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한국에선 축구, 삼바, 아마존 정글 등으로 알려진 세계에서 5번째로 거대한 나라.
실제로 인구가 거의 남미의 절반에 달하는 남미의 패왕 국가임.
그러나 브라질은 남미의 고질병인
대지주의 정치 경제 기득권화로 인한
토지개혁 실패등으로 제조업등의
2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보다는
그저 대지주들이 파는 사탕수수나 커피등의 농작물 수출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시행했음.
그래서 19세기초에 노예를 해방하기 시작한
영국과 서유럽은 물론이고 미국보다도
거의 20년 늦은 1888년 노예제 공식 폐지가 됨.
대지주들의 농장 운영에 노예가 필요하단 이유로.
말 그대로 나라 전체가 대지주들을 위한 놀이터였던셈.
[
1950년에도 초등교육조차 못받은 무학 인구가 63% 인 브라질 ]
그리고 이런 농업이 주력인 플랜테이션 경제 구조이기에
제조업을 육성할때 필요한 교육 투자도 미진했고
브라질은 유럽에서 산업화를 위한 기계 및 인력도
[
브라질 vs 한국 1인당 gdp ]
빨리 받아들이고 그 거대한 영토와 풍부한 자원에도
불구 훨씬 근대화를 늦게 시작한 한국보다도 쳐지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반대 방향으로 정치가 브라질의 발목을 잡음.
브라질은 재정적자가 거의 GDP 10% 에 육박할 정도로
형편없는 재정 운영 능력을 보이고 있고.
이는 1인당 gdp가 1만불대의 중진국 기준
그나마 유지는 하는 수준 성장률 3% 라도
찍는 경기 부양책으로 돈을 퍼붓고,
[
이코노미스트지 : 브라질 인플레 13% 수준이니 브라질 쇠락을 막을려면 재정 지출 삭감해라 ]
복지등 공공지출 확대를 하면서
더 많은 정부 재정 투입을 한게 원인.
게다가 집권정당은 국가의 미래가 아닌
다음 선거 승리를 위해 정책방향을 설정중.
[
해외 투자자들이 재정적자를 줄이라고 하니 저소득층 세금 면제 확대를 주장하는 브라질 정부 ]
브라질 정부가 내놓은 재정 개혁 정책도
기존 강도보다 훨씬 약화됨.
[ 지난 6개월 브라질 주식 ]
그 결과 브라질 주식도 폭락에
[ 브라질 헤알 1994년 출범후 달러 대비 사상 최약세 ]
브라질 환율도 사상 최저치를 갱신하고
[ 올해 브라질 역사 최대의 자본 유출이 일어남 ]
투자자들은 브라질을 못믿고 탈출하고 있음.
3줄 요약:
1. 브라질은 남미 최대의 국가로 중남미 고질병인 대지주들의 정치 기득권화로 국가 정책 방향 자체가 농산물 수출 경제로 향해 제조업등의 산업 고도화에 실패했을뿐 아니라 교육도 내팽개쳐 1950년대까지 무학 비율이 63% 에 달했음.
2. 여기에 기득권들의 이익 사수를 위한 쿠데타등 정치 혼란까지 겹치며 훨씬 영토나 인구도 적고 근대화도 늦었던 한국에게마저 1인당 GDP를 추월당했는데 이번에는 경기 부양책과 공공지출 확대로 인해 지나친 재정적자를 초래하고 인플레이션은 13% 돌파.
3. 그래서 재정 개혁을 실시했으나 최종 재정 개혁안은 기존의 것보다 강도가 훨씬 약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어 브라질은 주식 폭락에 환율은 사상 최저치를 갱신중이며 자본 유출 또한 역사상 최대.
수송기 도입은 잘 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