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투가 유럽 원정 도중 우구데이 칸의 사망으로 회군할때 불가리아를 휩쓸었는데(당시 테살로니카 제국은 이미 몰락한 상태)
이때 카단 오구르(우구데이 칸의 아들)이 이끄는 병력이 라틴 제국이 다스리던 동 트라키아 일대까지 휩쓸었다고 합니다
당시 콘스탄티노플의 황제(웃음)이었던 보두앵 2세가 성 밖으로 나와 대응했지만 패배하고 생포 당했다고 하더군요
이때 보두앵 2세(혹은 몰락한 라틴 제국?)을 추모하던 시도 있었다고 합니다(De triumphise ecclesiae-Suum luget Thracia victa ducem)
시 내용을 보면 몽골 제국에게 쓸려나간 국가의 지도자들 모두를 애도하는듯 하는데, 시 마지막에 "패배한 트라키아의 지도자를 애도한다" 구절에서 나오는 트라키아의 지도자가 보두앵 2세인듯 합니다
뭐 알다시피 보두앵 2세는 이때 안죽고 어찌어찌 돌아왔다가 결국 미하일 8세의 공격에 패배하고 도주했지만...
이때 라틴 제국이 마지막으로 영끌하다시피 모은 전력을 전부 말아먹은것도 사실입니다
어찌보면 라틴 제국의 숨통을 끊은것도 몽골이라 볼 수 있겠네요
이후 룸 술탄국을 정복하면서 본격적으로 그리스 세계에 몽골이 개입한듯 합니다
테오도로스 두카스의 테살로니카 제국은 이미 몰락했고 테살로니카를 패퇴시킨 불가리아와 온 유럽을 쏘다니며 원조를 구한 끝에 마지막 반격을 준비하던 라틴 제국, 동쪽의 위협 룸 술탄국 전부 한번에 몽골이 정리해준게 어찌보면 니케아 제국이 콘스탄티노플을 수복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몽골이 아나톨리아를 침공할때 운 좋게 니케아는 빗겨간 덕분인지...
_ 잉여잉여칠면조
1. 교과서에선 주로 정복, 문화 이런 위주로 다루다보니 교류의 비중이 줄긴 하더라고요 아쉬운 부분이긴 합니다. 말씀하신것 처럼 진정한 유라시아의 교류는 몽골 제국으로부터 비롯되었죠. 몽골 제국에 버금가는 교통, 무역망은 대항해시대는 와야 나타났다고 하니... 2.아르세니오스 분열 일으킨 주제에 뻔뻔하게 뻗댄거 보면 미하일 8세를 좋게 볼 수가 없죠. 소산드라 쿠데타 이전 영광의 치세를 펼치다 그때부터 갑자기 몰락의 구렁텅이로 급드리프트 밟으니... 저도 개인적으론 팔레올로고스가 저평가 받는 가장 큰 원인중 하나가 소산드라 쿠데타->아르세니오스 분열->아나톨리아 상실로 이어지는 나비효과라 보네요. 3. 의외로 중화권과 로마의 교류 관련해선 기록이 제법 있더라고요 ㅎㅎ 한나라 역사를 다루는 전한서, 위진남북조 역사인 북서, 당나라 역사인 구당서, 송나라 역사인 송사, 명나라 역사인 명사까지... 이렇게 보면 동방의 지배자 중국도 무시못할 제국이라 여겼다 봅니다 ㅎㅎ