51
루리웹-2809288201 | 추천 0 | 조회 19 | 날짜 14:50
루리웹-9116069340 | 추천 1 | 조회 46 | 날짜 14:50
토코♡유미♡사치코 | 추천 0 | 조회 10 | 날짜 14:50
묻지말아줘요 | 추천 3 | 조회 113 | 날짜 14:50
키웠으니 아끼라 | 추천 1 | 조회 85 | 날짜 14:50
압디보고카🔥🤖 | 추천 1 | 조회 18 | 날짜 14:50
빛의운영자スLL | 추천 0 | 조회 27 | 날짜 14:50
비취 골렘 | 추천 4 | 조회 100 | 날짜 14:49
진리는 라면 | 추천 0 | 조회 59 | 날짜 14:49
위 쳐 | 추천 0 | 조회 32 | 날짜 14:49
루리웹-0070324915 | 추천 1 | 조회 54 | 날짜 14:49
루리웹-7864041471 | 추천 0 | 조회 22 | 날짜 14:49
피파광 | 추천 3 | 조회 142 | 날짜 14:49
능지하락 | 추천 0 | 조회 23 | 날짜 14:49
녹차보리레몬차 | 추천 0 | 조회 20 | 날짜 14:49
햐쿠만텐바라살로메 | 추천 0 | 조회 28 | 날짜 14:49
팔란의 불사군단🌰 | 추천 0 | 조회 18 | 날짜 14:49
Spy-family | 추천 0 | 조회 50 | 날짜 14:49
버거머거용 | 추천 0 | 조회 49 | 날짜 14:49
칼퇴의 요정 | 추천 1 | 조회 61 | 날짜 14:49

1 2 3 4 5

글쓰기
유머 BEST
힛갤
오른쪽 B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